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colcolor=#fe0000> 닛케이 225 日経平均株価 | Nikkei Stock Average(Nikkei 225) | |
기준일 | 1949년 5월 16일[1] |
출시 | 1950년 9월 7일 ([age(1950-09-07)]년차) |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운영사 | 니혼게이자이 신문 |
대상 거래소 | 도쿄증권거래소 |
구성종목 | 225개 |
산출방식 | 수정주가평균 |
기준 통화 | 일본 엔 |
단위 | 엔[2] |
외부 링크 |
[clearfix]
1. 개요
닛케이 225는 도쿄증권거래소 1부격인 '프라임'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일본의 간판 주가 지수다. 일본어 정식 명칭은 '닛케이평균주가'(日経平均株価, Nikkei Stock Average)이나, 닛케이 225(Nikkei 225) 혹은 닛케이지수라는 명칭이 보다 널리 쓰인다.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이 운영하고 있는 비공식 지수로서, 거래소 공식 지수인 TOPIX와 병행하여 시장을 대표하는 지표로 인식되어 있다.
2. 상세
도쿄 거래소의 프라임 시장을 대표하는 225개 종목의 환산계수를 적용한 주가를 단순평균해 5초 단위로 산출하고 있다.당초에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의 방식을 원용하여 주식 액면가를 반영한[3] 주가를 단순평균하였다. 2001년 일본 상법에서 주식의 액면가가 폐지되면서 닛케이가 자체 산출한 추정 액면(みなし額面)을 적용하였으며, 2021년 10월부터는 신규 종목에 의한 교란[4]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추가된 신규 종목에 대해서는 각 종목의 지수 비중이 1% 이하가 되도록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주가를 반영한다. 아래는 2021년 논문에서 제시된 산출 예시.
분류 | 종목명 | 주가 | 추정 액면 | 환산계수 | 환산주가 |
기존 종목 | 패스트 리테일링 | 79,020 | 50 | 1 | 79,020 |
소프트뱅크 그룹 | 6,428 | 25/3 | 6 | 36,568 | |
신규 종목 | 무라타 제작소 | 9,397 | -[5] | 0.8 | 7,518 |
닌텐도 | 49,570 | 0.1 | 4,957 |
상기 4개 종목으로 지수를 구성한다고 하면 위 환산주가를 단순평균한 32,485.5엔이 '지수'가 되는 것이다.
구성 종목은 매년 4월과 10월에 최대 3개까지 정기 조정되며, 이외에도 종목의 인수합병, 2부 거래소 강등, 상장폐지, 거래소 관리종목 지정 등의 사유로 결원이 생기면 수일 내로 보충을 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는 구성 종목을 250개로 늘려보려고 한 적이 있지만 닛케이225 관련 파생상품이 많아서 포기했다. 대신 각각 300, 400, 500 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닛케이주가지수300, JPX닛케이 인덱스400[6], 닛케이 500종 평균주가 등을 함께 발표하고 있다.
- 닛케이 225 커버드 콜 (Covered Call)
- 닛케이 225 리스크 컨트롤 (Risk Control Index)
- 닛케이 225 레버리지 (Leveraged Index)
- 닛케이 225 인버스 (Inverse Index)
- 닛케이 변동성 (Volatility Index)
- 닛케이 배당 (Dividend Point Index)
그 밖에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 산출하는 지수로는 닛케이 300/500지수, 닛케이일본1000지수, 닛케이자스닥지수, 닛케이 종합 전종목지수, 채권지수 등이 있다.
한국과 중국, 홍콩, 대만,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11개 국가·지역 유력 상장기업의 주가 움직임을 반영하는 '닛케이 아시아 300지수'도 발표한다.3
3. 역사
1950년 9월 7월 도쿄증권거래소에 '제1부 수정평균주가'로 도입되어 1949년 5월 16일을 소급 기점으로 산출, 발표되었고, 1969년까지는 대표 공식 주가지표였다.그러나 도쿄증권거래소가 1969년 7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영어 약칭 TOPIX)를 도입하면서 1970년 공식 산출이 중단되었다.[7] 이를 1970년 7월부터 닛케이가 이어받아 산출하고 있다.
1975년부터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와 제휴하여 '닛케이 다우 평균주가'라는 이름을 달았다.
1985년부터 닛케이평균주가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가 절정이었던 시기인 1989년 12월 29일에 38,957.44엔을 찍었는데, 이후 일본은 장기 침체를 겪었고 영원히 경신 불가능할거라는 평가를 받으며 오랫동안 역사상 최고치로 남아 있었다. 이 기록은 35년 후인 2024년 2월 22일에야 깨졌다.# 이후 1989년 38,000엔포인트에서 2003년 15년동안 무려 -80%P나 추락한 8,000엔 포인트로 마감했다.
2010년대 들어서 아베노믹스로 막대한 통화 유동성이 풀리고, 일본 엔 가치가 장기 하향하면서 수출이 호조세를 띄자, 버블경제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10월 일반적으로 한국계회사로 알려진 넥슨이 닛케이 225에 편입되어 화제가 되었다. 원래 닛케이 225를 구성한 주식인 훼미리마트를 모회사인 이토추가 공개매수로 패밀리마트를 상장폐지하면서 생긴 공석에 넥슨이 포함되었다. 일본 넥슨 본사는 한국의 넥슨 코리아를 100% 소유한 모회사이다. 한국 중국 매출이 대부분이고 일본 매출은 미미해서 일본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데[8] 일본경제의 대표인 닛케이225에 편입된 점이 특이하다.
2020년 11월, NTT 도코모가 NTT의 완전자회사가 되어 상장폐지됨에 따라 샤프전자가 새로 닛케이 225에 편입되었다.
2024년 1월 12일, 35,000엔포인트를 돌파하며, 34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9] 반도체, 해운 등의 분야에서 강세를 띄고 있으며, 기업들의 상당수가 역대 순이익 최고치를 기록하며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과 배당 지급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또한 기시다 후미오 총리 재임 이후 2023년 3월부터 도쿄증권거래소에서 PBR 1 이하 기업들을 대상으로 개선 방침과 이행 목표를 공개하도록 요구했으며, 2024년 1월부터는 매월 공표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해당 정책 발표 이후 일본의 PBR 1배수 이하 기업 비중은 51%에서 연말 기준 44%로 낮아졌다.
2023년 한 해동안 30%에 육박하는 지수 상승 추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를 더블 스코어로 눌렀을 정도다.[10][11] 이 처럼 일본의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의 호조 덕분에 시장에서는 오는 4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우에다 가즈오 체제의 일본은행이 제로금리와 양적완화(YCC:수익률곡선제어) 폐기를 선언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캐리트레이드 효용성을 줄이며 지나친 엔화 약세를 해소하고, 드디어 1% 수준으로 높아진 물가 덕분에 디플레 걱정을 다소 덜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닛케이의 호조세가 멈출 가능성도 상당하다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하지만 2024년 1월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주는 NISA 정책을 실시한 이후 2월 16일 장중에 38,865엔 포인트를 돌파하는 등 새해에 들어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종가 기준으로 1989년 12월 29일 38,915엔 포인트에 고작 50선을 남겨두고 있다.
결국 2월 22일, 3만 9,098엔 포인트 종가를 기록하며 영원히 경신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던 1989년 거품경제 시절 고점을 경신하고 34년 2개월만에 신고점을 돌파했다. NVIDIA가 당일 새벽에 다시 한 번 역대급 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 기술주 위주로 증시가 하루에만 2% 이상 상승했다. 반도체 기업들을 중심으로 사무라이 7[12]이라는 일본 증시 주도주 신조어도 탄생했다. 그리고 3월 4일 40,109엔 포인트로 이제 40,000도 돌파했다.
3월 19일 일본은행이 YCC 폐기 및 기준금리를 기존 -0.1%에서 0~0.1%대로 10bp 인상하면서, 2016년부터 이어졌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종식되었다. 이는 2023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엔화 약세 및 일본 증시 강세 현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7월 11일 미국 시장 상승 여파로 장중 42,426엔 포인트로 42,000선을 돌파하며 또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42,224.02에 장을 마감했으며 42,000선을 넘겨 장을 마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 구성 종목
<colbgcolor=#fff><colcolor=#fe0000> 업종 | 코드 | 기업 |
수산 | 1332 | 일본수산 |
1333 | 마루하 니치로 | |
광업 | 1605 | 인펙스 |
건설 | 1721 | 컴시스 홀딩스 |
1801 | 다이세이건설 | |
1802 | 오바야시구미 | |
1803 | 시미즈건설 | |
1808 | 하세코 코퍼레이션 | |
1812 | 카지마건설 | |
1925 | 다이와하우스공업 | |
1928 | 세키스이하우스 | |
1963 | 닛키 홀딩스 | |
식품 | 2002 | 닛신제분 그룹본사 |
2269 | 메이지 홀딩스 | |
2282 | 닛폰햄 | |
2501 | 삿포로 홀딩스 | |
2502 | 아사히그룹 홀딩스 | |
2503 | 기린 홀딩스 | |
2531 | 다카라 홀딩스 | |
2801 | 킷코만 | |
2802 | 아지노모토 | |
2871 | 니치레이 | |
2914 | 일본담배산업 | |
섬유 | 3101 | 토요보 |
3103 | 유니치카 | |
3401 | 테이진 | |
3402 | 도레이 | |
펄프 종이 | 3861 | 오지 홀딩스 |
3863 | 일본제지 | |
화학 | 3405 | 쿠라레 |
3407 | 아사히카세이 | |
4004 | 쇼와덴코 | |
4005 | 스미토모화학 | |
4021 | 닛산화학 | |
4042 | 토소 | |
4043 | 도쿠야마 | |
4061 | 덴카 | |
4063 | 신에츠화학공업 | |
4183 | 미쓰이화학 | |
4188 | 미쓰비시 케미칼 그룹 | |
4208 | UBE[구] | |
4452 | 카오 | |
4631 | DIC | |
4901 | 후지필름 홀딩스 | |
4911 | 시세이도 | |
6988 | 닛토덴코 | |
의약 | 4151 | 쿄와기린 |
4502 | 다케다약품공업 | |
4503 | 아스텔라스 제약 | |
4506 | 대일본스미토모제약 | |
4507 | 시오노기 제약 | |
4519 | 주가이제약 | |
4523 | 에자이 | |
4568 | 다이이치산쿄 | |
4578 | 오츠카 홀딩스 | |
석유 | 5019 | 이데미츠코산 |
5020 | ENEOS 홀딩스 | |
고무 | 5101 | 요코하마 고무 |
5108 | 브리지스톤 | |
요업 | 5201 | AGC[14] |
5202 | 일본판유리 | |
5214 | 일본전기초자 | |
5232 | 스미토모오사카시멘트 | |
5233 | 태평양시멘트 | |
5301 | 도카이카본 | |
5332 | TOTO | |
5333 | 일본 가이시 | |
철강 | 5401 | 일본제철 |
5406 | 고베제강소 | |
5411 | JFE홀딩스 | |
5541 | 태평양금속 | |
비철금속 | 3436 | SUMCO |
5703 | 일본경금속홀딩스 | |
5706 | 미쓰이금속광업 | |
5707 | 도호아연 | |
5711 | 미쓰비시머티리얼 | |
5713 | 스미토모금속광산 | |
5714 | DOWA홀딩스 | |
5801 | 후루카와전기공업 | |
5802 | 스미토모전기공업 | |
5803 | 후지쿠라 | |
5901 | 도요제관그룹홀딩스 | |
기계 | 5631 | 일본제강소 |
6103 | 오쿠마 | |
6113 | 아마다 | |
6301 | 코마츠 제작소 | |
6302 | 스미토모중기계공업 | |
6305 | 히타치건기 | |
6326 | 구보다 | |
6361 | 에바라 제작소 | |
6367 | 다이킨공업 | |
6471 | 일본정공 | |
6472 | NTN | |
6473 | 제이텍트 | |
7004 | 히타치조선 | |
7011 | 미쓰비시 중공업 | |
7013 | IHI | |
전기기기 | 3105 | 닛신보 홀딩스 |
6479 | 미네베아미쓰미 | |
6501 | 히타치제작소 | |
6503 | 미쓰비시전기 | |
6504 | 후지전기 | |
6506 | 야스카와전기 | |
6645 | 오므론 | |
6674 | GS유아사 코퍼레이션 | |
6701 | 일본전기 | |
6702 | 후지쯔 | |
6703 | 오키전기공업 | |
6724 | 세이코 엡손 | |
6752 | 파나소닉 | |
6753 | 샤프 | |
6758 | 소니그룹 | |
6762 | TDK | |
6770 | 알프스알파인 | |
6841 | 요코가와전기 | |
6857 | 어드반테스트 | |
6902 | 덴소 | |
6952 | 카시오계산기 | |
6954 | 화낙 | |
6971 | 교세라 | |
6976 | 다이요유덴 | |
7735 | 스크린 홀딩스 | |
7751 | 캐논 | |
7752 | RICOH | |
8035 | 도쿄 일렉트론 | |
조선 | 7003 | 미쓰이 E&S |
7012 | 가와사키 중공업 | |
자동차 | 7201 | 닛산 |
7202 | 이스즈 | |
7203 | 토요타 | |
7205 | 히노자동차 | |
7211 | 미쓰비시 자동차 | |
7261 | 마쓰다 | |
7267 | 혼다기연공업 | |
7269 | 스즈키 | |
7270 | 스바루 | |
7272 | 야마하 모터 | |
정밀기기 | 4543 | 테루모 |
4902 | 코니카미놀타 | |
7731 | 니콘 | |
7733 | 올림푸스 | |
7762 | 시티즌시계 | |
기타제조 | 7832 | 반다이 남코 홀딩스 |
7911 | 돗판인쇄 | |
7912 | 다이니폰인쇄 | |
7951 | 야마하 | |
상사 | 2768 | 소지츠 |
8001 | 이토추 | |
8002 | 마루베니 | |
8015 | 토요타 통상 | |
8031 | 미쓰이물산 | |
8053 | 스미토모상사 | |
8058 | 미쓰비시 상사 | |
소매업 | 3086 | J프론트리테일링 |
3099 | 미츠코시이세탄홀딩스 | |
3382 | 세븐&아이홀딩스 | |
8233 | 다카시마야 | |
8252 | 마루이그룹 | |
8267 | 이온 | |
9983 | 패스트리테일링 | |
은행 | 7186 | 콘코르디아파이낸셜그룹 |
8303 | 신세이은행 | |
8304 | 아오조라은행 | |
8306 |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 | |
8308 | 리소나홀딩스 | |
8309 | 미쓰이스미토모트러스트홀딩스 | |
8316 | 미쓰이스미토모파이낸셜그룹 | |
8331 | 지바은행 | |
8354 | 후쿠오카파이낸셜그룹 | |
8355 | 시즈오카은행 | |
8411 |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 |
증권 | 8601 | 다이와증권그룹본사 |
8604 | 노무라홀딩스 | |
8628 | 마쓰이증권 | |
보험 | 8630 | SOMPO홀딩스 |
8725 | MS&AD인슈어런스그룹 홀딩스 | |
8750 | 다이이치생명 홀딩스 | |
8766 | 도쿄해상홀딩스 | |
8795 | T&D 홀딩스 | |
기타금융 | 8253 | 크레디세존 |
8697 | 일본거래소그룹 | |
부동산 | 3289 | 도큐부동산 홀딩스 |
8801 | 미쓰이부동산 | |
8802 | 미쓰비시지소 | |
8804 | 도쿄건물 | |
8830 | 스미토모부동산 | |
철도, 버스 | 9001 | 도부 철도 |
9005 | 도큐 전철 | |
9007 | 오다큐 전철 | |
9008 | 게이오 전철 | |
9009 | 게이세이 전철 | |
9020 | 동일본여객철도 | |
9021 | 서일본여객철도 | |
9022 | 도카이여객철도 | |
육운 | 9062 | 일본통운 |
9064 | 야마토홀딩스 | |
해운 | 9101 | 일본우선 |
9104 | 상선미쓰이 | |
9107 | 카와사키키센 | |
공운 | 9202 | ANA홀딩스 |
창고 | 9301 | 미쓰비시창고 |
통신 | 9412 | 스카파JSAT홀딩스 |
9432 | 일본전신전화 | |
9433 | KDDI | |
9434 | 소프트뱅크 | |
9613 | NTT 데이타 | |
9984 | 소프트뱅크 그룹 | |
전력 | 9501 | 도쿄전력홀딩스 |
9502 | 주부전력 | |
9503 | 간사이전력 | |
가스 | 9531 | 도쿄가스 |
9532 | 오사카가스 | |
서비스 | 2413 | 엠스리[15] |
2432 | DeNA | |
3659 | 넥슨 [16] | |
4324 | 덴츠그룹 | |
4689 | Z홀딩스 | |
4704 | 트렌드마이크로 | |
4751 | 사이버에이전트 | |
4755 | 라쿠텐 | |
6098 | 리크루트 홀딩스 | |
6178 | 일본우정 | |
9602 | 도호 | |
9735 | 세콤 | |
9766 | 코나미홀딩스 | |
2020년 기준# |
[clearfix]
5. 한계점
- 오사카증권거래소가 오래 전부터 도쿄증권거래소와 교차상장이 이루어지고 2013년에는 아예 현물시장이 도쿄로 통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오사카 거래소에서 넘어온 종목은 지수에 편입되지 않았다. 심지어 키엔스(2021년 기준 시가총액 2위)나 닌텐도(16위) 등의 최상위 대형주도 포함시키지 않았다.[17] 2019년에 처음으로 오므론(102위)이 등재되었으며, 2021년 개편에서는 드디어 상위 종목인 키엔스와 닌텐도, 무라타 제작소(18위)가 입성하게 되었다.(닛케이 발표문) 아직 등재되지 않은 오사카 출신 대형주는 닛폰페인트(이하 2024년초 기준 78위), 시마노(104위), 캡콤(116위) 등이 있다. 이외에도 나고야 거래소[18] 출신 종목으로도 토요타자동직기(39위). 아이신(115위), 마키타(167위) 등이 빠져 있다.
- 시장 최대 종목인 토요타의 지수 영향이 단 1.4%에 불과한 데 비해 수만엔 대의 고가주인 패스트 리테일링, 도쿄 일렉트론, 다이킨공업 등이 실제 시장 비중에 비해 과대 반영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산술평균형 인덱스 펀드의 단점[19]을 언급할 때마다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TOPIX와 대조하면 전반적인 상승, 하락은 맞춰지지만 수치에 약간씩 차이가 난다. 가령 연간 변동이 TOPIX가 2020년 +4.8%, 2021년 +10.4%인 데 비해 닛케이 225는 각각 +16.0%, +4.7%였다. 시장 동향에 대한 해석이 반대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6. 관련 문서
[1]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후 증권시장이 재개장한 날이다.[2] 원조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달리 '포인트' 대신 화폐단위인 '엔'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거꾸로 다우존스 지수를 '달러'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3] 가령 액면가 50엔짜리 주식을 5엔으로 분할하여 주가가 1/10으로 되었다면 이를 50엔 액면으로 환산하여 산출한다.[4] 새로 들어온 종목이 고가 주식으로서 퇴출 종목과 주가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시장 상황은 변화가 없음에도 종목 변경만으로 지수가 널뛸 수 있다.[5] 신규 종목은 액면가 추정을 하지 않음.[6] 일본거래소와의 제휴 지수로, 도쿄증권거래소 공식지수에 들어간다.[7] 코스피 지수도 이와 비슷한 전철을 밟았다. 지수발표 자체는 1964년부터 시작했지만 지수산출과정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여러번 산출시점이 변경되었고 이로 인해 주가비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자 아예 시가총액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쪽은 기존지수가 산출시점이 여러번 변경되어 초보자가 주가 수준 비교를 하기에는 여러모로 문제가 있었기에 성공적으로 지수교체를 한 예다.[8] 다만 게임 및 IT 업계에선 유명세를 떨친지 오래이다. 일본에 진출하거나 일본 한정 게임들이 몇개 있다.[9] 2021년 2월에 30,000선을 돌파한 이후 잠시 박스권에 갇혀있었으나, 이를 다시 돌파한 상황이다.[10] 2012년 12월 아베 취임 이후 닛케이 225는 250%에 가까운 상승률을 보인 반면, 코스피는 30% 상승에 그치며 2,000~2,500 구간 박스권에 갇혔다. 낮은 주주환원율과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성장 둔화와 높아진 자립도, 수도권 부동산 열풍으로 인해 부족한 시장 유동성 등이 주된 향방을 갈랐다.[11] 한편 닛케이 225가 250% 상승하는 동안, 미국 달러 대비 일본 엔 교환비는 80% 폭등하며, 상당한 통화가치 하락이 이루어졌다. 코로나 버블 이후 연준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일본은행은 디플레 해소를 위해 제로금리 및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하며 캐리 트레이드 등으로 엔화 매도세가 상당했던 영향이 컸다.[12] 골드만삭스가 제시했으며, 반도체 업체인 도쿄 일렉트론, 아드반테스트, 스크린 홀딩스, 디스코와 더불어 미쓰비시 상사, 토요타, 스바루가 포함되었다.[구] 우베코산[14] 구 아사히글라스[15] 소니 계열의 의료서비스 회사[16] 한국 넥슨의 100% 모회사[17] 다만 다이킨 공업(7위)과 같이 오사카 출신이라도 중복상장이 아니라 도쿄로 완전히 이전한 경우에는 초기부터 채용되었다.[18] 도쿄, 오사카 거래소 합병에 포함되지 않아 현재도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종목은 모두 나고야-도쿄 중복 상장이다.[19] 산출 방식을 따온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의 문제점을 똑같이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