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민족 | 야마토 민족 |
언어 | 일본어 (일본어족) | |
국가 | ||
신화 | 일본 신화 | |
재외동포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러시아인 | }}}}}}}}} |
1. 개요
일본신화(日本神話)는 일본 열도에서 전해지는 신들과 관련된 신화이다. 특히 8세기 초에 나온 역사서 《고사기》와 《일본서기》가 신화 이야기에서도 중요한 출전이다. 두 역사서를 흔히 아울러 기기(記紀)라 약칭하고, 기기에 기술된 천계 타카마가하라(高天原)의 신들을 중심에 둔 이야기를 기기신화(記紀神話)라 부른다. 기기신화, 그리고 기기신화에 부속된 다른 신화 이야기를 중앙신화(中央神話)라 부른다. 중앙신화는 일본의 고대 국가인 야마토 왕권, 그리고 야마토 조정의 편에 선 지역세력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기존의 신화소를 편집하여 만들었다고 추정한다.일본 신화에서 기기의 비중은 매우 높지만 기기신화, 또는 중앙신화가 곧 일본 신화인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일본의 토속종교 신토의 신사(神事)에 대한 기록이나, 지방의 기록, 구전으로 남은 것 등등.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단편적으로나마 전한다. 기기신화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권력자가 신화소를 편집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기기신화와 중앙신화, 그리고 권력자들에게 포섭되지 않고 전해내려온 일본 내 다른 신화들까지 모두 포함해서 '일본 신화'임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신앙
그리스 신화와 고대 그리스의 제례가 같지 않듯이, 일본 신화와 신토가 일대일 대응하지는 않는다.
3. 문헌
4. 신
4.1. 아마츠카미(천진신)
- 니기하야히
- 니니기
- 미하시라노우즈노미코(三貴子)
- 아메노오시호미미
- 아메노우즈메
- 아메노다지카라요
- 아메노토리후네
- 오모이카네
- 카구츠치
- 마가츠히노카미
- 카미요나나요
- 코토아마츠카미
- 타케미카즈치
- 후츠누시
- 히루코
- 아메노누보코
- 야시마
- 야타가라스
- 오오야마츠미
- 우카노미타마
- 이와나가히메
-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
- 아마츠미카보시
- 칠복신
4.2. 쿠니츠카미(국진신)
5. 인간
6. 동물
7. 요괴
8. 정령
9. 도구
10. 장소(세계)
11. 시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bgcolor=#DCA600> [[코토아마츠카미| 코토아마츠카미 ]] | |||||
[[조화삼신| 조화삼신 ]] | 제4대 | 제5대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bgcolor=#DCA600> [[카미요나나요| 카미요나나요 ]] | ||||||
초대 | 제2대 |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bgcolor=#DCA600> [[지신오대| 지신오대 ]] | ||||||
지신오대 초대 | 지신오대 제2대 | [[히무카 삼대| 히무카 삼대 ]] | ||||
지신오대 제3대 | 지신오대 제4대 | 지신오대 제5대 | ||||
히무카 삼대 초대 | 히무카 삼대 제2대 | 히무카 삼대 제3대 | ||||
<bgcolor=#BD0029> | }}}}}}}}}}}} |
12. 영향을 받은 현대 창작물
- 가난뱅이 신이!
- 갓 워즈: 시대를 넘어
- 귀멸의 칼날
- 가면라이더 가이무[1]
- 가면라이더 고스트
- 가면라이더 스피리츠
- 가면라이더 히비키
- 강철 지그
- 공작왕
- 나루토: 만화경 사륜안 동술의 명칭 대부분은 일본 신화 속 신들의 이름이다.[2]
- 노라가미
- 누라리횬의 손자
- 닌자 슬레이어
- KOF 시리즈: 오로치 사가로 일컬어지는 94~97까지.
- 동방 프로젝트
- 도롱도로롱
- 모노가타리 시리즈
- 모노노케 히메
- 몽환전설 Dream Saga
- 무쌍 오로치
- 무적용사 사자왕
- 봉신 야츠루기
- 불꽃의 미라쥬
- 불새
- 블레이블루
- 블리치
- 사사미양@노력하지않아
- 스즈메의 문단속
- 쌍계의
- 아라타칸가타리
- 암흑신화
- 야오요로즈당의 고양이 신
- 연연 프로젝트
- 오늘부터 신령님
- 오보로 무라마사
- 오오카미, 오오카미전 ~작은 태양~
- 요괴 아파트의 우아한 일상
- 원피스(만화)/와노쿠니 편
- 요괴워치
- 용사다 시리즈
- 용자왕 가오가이가 시리즈의 오비트 베이스: 각 디비전 플릿이 일본 신화 속 신들의 이름을 따왔다.
-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
- 이즈모 시리즈
- 종말의 크로니클의 2nd-G
- 주술회전
- 천수의 사쿠나히메
- 춘하추동 대행자
- 쿠(캇파)
- 토우게오니
- 페르소나 4: 주인공의 페르소나를 비롯하여 주인공 일행이 사용하는 페르소나 중 상당수와 후반부 보스가 모두 일본 신화의 주요 신들이다.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 태고의 달인 시리즈 수록곡 - 갓 컬렉션
- 호오즈키의 냉철
- 모노노케: 기본 신화들을 기본 설정으로 깔아두고, 주인공인 약장수가 원령들을 없애는 이야기다.
- 츠구모모, 계츠구모모: 츠구모모, 계츠구모모의 등장인물인 코쿠산미요리다이곤겐쿠쿠리히메노오카미가 일본신화 속 여신인 쿠쿠리히메의 이름을 따 왔다.
- Sound Horizon의 9번째 콘셉트 앨범 에마에 소원을!: 이쪽은 아예 모티브 자체가 일본 신화이다.
[1] 전채적인 모티브는 북유럽 신화지만 주역 라이더인 가이무와 잔게츠, 카무로, 쟈무 등의 라이더들은 일본 전설적 영웅+사무라이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2] 자세한 내용은 만화경 사륜안 능력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