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20:57:46

장기영(1903)

파일:우체국 제비 로고(1984-2010).svg
파일:체신부장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체신부장관 (1948~1994)
초대
윤석구
제2대
장기영
제3대
이순용
제4대
조주영
제5대
강인택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제6대
이광
제7대
이응준
제8대
곽의영
제9대
오정수
제10대
최용덕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11대
이상철
제12대
조한백
제13대
한통숙
제14대
배덕진
제15대
김장훈
<nopad> 박정희 정부
제16대
홍헌표
제17대
김홍식
제18대
김병삼
제19대
박경원
제20대
황종률
<nopad> 박정희 정부
제21대
김태동
제22대
김보현
제23대
신상철
제24대
문형태
제25대
장승태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26대
박원근
제27대
이재설
제28대
배상욱
제29대
윤흥정
제30대
김기철
<nopad> 전두환 정부
제31대
최광수
제32대
최순달
제33대
김성진
제34대
이자헌
제35대
이대순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36대
오명
제37대
최영철
제38대
이우재
제39대
송언종
제40대
윤동윤
정보통신부장관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파일:애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건국훈장애국장.jpg
가네코 후미코 강경근 강계선 강관수 강귀손 강근호 강기찬
강길환 강달주 강덕보 강동렬 강두필 강만식 강만형
강명선 강명희 강문진 강문영 강병관 강병근 강병욱
강병일 강봉우 강봉학 강봉환 강사문 강상봉 강상호
강서희 강석대 강석봉 강석진 강석훈 강성리 강수오
강수원 강순성 강순희 강승경 강승덕 강시만 강신경
강양성 강양오 강연상 강영갑 강영삼 강영수 강영승
강영식 강우범 강운학 강원호 강윤국 강이진 강인수
강일봉 강재천 강정하 강제억 강제희 강종근 강준익
강준학 강진구 강진남 강진석 강진선 강진여 강찬중
강창규 강창보 강철규 강춘근 강춘삼 강태동 강태성
강태영 강태일 강택진 강표도르 강필주 강학서 강한수
강한용 강혜원 강화순 강흥문 강희경 강희옥 견관덕
경권중 경현수 계동화 계석노 계성근 계영기 계용순
고강산 고광채 고광훈 고대선 고덕린 고덕수 고두일
고득수 고병희 고봉준 고사훈 고석진 고성한 고승득
고시복 고앙주 고영신 고예진 고용진 고용환 고웅주
고원직 고윤한 고융건 고응남 고응칠 고익규 고인식
고인재 고정식 고제남 고제신 고진홍 고창희 고채주
고치범 고판홍 고형림 고희순 공덕흡 공사겸 공사일
공석두 공성찬 공심연 공영팔 공예수 공재형 공준서
공창준 곽경렬 곽낙삼 곽낙원 곽무 구찬회 권득수
김광섭 김규식 김도연 김동식 김동진 김문순 김백선
김알렉산드라 김윤경 김응삼 김이원 김재헌 김정익 김준연
김준엽 김양수 나경서 나봉산 나사진 나상원 나상필
나선도 나성화 나수범 나순익 나순호 나승렬 나신택
나영관 나용균 나운규 나의집 나장헌 나정련 나정문
나정화 나종헌 나창운 나희규 남경숙 남계병 남광원
남궁욱 남궁현 남규천 남기동 남기영 남도경 남복이
남상규 남석순 남석술 남세극 남승하 남영진 남왈성
남용순 남원수 남위 남정 남지학 남진두 남태영
노간선 노공일 노광엽 노기영 노내화 노덕세 노도원
노동식 노명이 노병한 노병희 노봉돌 노봉우 노봉현
노석정 노석중 노섭 노성삼 노성원 노성환 노식삼
노영재 노영화 노우선 노재철 노진룡 노치흠 노태연
노하순 노한문 노형규 노환 노희태 도대원 도무환
도병철 도복렬 도중삼 독고무 동민수 동증손 동풍신
루이 마랭 마남룡 마만봉 마용필 마정덕 마정삼 마춘걸
마하도 맹군삼 맹기정 맹달선 맹달섭 맹철호 명도석
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인화 모충이 목자상 문경록
문남규 문덕길 문덕홍 문동길 문명국 문명주 문무술
문봉래 문봉의 문석조 문석준 문석환 문성각 문성초
문승수 문신영 문영박 문영삼 문용기 문응국 문장호
문재교 문종희 문창선 문치룡 문치백 문학도 문학신
문한범 문홍순 문홍의 문화순 민가현 민동식 민백형
민병길 민병숙 민병태 민수현 민영수 민영숙 민영완
민영주 민영학 민용운 민제호 민찬호 민철훈 민충기
민충식 민치도 민치영 민한식 박갑쇠 박건 박건두
박경락 박경석 박경철 박계락 박관준 박광 박광선
박광천 박구진 박권세 박권영 박귀성 박규명 박규상
박규채 박규호 박근이 박금룡 박기국 박기범 박기수
박기양 박기영 박기운 박기원 박기춘 박길양 박내병
박내원 박내준 박노삼 박노영 박달천 박대인 박대일
박대중 박덕삼 박덕언 박덕여 박도집 박도현 박동규
박동원 박동의 박동주 박동진 박동환 박래봉 박래승
박만선 박만옥 박만화 박맹두 박명규 박명서 박명화
박무 박문거 박문도 박문서 박문섭 박문술 박문용
박문호 박문화 박민홍 박반문 박발술 박병강 박병규
박병익 박병하 박병한 박병호 박병훈 박보국 박복인
박봉관 박봉길 박봉래 박사문 박사범 박사손 박상규
박상기 박상도 박상엽 박상진 박상하 박석용 박현숙
방정환 방한민 배치문 배헌 백남훈 백초월 사문성
서광도 서기준 서기환 서단파 서달선 서동성 서두성
서병순 서병철 서병호 서봉화 서삼진 서상경 서상기
서상락 서상렬 서성군 서성실 서성일 서성학 서소용
서여선 서영백 서영연 서영해 서왈보 서용하 서운선
서윤봉 서윤호 서윤화 서인봉 서장관 서장환 서재기
서재승 서재현 서정기 서정만 서종락 서진구 서창무
서태석 서학이 서한종 석근영 석기만 석기호 석대운
석만금 석오석 석창륜 석창문 석환옥 선경화 선규환
선도명 선백중 선우기 선우섭 선우진 선우택범 설성삼
설진창 성경삼 성경호 성낙붕 성낙중 성낙희 성만리
성만석 성선조 성재평 성재한 성정모 성주경 성진갑
성진호 소갑호 소윤명 소진형 소후옥 소휘천 손건주
손계묵 손계조 손덕화 손두원 손명선 손명조 손몽상
손무경 손병선 손복산 손봉선 손성 손성우 손성원
손성한 손수용 손수조 손승관 손양섭 손영학 손용준
손일민 손일봉 손재순 송몽규 송상도 신하균 안경순
안경준 안관순 안광선 안교봉 안구현 안국길 안군명
안내성 안동식 안두식 안명순 안무순 안병기 안병석
안병준 안병찬 안봉생 안봉선 안봉순 안상용 안상의
안선국 안세진 안숙 안순구 안순서 안순원 안영희
안용국 안용석 안용택 안유순 안윤재 안이현 안인택
안일룡 안장길 안정길 안정명 안정옥 안종각 안종구
안종락 안종린 안종식 안종엽 안종운 안종환 안종후
안중석 안진순 안찬재 안창남 안창렬 안창률 안창제
안최언 안치삼 안택환 안필순 안학룡 안항식 안혁중
안홍 안효준 안후덕 양경삼 양계갑 양도명 양도준
양도헌 양동훈 양병칠 양봉규 우기주 유우석 유자명
유진동 유종환 이경채 이남규 이만집 이범진 이병기(1876)
이병기(1891) 이석영 이성구 이영환 이용태 이운강 이육사
이원순 이은상 이재천 이정호 이탁 임규 장경춘
장경탁 장계진 장관청 장광옥 장국호 장군선 장규섭
장규현 장규황 장금송 장기덕 장기석 장기영(1890) 장기영(1903)
장낙수 장남수 장덕기 장덕로 장덕유 장덕익 장도정
장두언 장명언 장명운 장병구 장병준 장복규 장복흥
장본래 장봉규 장봉래 장봉의 장봉주 장봉학 장봉현
장부암 장붕 장빈삼 장사천 장석천 장석함 장선군
장성순 장성원 장성오 장세용 장세전 장세정 장세파
장세현 장수봉 장순영 장승열 장신국 장여좌 장영준
장응규 장의선 장의찬 장의천 장이호 장익부 장익수
장익염 장익준 장인국 장인서 장준하 정광호 정일형
조봉호 조신성 조응삼 조희제 지복영 차경수 차경신
차경현 차금봉 차도순 차도연 차동석 차병곤 차병규
차병률 차병선 차병한 차봉엽 차연욱 차영철 차영필
차왈보 차용목 차운흥 차원몽 차은표 차인범 차일빈
차재문 차정룡 차정섭 차정집 차진규 차진하 차치명
차학구 채경묵 채경옥 채규대 채남섭 채덕만 채덕승
채동집 채동환 채복만 채봉선 채봉준 채수반 채영서
채영찬 채용환 채운걸 채이석 채정옥 채중보 채창헌
채태묵 채한석 천경도 천보락 천성십 천순호 천홍태
최갑룡 최능익 최윤동 최효일 탁성룡 탁영조 탁일청
탁창국 탁한종 패트릭 도슨 편군선 편덕렬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하덕근
하돌임 하상태 하승현 하영옥 하운택 하찬린 하한서
한갑복 한경서 한경석 한경천 한경희 한계석 한국언
한국원 한규량 한규순 한금원 한기석 한기악 한기안
한대홍 한덕용 한도원 한동진 한득주 한락산 한면각
한명만 한명순 한문기 한문백 한사빈 한성수 허석
홍원유 홍원표 황직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형민
제2대
윤보선
제3·4대
이기붕
제5·6대
김태선
제7대
고재봉
제8대
허정
제9대
임흥순
제10대
장기영
제11대
김상돈
제12대
윤태일
제13대
윤치영
제14대
김현옥
제15대
양택식
제16대
구자춘
제17대
정상천
제18대
박영수
제19대
김성배
제20대
염보현
제21대
김용래
제22대
고건
제23대
박세직
제24대
이해원
제25대
이상배
제26대
김상철
제27대
이원종
제28대
우명규
제29대
최병렬
제30대
조순
제31대
고건
제32대
이명박
제33·34대
오세훈
제35-37대
박원순
제38·39대
오세훈
파일:SEOUL MY SOUL 한글병기.svg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경기도 경성부윤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1271B5; border-right: 10px solid #1271B5;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bgcolor=#fff,#1f2024>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4>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직위 명단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임병직변영태조정환허 정
내무부장관 윤치영신성모김효석백성욱조병옥이순용장석윤이범석김태선진헌식황호현백한성김형근이익흥장경근이근직민병기김일환최인규홍진기이호
재무부장관 김도연최순주백두진박희현이중재김현철인태식김현철송인상윤호병
법무부장관 이 인권승렬이우익김준연조진만서상환조용순이 호홍진기권승렬
국방부장관 이범석신성모이기붕신태영손원일김용우김정렬이종찬
문교부장관 안호상백낙준김법린이선근최규남최재유이병도
부흥부장관 유완창김현철송인상신현확전예용
농림부장관 조봉암이종현윤영선공진항임문환함인섭신중목정재설(서리)양성봉윤건중최규옥임철호정낙훈정운갑정재설이근직이해익
상공부장관 임영신윤보선김 훈이교선이재형안동혁박희현강성태김일환구용서김영찬전택보오정수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보건사회부장관 전진한이윤영허 정최창순박술음 / 구영숙오한영최재유
최재유정준모손창환김성진
교통부장관 민희식허 정김석관윤성순이종림문봉제최인규김일환석상옥
체신부장관 윤석구장기영이순용조주영강인택이 광이응준곽의영오정수최용덕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대 체신부장관
장기영
張基永 | Chang Ki-young
파일:external/rokps.or.kr/110.jpg
출생 1903년 10월 20일[1]
강원도 영월군 군내면 영흥리
(現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사망 1981년 5월 17일 (향년 77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묘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공원묘지
석정(石正)
재임기간 제2대 체신부장관
1949년 6월 14일 ~ 1952년 1월 11일
제10대 서울특별시장
1960년 5월 2일 ~ 1960년 12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영월공립보통학교 (졸업)
춘천공립농업학교 (졸업)
중동중학교 (고등과 / 졸업)
주오대학 전문부 (경제과 / 졸업)
버틀러 대학교 (정치학 / 학사)[2][3]
인디애나 대학교 (국제법학 / 석사)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
약력 제헌 국회의원 (강원도 영월군)
제2대 체신부장관
아시아반공대회 한국대표
대한중석광업 사장
제10대 서울특별시장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1. 개요2. 생애
2.1. 해방 이전2.2. 해방 이후
3. 선거 이력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2.1. 해방 이전

1903년 10월 20일 강원도 영월군 군내면(현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서 태어났다. 영월공립보통학교, 춘천공립농업학교, 중동중학교 고등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스보보드니로 건너가 무장독립부대 통합을 위해 조직된 전한군사위원회(全韓軍事委員會)의 위원으로 활약하다가 일본으로 유학하여 1924년 주오대학 전문부 경제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담하였다가 안창호·김구의 권유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가 1930년 버틀러 대학교 정치학부를 졸업하고,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며 학업을 계속하였다. 1932년 겨울에는 이승만의 부름을 받고 워싱턴 D.C.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독립자금을 모금하고, 교민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등의 독립운동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3년 봄, 구미위원부에서는 태평양 전쟁이 확대되어 가는 시국 상황에 한미공동전투활동의 필요성을 통감하고는 구미위원부 직원을 보강하여 새로운 활동을 전개함과 동시에 한·미 공동 전투 활동의 필요성을 통감하고, 한·미 작전에 의한 재미 한국 청년들의 전투훈련 및 참전을 미국 측에 제안하여 계획이 추진되었다. 이에 그는 장석윤·조종익(趙鍾翊)·피터 김 등과 함께 OSS에 추천되어 정보·통신 등 특수교육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는 미국 육군에 자원입대하여 육군 항공대 중령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며, 그동안 충칭에 있는 임시정부의 연락원으로 활동하였다.

2.2. 해방 이후

8.15 광복 후에는 이승만과 함께 귀국하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고향인 강원도 영월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였다. 1948년 6월 4일 국회법 기초위원으로 선임되며 국회법을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8월 8일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위원에 선임되며 훗날 이 법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1948년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총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이 가입 승인을 받도록 힘을 쏟았다. 1949년 2월 외무부 차관에 임명된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사실이 아니었고 1949년 6월 제2대 체신부장관에 임명되어 군사우편물법을 제정하는데 기여하였다. 1952년 체신부장관에서 사퇴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정일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대 총선 후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아시아반공대회 한국대표, 1957년부터 1960년까지는 대한중석광업 사장, 1960년 관선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다. 서울특별시장으로 재직하면서 병원과 오물수거 지역을 확장시켰다.

그해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한근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출마했으나 김상돈의 밀려 2위로 낙선되었다.

5대 총선 후 정당활동을 재개하였고 박정희가 집권하자 국민의당에 입당했다가, 1967년 신민당으로 옮겨 운영위원을 지냈고, 같은 해 제6대 대통령 선거 때는 신민당 선거사무장 직을 맡기도 했다. 1971년에는 국민당으로 옮겨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민중당에서 총재를 지내기도 했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수여되었으며, 1981년 5월 17일 사망하였다.

사후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강원 제6선거구[4]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375표 (31.66%) 당선 (1위) 초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2선거구[5] 3,041표 (15.28%) 낙선 (4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제2선거구[6] 10,383표 (24.89%) 낙선 (2위)

4. 여담

5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 고향 영월읍에서 학교를 설립하여 경영에 참여하기도 했는데, 학교의 이름을 그의 호인 석정(石正)을 따서 각각 석정여자중학교·석정여자고등학교로 지었다.

영월읍내 초등학생들은 졸업 이후 다른 지역으로 전학이나 유학을 가지 않는 이상 남학생은 영월중학교로, 여학생은 석정여자중학교로 가게 된다. 석정여자고등학교는 옛날에는 수능 성적이 우수한 편으로써 정시대학을 진학하는 학생이 많았으나, 현재는 수시 농어촌특별전형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5. 둘러보기

파일:강원도 옛 휘장(~1962년).webp 강원도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춘천 춘성 홍천 횡성
공석 이종순 이재학 원용균
홍범희 장기영 황호현 공석
삼척 울진
원장길 최헌길 김진구 김광준
* 춘천 최규옥 사퇴 (1949.12.21.)
* 정선 최태규 자격상실 (1950.2.10.)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파일:민주국민당(1949년) 글씨.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홍성하 이영준 지청천 김도연 김상돈
김동원 최국현 신익희 이진수 서정희
조중현 신현모 최석화 홍길선 이재학
원용균 홍범희 장기영 황호현 원장길
최헌길 이만근 김교현 송필만 유진홍
임석규 이상돈 나용균 김종문 백관수
조한백 홍희종 이석주 정해준 진직현
이정기 정광호 정균식 서우석 김종선
김문평 이정래 조국현 김준연 김용현
장홍염 김상호 조영규 김상순 최윤동
서상일 백남채 박종환 김상덕 최석홍
허정 한석범 박해극 최봉식 이원홍
오용국 }}}
}}}}}}



[1] 음력 1903년 9월 1일[2] 1950년 간행된 『대한민국인사록』에는 '미국 패트러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했다'고 기재되어 있고, 1967년 간행된 『사진으로 본 국회20년 - 부록 - 역대국회의원약력』에는 '미국 ■■리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1977년 간행된 『역대국회의원총람』에는 '미국 버틀러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중 대한민국헌정회 홈페이지에 기재된 약력사항은 1967년 간행된 『사진으로 본 국회20년 - 부록 - 역대국회의원약력』에 기재된 사항을 보고 막연히 버클리 대학으로 추측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당시 학력사항에는 '미국 빅토리 대학 졸업'으로 기재되어 있었기에 버클리 대학으로 추측한 것은 확실히 억측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심지어 독립유공자 공훈록에는 버지니아대학에서 수학한 것으로 오기되어 있기도 하다.[3] 한편,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1930년 버틀러 대학교 정치학부를 졸업한 것으로 보았다.[4] 영월군[5] 중구을구[6] 종로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