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 관련 틀 | ||||||||||||||||||||||||||||||||||||||||||||||||||||||
|
현재 일본의 연호 |
[ruby(令, ruby=れい, color=#FFF)] [ruby(和, ruby=わ, color=#FFF)] [ruby(六, ruby=ろく, color=#FFF)] [ruby(年, ruby=ねん, color=#FFF)] 레이와 [age(2018-01-01)]년 |
2019년 5월 1일 ~ 현재 |
1. 개요
일본에서는 현대에도 연호를 널리 사용한다. 연호를 일본에서는 원호([ruby(元号, ruby=げんごう)])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서력기원을 약칭하여 흔히들 서기(西紀)라고 하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는 서력(西暦)이라고 하는데, 연호를 서력에 대응하여 화력([ruby(和暦, ruby=われき)])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 사용 역사
일본은 645년 고토쿠 천황이 즉위하며 처음으로 다이카(大化)라는 연호를 채택했다.[1] 650년에는 하쿠치(白雉)라고 개원했지만 654년에 연호 사용을 중지했다. 686년 덴무 천황이 죽음을 앞두고 잠깐 슈초(朱鳥)라는 연호를 사용했지만 사용기간은 고작해야 한 달 보름에 불과했다. 701년 몬무 천황이 다이호(大宝) 연호를 채택한 이후로는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연호를 사용한다.3. 변경 원칙
3.1. 혁명개원
일본에는 새 천황이 즉위할 때, 나라에 자연재해가 계속될 때 개원(연호변경)하는 관례가 있었다.[2]신유(辛酉)년과 갑자(甲子)년에 개원하는 관례도 있었는데 이를 '혁명개원(革命改元)'이라 부른다. 두 해가 역학적으로 큰 변화의 때라 '역성혁명의 변화'가 일어날까 봐 미리 연호를 바꾸어 차단하겠다는 주술적인 의도였다.[3] 이 관습은 <역위(易緯)>[4]라는 중국 도참설 서적에 근거한 것이다. <역위>에는 "辛酉爲革命, 甲子爲革令"(신유년에는 혁명, 갑자년에는 혁령이 된다.) 하는 구절이 있다. 일본 조정은 혁명의 해를 앞두고 여러 학자들에게 연호를 무엇으로 바꾸면 좋을지 생각을 적어 올리라고 하였는데, 이때 학자들이 올린 글을 혁명감문(革命勘文) 또는 혁령감문(革令勘文)이라고 불렀다.[5]
헤이안 시대의 학자 미요시 키요유키(三善清行, 847-918)가 주장하여 신유년이 되는 901년을 엔기(延喜) 원년으로 개원한 데서 혁명개원이 시작했다.[6] 원래 혁명과 혁령은 동의어지만, <역위>의 표현에 따라 신유혁명, 갑자혁령이라고 쓴다. 혁령보단 혁명이 더 대중적인 단어이므로 '갑자혁명'이라고 쓰는 경우도 왕왕 있지만 '신유혁령'이라고 쓰는 경우는 없다.[7] 신유년으로부터 3년 뒤면 갑자년이다. 따라서 혁명개원 관습을 철저히 지킨다면, 신유년에 개원하여도 연호를 최대 3년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또 바꿔야 한다.
혁명개원이 처음 실시된 이후 개원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신유년 중에는 1561년, 1621년, 갑자년 중에서는 1564년이었다. 이중 1561년, 1564년에는 당시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이었던 아시카가 요시테루가 개원에 소극적이었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8]
이러한 관습들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세일원제[9]가 확립되어 사라졌다.
3.2. 즉일 개원
유신 이후로 일본은 군주가 사망하면 즉일개원(即日改元)한다. 선왕이 죽은 뒤 새 연호에 관한 포고령을 내려, 포고령을 내린 그날부터 새 연호를 사용함을 가리킨다. 포고령이 발표되는 날은 선왕이 죽은 날, 혹은 그 다음 날이다. 중국식으로는 훙월칭원법(薨月稱元法)에 해당한다. 군주가 죽음을 훙薨이라 한다. 군주가 죽은 그 달에 연호를 바꾸는 것. 군주가 죽은 다음 달부터 새 연호를 사용하면 유월칭원법(踰月稱元法)이라 부른다.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의 원 간섭기 이전까지는 대체로 즉위년칭원법을 사용하였으나 이후부터는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을 사용했다. 이는 선왕이 죽은 해에는 그대로 선왕의 연호를 사용하고 그 다음 해부터 새 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따른다면 후계왕이 즉위한 해는 새 연호의 원년이 아니라 구 연호의 마지막 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흔히 즉위년과 새 연호의 원년을 구분하여 말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유년칭원법이 유교의 전통적인 예법이었다. 선왕이 죽은 날 바로 새 연호를 반포, 시행함은 유교식 원칙에 어긋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는 안 되지만 편의상 구 연호의 마지막 해와 새 연호의 원년을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곤 한다. 즉 헤이세이 1년(원년) 7월 1일을 쇼와 64년 7월 1일이라고도 한다는 것.
4. 역대 연호
4.1. 아스카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다이카 | 大化 | 대화 | 645년 7월 17일 (다이카 원년 6월 19일) | 650년 3월 22일 (다이카 6년 2월 15일) | 4년 250일 | 고토쿠 덴노 | 다이카 개신에 의한 일본 최초의 연호 |
하쿠치 | 白雉 | 백치 | 650년 3월 22일 (다이카 6년 2월 15일) | 654년 11월 24일 (하쿠치 5년 10월 10일) | 4년 249일 | ||
연호 사용 중지 | |||||||
슈초 | 朱鳥 | 주조 | 686년 8월 14일 (슈초 원년 7월 20일) | 686년 10월 1일 (슈초 1년 9월 9일) | 1개월 18일 | 덴무 덴노 | |
연호 사용 중지 | |||||||
다이호 | 大宝 | 대보 | 701년 5월 3일 (다이호 원년 3월 21일) | 704년 6월 16일 (다이호 4년 5월 10일) | 3년 46일 | 몬무 덴노 | 다이호 율령의 반포 |
게이운 | 慶雲 | 경운 | 704년 6월 16일 (다이호 4년 5월 10일) | 708년 2월 7일 (게이운 5년 1월 11일) | 3년 237일 | 게이운의 개혁 | |
와도 | 和銅 | 화동 | 708년 2월 7일 (게이운 5년 1월 11일) | 715년 10월 3일 (와도 8년 9월 2일) | 7년 241일 | 겐메이 덴노 |
4.2. 나라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레이키 | 霊亀 | 영귀 | 715년 10월 3일 (와도 8년 9월 2일) | 717년 12월 14일 (레이키 3년 11월 17일) | 2년 74일 | 겐쇼 덴노 | |
요로 | 養老 | 양로 | 717년 12월 14일 (레이키 3년 11월 17일) | 724년 3월 3일 (요로 8년 2월 4일) | 6년 82일 | 요로 율령의 반포 | |
진키 | 神亀 | 신귀 | 724년 3월 3일 (요로 8년 2월 4일) | 729년 9월 2일 (진키 6년 8월 5일) | 5년 185일 | 쇼무 덴노 | |
덴표 | 天平 | 천평 | 729년 9월 2일 (진키 6년 8월 5일) | 749년 5월 4일 (덴표 21년 4월 14일) | 19년 250일 | 덴표 문화(天平文化)의 어원 | |
덴표칸포 | 天平感宝 | 천평감보 | 749년 5월 4일 (덴표 21년 4월 14일) | 749년 8월 19일 (덴표칸포 1년 7월 2일) | 3개월 16일 | ||
덴표쇼호 | 天平勝宝 | 천평승보 | 749년 8월 19일 (덴표칸포 1년 7월 2일) | 757년 9월 6일 (덴표쇼호 9년 8월 18일) | 8년 19일 | 고켄 덴노 | |
덴표호지 | 天平宝字 | 천평보자 | 757년 9월 6일 (덴표쇼호 9년 8월 18일) | 765년 2월 1일 (덴표호지 9년 1월 7일) | 7년 151일 | 고켄 덴노, 준닌 덴노 | |
덴표진고 | 天平神護 | 천평신호 | 765년 2월 1일 (덴표호지 9년 1월 7일) | 767년 9월 13일 (덴표진고 3년 8월 16일) | 2년 225일 | 쇼토쿠 덴노 | |
진고케이운 | 神護景雲 | 신호경운 | 767년 9월 13일 (덴표진고 3년 8월 16일) | 770년 10월 23일 (진고케이운 4년 10월 1일) | 3년 42일 | ||
호키 | 宝亀 | 보귀 | 770년 10월 23일 (진고케이운 4년 10월 1일) | 787년 1월 30일 (호키 12년 1월 1일) | 16년 104일 | 고닌 덴노 | |
텐오 | 天応 | 천응 | 781년 1월 30일 (호키 12년 1월 1일) | 782년 9월 30일 (텐오 2년 8월 19일) | 1년 244일 | ||
엔랴쿠 | 延暦 | 연력 | 782년 9월 30일 (텐오 2년 8월 19일) | 806년 6월 8일 (엔랴쿠 25년 5월 18일) | 23년 258일 | 간무 덴노 | 시가현의 유명 고찰 엔랴쿠지(延曆寺)의 어원 |
4.3. 헤이안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다이도 | 大同 | 대동 | 806년 6월 8일 (엔랴쿠 25년 5월 18일) | 810년 10월 20일 (다이도 5년 9월 19일) | 4년 136일 | 헤이제이 덴노 | |
고닌 | 弘仁 | 홍인 | 810년 10월 20일 (다이도 5년 9월 19일) | 824년 2월 8일 (고닌 15년 1월 5일) | 13년 115일 | 사가 덴노 | 고닌격식의 편찬 |
덴초 | 天長 | 천장 | 824년 2월 8일 (고닌 15년 1월 5일) | 834년 2월 14일 (덴초 11년 1월 3일) | 10년 7일 | 준나 덴노 | |
조와 | 承和 | 승화 | 834년 2월 14일 (덴초 11년 1월 3일) | 848년 7월 16일 (조와 15년 6월 13일) | 14년 157일 | 닌묘 덴노 | 조와의 변 |
가쇼 | 嘉祥 | 가상 | 848년 7월 16일 (조와 15년 6월 13일) | 851년 6월 1일 (가쇼 4년 4월 28일) | 1년 321일 | ||
닌주 | 仁寿 | 인수 | 851년 6월 1일 (가쇼 4년 4월 28일) | 854년 12월 23일 (닌주 4년 11월 30일) | 3년 207일 | 몬토쿠 덴노 | |
사이코 | 斉衡 | 제형 | 854년 12월 23일 (닌주 4년 11월 30일) | 857년 3월 20일 (사이코 4년 2월 21일) | 2년 89일 | ||
덴난 | 天安 | 천안 | 857년 3월 20일 (사이코 4년 2월 21일) | 859년 5월 20일 (텐난 3년 4월 15일) | 2년 62일 | ||
조간 | 貞観 | 정관 | 859년 5월 20일 (텐난 3년 4월 15일) | 877년 6월 1일 (조간 19년 4월 16일) | 18년 13일 | 세이와 덴노 | 조간격식의 편찬 |
간교 | 元慶 | 원경 | 877년 6월 1일 (조간 19년 4월 16일) | 885년 3월 11일 (간교 9년 2월 21일) | 7년 286일 | 요제이 덴노 | |
닌나 | 仁和 | 인화 | 885년 3월 11일 (간교 9년 2월 21일) | 889년 5월 30일 (닌나 5년 4월 27일) | 4년 82일 | 고코 덴노 | 교토의 유명 고찰 닌나지(仁和寺)의 어원 |
칸페이 | 寛平 | 관평 | 889년 5월 30일 (닌나 5년 4월 27일) | 898년 5월 20일 (칸페이 10년 4월 26일) | 8년 358일 | 우다 덴노 | |
쇼타이 | 昌泰 | 창태 | 898년 5월 20일 (칸페이 10년 4월 26일) | 901년 8월 31일 (쇼타이 4년 7월 15일) | 3년 105일 | 다이고 덴노 | 쇼타이의 변 |
엔기 | 延喜 | 연희 | 901년 8월 31일 (쇼타이 4년 7월 15일) | 923년 5월 29일 (엔기 23년 4월 11일) | 21년 277일 | 신유년의 첫 번째 혁명개원. 엔기격식의 편찬. 다이고 덴노 치세의 대표적인 연호로 다이고 덴노 치세 전반을 엔기의 치라고 함일 | |
엔초 | 延長 | 연장 | 923년 5월 29일 (엔기 23년 4월 11일) | 931년 5월 16일 (엔초 9년 4월 26일) | 7년 355일 | ||
조헤이 | 承平 | 승평 | 931년 5월 16일 (엔초 9년 4월 26일) | 938년 6월 22일 (조헤이 8년 5월 22일) | 7년 40일 | 스자쿠 덴노 | 조헤이의 난 |
텐교 | 天慶 | 천경 | 938년 6월 22일 (조헤이 8년 5월 22일) | 947년 5월 15일 (텐교 10년 4월 22일) | 8년 330일 | 텐교의 난 | |
텐랴쿠 | 天暦 | 천력 | 947년 5월 15일 (텐교 10년 4월 22일) | 957년 11월 21일 (텐랴쿠 11년 10월 27일) | 10년 194일 | 무라카미 덴노 | 무라카미 덴노 치세의 대표적인 연호로 무라카미 덴노의 치세 전반을 텐랴쿠의 치라고 함일 |
텐토쿠 | 天徳 | 천덕 | 957년 11월 21일 (텐랴쿠 11년 10월 27일) | 961년 3월 5일 (텐토쿠 5년 2월 16일) | 3년 106일 | ||
오와 | 応和 | 응화 | 961년 3월 5일 (텐토쿠 5년 2월 16일) | 964년 8월 19일 (오와 4년 7월 10일) | 3년 169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코호 | 康保 | 강보 | 964년 8월 19일 (오와 4년 7월 10일) | 968년 9월 8일 (코호 5년 8월 13일) | 4년 21일 | 갑자년의 첫 번째 혁령개원 | |
안나 | 安和 | 안화 | 968년 9월 8일 (코호 5년 8월 13일) | 970년 5월 3일 (안와 3년 3월 25일) | 1년 238일 | 레이제이 덴노 | 안나의 변 |
텐로쿠 | 天禄 | 천록 | 970년 5월 3일 (안와 3년 3월 25일) | 974년 1월 16일 (텐로쿠 4년 12월 20일) | 3년 260일 | 엔유 덴노 | |
텐엔 | 天延 | 천연 | 974년 1월 16일 (텐로쿠 4년 12월 20일) | 976년 8월 11일 (텐엔 4년 7월 13일) | 2년 209일 | ||
조겐 | 貞元 | 정원 | 976년 8월 11일 (텐엔 4년 7월 13일) | 978년 12월 31일 (조겐 3년 11월 29일) | 2년 143일 | ||
덴겐 | 天元 | 천원 | 978년 12월 31일 (조겐 3년 11월 29일) | 983년 5월 29일 (덴겐 6년 4월 15일) | 4년 151일 | ||
에이칸 | 永観 | 영관 | 983년 5월 29일 (덴겐 6년 4월 15일) | 985년 5월 19일 (에이칸 3년 4월 27일) | 1년 357일 | ||
칸와 | 寛和 | 관화 | 985년 5월 19일 (에이칸 3년 4월 27일) | 987년 5월 5일 (칸와 3년 4월 5일) | 1년 352일 | 가잔 덴노 | |
에이엔 | 永延 | 영연 | 987년 5월 5일 (칸와 3년 4월 5일) | 989년 9월 10일 (에이엔 3년 8월 8일) | 2년 130일 | 이치조 덴노 | |
에이소 | 永祚 | 영조 | 989년 9월 10일 (에이엔 3년 8월 8일) | 990년 11월 26일 (에이소 2년 11월 7일) | 1년 78일 | ||
쇼랴쿠 | 正暦 | 정력 | 990년 11월 26일 (에이소 2년 11월 7일) | 995년 3월 25일 (쇼랴쿠 6년 2월 22일) | 4년 121일 | ||
조토쿠 | 長徳 | 장덕 | 995년 3월 25일 (쇼랴쿠 6년 2월 22일) | 999년 2월 1일 (조토쿠 5년 1월 13일) | 3년 315일 | ||
조호 | 長保 | 장보 | 999년 2월 1일 (조토쿠 5년 1월 13일) | 1004년 8월 8일 (조호 6년 7월 20일) | 5년 191일 | ||
칸코 | 寛弘 | 관홍 | 1004년 8월 8일 (조호 6년 7월 20일) | 1013년 2월 8일 (칸코 9년 12월 25일) | 8년 187일 | ||
조와 | 長和 | 장화 | 1013년 2월 8일 (칸코 9년 12월 25일) | 1017년 5월 21일 (조와 6년 4월 23일) | 4년 104일 | 산조 덴노 | |
칸닌 | 寛仁 | 관인 | 1017년 5월 21일 (조와 6년 4월 23일) | 1021년 3월 17일 (칸닌 5년 2월 2일) | 3년 302일 | 고이치조 덴노 | |
지안 | 治安 | 치안 | 1021년 3월 17일 (칸닌 5년 2월 2일) | 1024년 8월 19일 (지안 4년 7월 13일) | 3년 157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만주 | 万寿 | 만수 | 1024년 8월 19일 (지안 4년 7월 13일) | 1028년 8월 18일 (만주 5년 7월 25일) | 4년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조겐 | 長元 | 장원 | 1028년 8월 18일 (만주 5년 7월 25일) | 1037년 5월 9일 (조겐 10년 4월 21일) | 8년 267일 | ||
조랴쿠 | 長暦 | 장력 | 1037년 5월 9일 (조겐 10년 4월 21일) | 1040년 12월 16일 (조랴쿠 4년 11월 10일) | 3년 223일 | 고스자쿠 덴노 | |
조큐 | 長久 | 장구 | 1040년 12월 16일 (조랴쿠 4년 11월 10일) | 1044년 12월 16일 (조큐 5년 11월 24일) | 4년 1일 | ||
칸토쿠 | 寛徳 | 관덕 | 1044년 12월 16일 (조큐 5년 11월 24일) | 1046년 5월 22일 (칸토쿠 3년 4월 14일) | 1년 158일 | ||
에이쇼 | 永承 | 영승 | 1046년 5월 22일 (칸토쿠 3년 4월 14일) | 1053년 2월 20일 (에이쇼 8년 1월 11일) | 6년 277일 | 고레이제이 덴노 | |
텐기 | 天喜 | 천희 | 1053년 2월 20일 (에이쇼 8년 1월 11일) | 1058년 9월 19일 (텐기 6년 8월 29일) | 5년 213일 | ||
고헤이 | 康平 | 강평 | 1058년 9월 19일 (텐기 6년 8월 29일) | 1065년 9월 4일 (고헤이 8년 8월 2일) | 6년 353일 | ||
지랴쿠 | 治暦 | 치력 | 1065년 9월 4일 (고헤이 8년 8월 2일) | 1069년 5월 6일 (지랴쿠 5년 4월 13일) | 3년 246일 | ||
엔큐 | 延久 | 연구 | 1069년 5월 6일 (지랴쿠 5년 4월 13일) | 1074년 9월 16일 (엔큐 6년 8월 23일) | 5년 135일 | 고산조 덴노 | 엔큐의 선정(延久の善政) |
조호 | 承保 | 승보 | 1074년 9월 16일 (엔큐 6년 8월 23일) | 1077년 12월 5일 (조호 4년 11월 17일) | 3년 82일 | 시라카와 덴노 | |
조랴쿠 | 承暦 | 승력 | 1077년 12월 5일 (조호 4년 11월 17일) | 1081년 3월 22일 (조랴쿠 5년 2월 10일) | 3년 109일 | ||
에이호 | 永保 | 영보 | 1081년 3월 22일 (조랴쿠 5년 2월 10일) | 1084년 3월 15일 (에이호4년 2월 7일) | 2년 360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오토쿠 | 応徳 | 응덕 | 1084년 3월 15일 (에이호4년 2월 7일) | 1087년 5월 11일 (오토쿠 4년 4월 7일) | 3년 58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칸지 | 寛治 | 관치 | 1087년 5월 11일 (오토쿠 4년 4월 7일) | 1095년 1월 23일 (칸지 8년 12월 15일) | 7년 260일 | 호리카와 덴노 | |
카호 | 嘉保 | 가보 | 1095년 1월 23일 (칸지 8년 12월 15일) | 1097년 1월 3일 (카호 3년 12월 17일) | 1년 347일 | ||
에이초 | 永長 | 영장 | 1097년 1월 3일 (카호 3년 12월 17일) | 1097년 12월 27일 (에이초 2년 11월 21일) | 11개월 25일 | ||
조토쿠 | 承徳 | 승덕 | 1097년 12월 27일 (에이초 2년 11월 21일) | 1099년 9월 15일 (조토쿠 3년 8월 28일) | 1년 263일 | ||
코와 | 康和 | 강화 | 1099년 9월 15일 (조토쿠 3년 8월 28일) | 1104년 3월 8일 (코와 6년 2월 10일) | 4년 177일 | ||
초지 | 長治 | 장치 | 1104년 3월 8일 (코와 6년 2월 10일) | 1106년 5월 13일 (초지 3년 4월 9일) | 2년 67일 | ||
가쇼 | 嘉承 | 가승 | 1106년 5월 13일 (초지 3년 4월 9일) | 1108년 9월 9일 (가쇼 3년 8월 3일) | 2년 121일 | ||
텐닌 | 天仁 | 천인 | 1108년 9월 9일 (가쇼 3년 8월 3일) | 1110년 7월 31일 (텐닌 3년 7월 13일) | 1년 326일 | 도바 덴노 | |
텐에이 | 天永 | 천영 | 1110년 7월 31일 (텐닌 3년 7월 13일) | 1113년 8월 25일 (텐에이 4년 7월 13일) | 3년 26일 | ||
에이큐 | 永久 | 영구 | 1113년 8월 25일 (텐에이 4년 7월 13일) | 1118년 4월 25일 (에이큐 6년 4월 3일) | 4년 245일 | ||
겐에이 | 元永 | 원영 | 1118년 4월 25일 (에이큐 6년 4월 3일) | 1120년 5월 9일 (겐에이 3년 4월 10일) | 2년 15일 | ||
호안 | 保安 | 보안 | 1120년 5월 9일 (겐에이 3년 4월 10일) | 1124년 5월 18일 (호안 5년 4월 3일) | 4년 10일 | ||
텐지 | 天治 | 천치 | 1124년 5월 18일 (호안 5년 4월 3일) | 1126년 2월 15일 (텐지 3년 1월 22일) | 1년 274일 | 스토쿠 덴노 | |
다이지 | 大治 | 대치 | 1126년 2월 15일 (텐지 3년 1월 22일) | 1131년 2월 28일 (다이지 6년 1월 19일) | 5년 14일 | ||
텐쇼 | 天承 | 천승 | 1131년 2월 28일 (다이지 6년 1월 19일) | 1132년 9월 21일 (텐쇼 2년 8월 11일) | 1년 207일 | ||
초쇼 | 長承 | 장승 | 1132년 9월 21일 (텐쇼 2년 8월 11일) | 1135년 6월 10일 (초쇼 4년 4월 27일) | 2년 263일 | ||
호엔 | 保延 | 보연 | 1135년 6월 10일 (초쇼 4년 4월 27일) | 1141년 8월 13일 (호엔 7년 7월 10일) | 6년 67일 | ||
에이지 | 永治 | 영치 | 1141년 8월 13일 (호엔 7년 7월 10일) | 1142년 5월 25일 (에이지 2년 4월 28일) | 9개월 13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코지 | 康治 | 강치 | 1142년 5월 25일 (에이지 2년 4월 28일) | 1144년 3월 28일 (코지 3년 2월 23일) | 1년 309일 | 고노에 덴노 | |
텐요 | 天養 | 천양 | 1144년 3월 28일 (코지 3년 2월 23일) | 1145년 8월 12일 (텐요 2년 7월 22일) | 1년 138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큐안 | 久安 | 구안 | 1145년 8월 12일 (텐요 2년 7월 22일) | 1151년 2월 14일 (큐안 7년 1월 26일) | 5년 188일 | ||
닌표 | 仁平 | 인평 | 1151년 2월 14일 (큐안 7년 1월 26일) | 1154년 12월 4일 (닌표 4년 10월 28일) | 3년 295일 | ||
큐주 | 久寿 | 구수 | 1154년 12월 4일 (닌표 4년 10월 28일) | 1156년 5월 18일 (큐주 3년 4월 27일) | 1년 67일 | ||
호겐 | 保元 | 보원 | 1156년 5월 18일 (큐주 3년 4월 27일) | 1159년 5월 9일 (호겐 4년 4월 20일) | 2년 357일 | 고시라카와 덴노 | 호겐의 난 |
헤이지 | 平治 | 평치 | 1159년 5월 9일 (호겐 4년 4월 20일) | 1160년 2월 18일 (헤이지 2년 1월 10일) | 9개월 10일 | 니조 덴노 | 헤이지의 난 |
에이랴쿠 | 永暦 | 영력 | 1160년 2월 18일 (헤이지 2년 1월 10일) | 1161년 9월 24일 (에이랴쿠 2년 9월 4일) | 1년 220일 | ||
오호 | 応保 | 응보 | 1161년 9월 24일 (에이랴쿠 2년 9월 4일) | 1163년 5월 4일 (오호 3년 3월 29일) | 1년 223일 | ||
초칸 | 長寛 | 장관 | 1163년 5월 4일 (오호 3년 3월 29일) | 1165년 7월 14일 (초칸 3년 6월 5일) | 2년 73일 | ||
에이만 | 永万 | 영만 | 1165년 7월 14일 (초칸 3년 6월 5일) | 1166년 9월 23일 (에이만 2년 8월 27일) | 1년 72일 | ||
닌난 | 仁安 | 인안 | 1166년 9월 23일 (에이만 2년 8월 27일) | 1169년 5월 6일 (닌난 4년 4월 8일) | 2년 227일 | 로쿠조 덴노 | |
카오 | 嘉応 | 가응 | 1169년 5월 6일 (닌난 4년 4월 8일) | 1171년 5월 27일 (카오 3년 4월 21일) | 2년 22일 | 다카쿠라 덴노 | |
쇼안 | 承安 | 승안 | 1171년 5월 27일 (카오 3년 4월 21일) | 1175년 8월 16일 (쇼안 5년 7월 28일) | 4년 83일 | ||
안겐 | 安元 | 안원 | 1175년 8월 16일 (쇼안 5년 7월 28일) | 1177년 8월 29일 (안겐 3년 8월 4일) | 2년 14일 | ||
지쇼 | 治承 | 치승 | 1177년 8월 29일 (안겐 3년 8월 4일) | 1181년 8월 25일 (지쇼 5년 7월 14일) | 3년 363일 | ||
요와 | 養和 | 양화 | 1181년 8월 25일 (지쇼 5년 7월 14일) | 1182년 6월 29일 (요와 2년 5월 27일) | 10개월 5일 | 안토쿠 덴노 | |
주에이 | 寿永 | 수영 | 1182년 6월 29일 (요와 2년 5월 27일) | 1184년 5월 27일 (주에이 3년 4월 16일) | 1년 334일 | ||
겐랴쿠 | 元暦 | 원력 | 1184년 5월 27일 (주에이 3년 4월 16일) | 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 1년 106일 | 고토바 덴노 |
4.4. 가마쿠라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분지 | 文治 | 문치 | 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 1190년 5월 16일 (분지 6년 4월 11일) | 4년 251일 | 고토바 덴노 | |
켄큐 | 建久 | 건구 | 1185년 9월 9일 (겐랴쿠 2년 8월 14일) | 1199년 5월 23일 (켄큐 10년 4월 27일) | 9년 8일 | ||
쇼지 | 正治 | 정치 | 1199년 5월 23일 (켄큐 10년 4월 27일) | 1201년 3월 19일 (쇼지 3년 2월 13일) | 1년 302일 | 쓰치미카도 덴노 | |
켄닌 | 建仁 | 건인 | 1201년 3월 19일 (쇼지 3년 2월 13일) | 1204년 3월 23일 (켄닌 4년 2월 20일) | 3년 5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겐큐 | 元久 | 원구 | 1204년 3월 23일 (켄닌 4년 2월 20일), | 1206년 6월 5일 (겐큐 3년 4월 27일) | 2년 75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켄에이 | 建永 | 건영 | 1206년 6월 5일 (겐큐 3년 4월 27일) | 1207년 11월 16일 (켄에이 2년 10월 25일) | 1년 165일 | ||
쇼겐 | 承元 | 승원 | 1207년 11월 16일 (켄에이 2년 10월 25일) | 1211년 4월 23일 (쇼겐 5년 3월 9일) | 3년 160일 | ||
켄랴쿠 | 建暦 | 건력 | 1211년 4월 23일 (쇼겐 5년 3월 9일) | 1214년 1월 18일 (켄랴쿠 3년 12월 6일) | 2년 272일 | 준토쿠 덴노 | |
켄포 | 建保 | 건보 | 1214년 1월 18일 (켄랴쿠 3년 12월 6일) | 1219년 5월 27일 (켄포 7년 4월 12일) | 5년 131일 | ||
조큐 | 承久 | 승구 | 1219년 5월 27일 (켄포 7년 4월 12일) | 1222년 5월 25일 (조큐 4년 4월 13일) | 3년 | 조큐의 난 | |
조오 | 貞応 | 정응 | 1222년 5월 25일 (조큐 4년 4월 13일) | 1224년 12월 31일 (조오 3년 11월 20일) | 2년 222일 | 고호리카와 덴노 | |
겐닌 | 元仁 | 원인 | 1224년 12월 31일 (조오 3년 11월 20일) | 1225년 5월 28일 (겐닌 2년 4월 20일) | 4개월 29일 | ||
카로쿠 | 嘉禄 | 가록 | 1225년 5월 28일 (겐닌 2년 4월 20일) | 1228년 1월 18일 (카로쿠 2년 4월 20일) | 2년 236일 | ||
안테이 | 安貞 | 안정 | 1228년 1월 18일 (카로쿠 2년 4월 20일) | 1229년 3월 31일 (안테이 3년 3월 5일) | 1년 74일 | ||
칸키 | 寛喜 | 관희 | 1229년 3월 31일 (안테이 3년 3월 5일) | 1232년 4월 23일 (칸키 4년 4월 2일) | 3년 24일 | ||
조에이 | 貞永 | 정영 | 1232년 4월 23일 (칸키 4년 4월 2일) | 1233년 5월 25일 (조에이 2년 4월 15일) | 1년 33일 | ||
텐푸쿠 | 天福 | 천복 | 1233년 5월 25일 (조에이 2년 4월 15일) | 1234년 11월 27일 (텐푸쿠 2년 11월 5일) | 1년 187일 | 시조 덴노 | |
분랴쿠 | 文暦 | 문력 | 1234년 11월 27일 (텐푸쿠 2년 11월 5일) | 1235년 11월 1일 (분랴쿠 2년 9월 19일) | 11개월 6일 | ||
카테이 | 嘉禎 | 가정 | 1235년 11월 1일 (분랴쿠 2년 9월 19일) | 1238년 12월 30일 (카에이 4년 11월 23일) | 3년 61일 | ||
랴쿠닌 | 暦仁 | 역인 | 1238년 12월 30일 (카에이 4년 11월 23일) | 1239년 3월 13일 (랴쿠닌 2년 2월 7일) | 2개월 14일 | ||
엔오 | 延応 | 연응 | 1239년 3월 13일 (랴쿠닌 2년 2월 7일) | 1240년 8월 5일 (엔오 2년 7월 16일) | 1년 147일 | ||
닌지 | 仁治 | 인치 | 1240년 8월 5일 (엔오 2년 7월 16일) | 1243년 3월 18일 (닌지 4년 2월 26일) | 2년 226일 | ||
칸겐 | 寛元 | 관원 | 1243년 3월 18일 (닌지 4년 2월 26일) | 1247년 4월 5일 (칸겐 5년 2월 28일) | 4년 19일 | 고사가 덴노 | |
호지 | 宝治 | 보치 | 1247년 4월 5일 (칸겐 5년 2월 28일) | 1249년 5월 2일 (호지 3년 3월 18일) | 2년 28일 | 고후카쿠사 덴노 | |
켄초 | 建長 | 건장 | 1249년 5월 2일 (호지 3년 3월 18일) | 1256년 10월 24일 (켄초 8년 10월 5일) | 7년 178일 | ||
코겐 | 康元 | 강원 | 1256년 10월 24일 (켄초 8년 10월 5일) | 1257년 3월 31일 (코겐 2년 3월 14일) | 5개월 8일 | ||
쇼카 | 正嘉 | 정가 | 1257년 3월 31일 (코겐 2년 3월 14일) | 1259년 4월 20일 (쇼카 3년 3월 26일) | 2년 21일 | ||
쇼겐 | 正元 | 정원 | 1259년 4월 20일 (쇼카 3년 3월 26일) | 1260년 5월 24일 (쇼겐 2년 4월 13일) | 1년 36일 | ||
분오 | 文応 | 문응 | 1260년 5월 24일 (쇼겐 2년 4월 13일) | 1261년 3월 22일 (분오 2년 2월 20일) | 9개월 27일 | 가메야마 덴노 | |
코초 | 弘長 | 홍장 | 1261년 3월 22일 (분오 2년 2월 20일) | 1264년 3월 27일 (코초 4년 2월 28일) | 3년 6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분에이 | 文永 | 문영 | 1264년 3월 27일 (코초 4년 2월 28일) | 1275년 5월 22일 (분에이 12년 4월 25일) | 11년 59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분에이의 역(文永の役) | |
켄지 | 建治 | 건치 | 1275년 5월 22일 (분에이 12년 4월 25일) | 1278년 3월 23일 (켄지 4년 2월 29일) | 2년 307일 | 고우다 덴노 | |
코안 | 弘安 | 홍안 | 1278년 3월 23일 (켄지 4년 2월 29일) | 1288년 5월 29일 (코안 11년 4월 28일) | 10년 71일 | 코안의 역(弘安の役) | |
쇼오 | 正応 | 정응 | 1288년 5월 29일 (코안 11년 4월 28일) | 1293년 9월 6일 (쇼오 6년 8월 5일) | 5년 102일 | 후시미 덴노 | |
에이닌 | 永仁 | 영인 | 1293년 9월 6일 (쇼오 6년 8월 5일) | 1299년 5월 25일 (에이닌 7년 4월 25일) | 5년 263일 | ||
쇼안 | 正安 | 정안 | 1299년 5월 25일 (에이닌 7년 4월 25일) | 1302년 12월 10일 (쇼안 4년 11월 21일) | 3년 201일 | 고후시미 덴노 | |
켄겐 | 乾元 | 건원 | 1302년 12월 10일 (쇼안 4년 11월 21일) | 1303년 9월 16일 (켄겐 2년 8월 5일) | 9개월 7일 | 고니조 덴노 | |
카겐 | 嘉元 | 가원 | 1303년 9월 16일 (켄겐 2년 8월 5일) | 1307년 1월 18일 (카겐 4년 12월 14일) | 3년 126일 | ||
토쿠지 | 徳治 | 덕치 | 1307년 1월 18일 (카겐 4년 12월 14일) | 1308년 11월 22일 (토쿠지 3년 10월 9일) | 1년 310일 | ||
엔쿄 | 延慶 | 연경 | 1308년 11월 22일 (토쿠지 3년 10월 9일) | 1311년 5월 17일 (엔쿄 4년 4월 28일) | 2년 177일 | 하나조노 덴노 | |
오초 | 応長 | 응장 | 1311년 5월 17일 (엔쿄 4년 4월 28일) | 1312년 4월 27일 (오초 2년 3월 20일) | 11개월 11일 | ||
쇼와 | 正和 | 정화 | 1312년 4월 27일 (오초 2년 3월 20일) | 1317년 3월 16일 (쇼와 6년 2월 3일) | 5년 306일 | ||
분포 | 文保 | 문보 | 1317년 3월 16일 (쇼와 6년 2월 3일) | 1319년 5월 18일 (분포 3년 4월 28일) | 2년 64일 | ||
겐오 | 元応 | 원응 | 1319년 5월 18일 (분포 3년 4월 28일) | 1321년 3월 22일 (겐오 3년 2월 23일) | 1년 292일 | 고다이고 덴노 | |
겐코 | 元亨 | 원형 | 1321년 3월 22일 (겐오 3년 2월 23일) | 1324년 12월 25일 (겐코 4년 12월 9일) | 3년 280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쇼추 | 正中 | 정중 | 1324년 12월 25일 (겐코 4년 12월 9일) | 1326년 5월 28일 (쇼추 3년 4월 26일) | 1년 155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카랴쿠 | 嘉暦 | 가력 | 1326년 5월 28일 (쇼추 3년 4월 26일) | 1329년 9월 22일 (카랴쿠 4년 8월 29일) | 3년 119일 | ||
겐토쿠 | 元徳 | 원덕 | 1329년 9월 22일 (카랴쿠 4년 8월 29일) | 1331년 9월 11일 (겐토쿠 3년 8월 9일) | 1년 355일 |
4.5. 남북조시대
4.5.1. 남조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겐코 | 元弘 | 원홍 | 1331년 9월 11일 (겐토쿠 3년 8월 9일) | 1334년 3월 5일 (겐코 4년 1월 29일) | 2년 177일 | 고다이고 덴노 | |
겐무 | 建武 | 건무 | 1334년 3월 5일 (겐코 4년 1월 29일) | 1336년 4월 11일 (겐무 3년 2월 29일) | 2년 39일 | 겐무 신정 | |
엔겐 | 延元 | 건원 | 1336년 4월 11일 (겐무 3년 2월 29일) | 1340년 5월 25일 (엔겐 5년 4월 28일) | 4년 46일 | ||
코코쿠 | 興国 | 흥국 | 1340년 5월 25일 (엔겐 5년 4월 28일) | 1347년 1월 20일 (코코쿠 7년 12월 8일) | 6년 242일 | 고무라카미 덴노 | |
쇼헤이 | 正平 | 정평 | 1347년 1월 20일 (코코쿠 7년 12월 8일) | 1370년 8월 16일 (쇼헤이 25년 7월 24일) | 23년 215일 | 일세일원제 채택 이전 2번째로 오래 사용 | |
켄토쿠 | 建徳 | 건덕 | 1370년 8월 16일 (쇼헤이 25년 7월 24일) | 1372년 5월 (켄토쿠 3년 4월) | 1년 9개월 | 조케이 덴노 | |
분추 | 文中 | 문중 | 1372년 5월 (켄토쿠 3년 4월) | 1375년 6월 26일 (분추 4년 5월 27일) | 3년 1개월 | ||
텐주 | 天授 | 천수 | 1375년 6월 26일 (분추 4년 5월 27일) | 1381년 3월 6일 (텐주 7년 2월 10일) | 5년 256일 | ||
코와 | 弘和 | 홍화 | 1381년 3월 6일 (텐주 7년 2월 10일) | 1384년 5월 18일 (코와 4년 4월 28일) | 3년 75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겐추 | 元中 | 원중 | 1384년 5월 18일 (코와 4년 4월 28일) | 1392년 11월 19일 (겐추 9년 10월 5일) | 8년 188일 | 고카메야마 덴노 | 갑자년의 혁령개원, 1392년 자진 퇴위 |
4.5.2. 북조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쇼쿄 | 正慶 | 정경 | 1332년 5월 23일 (겐토쿠 2년 4월 28일) | 1333년 7월 7일 (쇼쿄 2년 5월 25일) | 1년 46일 | 고곤 덴노 | |
랴쿠오 | 暦応 | 역응 | 1338년 10월 11일 (겐무 5년 8월 28일) | 1342년 6월 1일 (랴쿠오 5년 4월 27일) | 3년 238일 | 고묘 덴노 | |
고에이 | 康永 | 강영 | 1342년 6월 1일 (랴쿠오 5년 4월 27일) | 1345년 11월 15일 (고에이 4년 10월 21일) | 3년 169일 | ||
조와 | 貞和 | 정화 | 1345년 11월 15일 (고에이 4년 10월 21일) | 1350년 4월 4일 (조와 6년 2월 27일) | 4년 142일 | ||
칸노 | 観応 | 관응 | 1350년 4월 4일 (조와 6년 2월 27일) | 1352년 11월 4일 (칸노 3년 9월 27일) | 2년 216일 | 스코 덴노 | |
분나 | 文和 | 문화 | 1352년 11월 4일 (칸노 3년 9월 27일) | 1356년 4월 29일 (분나 5년 3월 28일) | 3년 178일 | 고코곤 덴노 | |
엔분 | 延文 | 연문 | 1356년 4월 29일 (분나 5년 3월 28일) | 1361년 5월 4일 (엔분 6년 3월 29일) | 5년 6일 | ||
코안 | 康安 | 강안 | 1361년 5월 4일 (엔분 6년 3월 29일) | 1362년 10월 11일 (코안 2년 9월 23일) | 1년 161일 | ||
조지 | 貞治 | 정치 | 1362년 10월 11일 (코안 2년 9월 23일) | 1368년 3월 7일 (조지 7년 2월 18일) | 5년 150일 | ||
오안 | 応安 | 응안 | 1368년 3월 7일 (조지 7년 2월 18일) | 1375년 3월 29일 (오안 8년 2월 27일) | 7년 23일 | 고코곤-고엔유 두 덴노 재위 때 사용 | |
고엔유 덴노 | |||||||
에이와 | 永和 | 영화 | 1375년 3월 29일 (오안 8년 2월 27일) | 1379년 4월 9일 (에이와 5년 3월 22일) | 4년 12일 | ||
코랴쿠 | 康暦 | 강력 | 1379년 4월 9일 (에이와 5년 3월 22일) | 1381년 3월 20일 (코랴쿠 3년 2월 24일) | 1년 347일 | ||
에이토쿠 | 永徳 | 영덕 | 1381년 3월 20일 (코랴쿠 3년 2월 24일) | 1384년 3월 19일 (에이토쿠 4년 2월 27일) | 3년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시토쿠 | 至徳 | 지덕 | 1384년 3월 19일 (에이토쿠 4년 2월 27일) | 1387년 10월 5일 (시토쿠 4년 8월 23일) | 3년 201일 | 고코마쓰 덴노 | 갑자년의 혁령개원 |
가케이 | 嘉慶 | 가경 | 1387년 10월 5일 (시토쿠 4년 8월 23일) | 1389년 3월 7일 (가케이 3년 2월 9일) | 1년 155일 | ||
코오 | 康応 | 강응 | 1389년 3월 7일 (가케이 3년 2월 9일) | 1390년 4월 12일 (코오 2년 3월 26일) | 1년 37일 | ||
메이토쿠 | 明徳 | 명덕 | 1390년 4월 12일 (코오 2년 3월 26일) | 1394년 8월 2일 (메이토쿠 5년 7월 5일) | 4년 114일 | 1392년 남조의 고카메야마 덴노 퇴위, 남북조 시대 종결 |
4.6. 무로마치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오에이 | 応永 | 응영 | 1394년 8월 2일 (메이토쿠 5년 7월 5일) | 1428년 6월 10일 (오에이 35년 4월 27일) | 33년 322일 | 고코마쓰 덴노 | 일세일원제 도입 전 가장 오래 사용, 일본 역사상 3번째로 오래 사용. 오에이의 외구(応永の外寇) |
쇼추 | 正長 | 정장 | 1428년 6월 10일 (오에이 35년 4월 27일) | 1429년 10월 3일 (쇼추 2년 9월 5일) | 1년 116일 | 쇼코 덴노 | |
에이큐 | 永享 | 영향 | 1429년 10월 3일 (쇼추 2년 9월 5일) | 1441년 3월 10일 (에이큐13년 2월 17일) | 11년 162일 | 고하나조노 덴노 | |
가키쓰 | 嘉吉 | 가길 | 1441년 3월 10일 (에이큐13년 2월 17일) | 1444년 2월 23일 (가키쓰 4년 2월 5일) | 2년 351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가키쓰 조약 | |
분안 | 文安 | 문안 | 1444년 2월 23일 (가키쓰 4년 2월 5일) | 1449년 8월 16일 (분안 6년 7월 28일) | 5년 177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호토쿠 | 宝徳 | 보덕 | 1449년 8월 16일 (분안 6년 7월 28일) | 1452년 8월 10일 (호토쿠 4년 7월 25일) | 2년 361일 | ||
쿄토쿠 | 享徳 | 향덕 | 1452년 8월 10일 (호토쿠 4년 7월 25일) | 1455년 9월 6일 (쿄토쿠 4년 7월 25일) | 3년 28일 | ||
코쇼 | 康正 | 강정 | 1455년 9월 6일 (쿄토쿠 4년 7월 25일) | 1457년 10월 16일 (코쇼 3년 9월 28일) | 2년 42일 | ||
초로쿠 | 長禄 | 장록 | 1457년 10월 16일 (코쇼 3년 9월 28일) | 1461년 2월 1일 (초로쿠 4년 12월 21일) | 3년 110일 | ||
칸쇼 | 寛正 | 관정 | 1461년 2월 1일 (초로쿠 4년 12월 21일) | 1466년 3월 14일 (칸쇼 7년 2월 28일) | 5년 43일 | ||
분쇼 | 文正 | 문정 | 1466년 3월 14일 (칸쇼 7년 2월 28일) | 1467년 4월 9일 (분쇼 2년 3월 5일) | 1년 27일 | 고쓰치미카도 덴노 |
4.7. 센고쿠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오닌 | 応仁 | 응인 | 1467년 4월 9일 (분쇼 2년 3월 5일) | 1469년 6월 8일 (오닌 3년 4월 28일) | 2년 62일 | 고쓰치미카도 덴노 | 오닌의 난 |
분메이 | 文明 | 문명 | 1469년 6월 8일 (오닌 3년 4월 28일) | 1487년 8월 9일 (분메이 19년 7월 20일) | 18년 67일 | ||
조쿄 | 長享 | 장향 | 1487년 8월 9일 (분메이 19년 7월 20) | 1489년 9월 16일 (조쿄 3년 8월 21일) | 2년 40일 | ||
엔토쿠 | 延徳 | 연덕 | 1489년 9월 16일 (조쿄 3년 8월 21일) | 1492년 8월 12일 (엔토쿠 4년 7월 19일) | 2년 332일 | ||
메이오 | 明応 | 명응 | 1492년 8월 12일 (엔토쿠 4년 7월 19일) | 1501년 3월 18일 (메이오 10년 2월 29일) | 8년 221일 | 메이오의 정변 | |
분키 | 文亀 | 문귀 | 1501년 3월 18일 (메이오 10년 2월 29일) | 1504년 3월 16일 (분키 4년 2월 30일) | 3년 | 고카시와바라 덴노 | 신유년의 혁명개원 |
에이쇼 | 永正 | 영정 | 1504년 3월 16일 (분키 4년 2월 30일) | 1521년 9월 23일 (에이쇼 18년 8월 23일) | 17년 196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에이쇼의 난 | |
다이에이 | 大永 | 대영 | 1521년 9월 23일 (에이쇼 18년 8월 23일) | 1528년 9월 3일 (다이에이 8년 8월 20일) | 6년 348일 | ||
교로쿠 | 享禄 | 향록 | 1528년 9월 3일 (다이에이 8년 8월 20일) | 1532년 8월 29일 (교로쿠 5년 7월 29일) | 3년 362일 | 고나라 덴노 | |
텐분 | 天文 | 천문 | 1532년 8월 29일 (교로쿠 5년 7월 29일) | 1555년 11월 7일 (텐분 24년 10월 23일) | 23년 76일 | 텐분의 난 | |
코지 | 弘治 | 홍치 | 1555 11월 7일 (텐분 24년 10월 23일) | 1558년 3월 18일 (코지 4년 2월 28일) | 2년 133일 | ||
에이로쿠 | 永禄 | 영록 | 1558년 3월 18일 (코지 4년 2월 28일) | 1570년 5월 27일 (에이로쿠 13년 4월 23일) | 12년 74일 | 오기마치 덴노 | 1561년이 신유년, 1564년이 갑자년이지만 혁명개원을 하지 않음. 에이로쿠의 변일 |
겐키 | 元亀 | 원귀 | 1570년 5월 27일 (에이로쿠 13년 4월 23일) | 1573년 8월 25일 (겐키 4년 7월 28일) | 3년 92일 |
4.8.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텐쇼 | 天正 | 천정 | 1573년 8월 25일 (겐키 4년 7월 28일) | 1593년 1월 10일 (텐쇼 20년 12월 8일) | 19년 144일 | 오기마치 덴노 | |
분로쿠 | 文禄 | 문록 | 1593년 1월 10일 (텐쇼 20년 12월 8일) | 1596년 12월 16일 (분로쿠 5년 10월 27일) | 3년 342일 | 고요제이 덴노 | 일본에서 임진왜란을 당시 연호를 따 분로쿠의 역(文禄の役 분로쿠노에키)이라 함 |
케이초 | 慶長 | 경장 | 1596년 12월 16일 (분로쿠 5년 10월 27일) | 1615년 9월 5일 (케이초 20년 7월 13일) | 18년 268일 | 일본에서 정유재란을 당시 연호를 따 케이초의 역(慶長の役 케이초노에키)이라 함. 케이초 조약 |
4.9. 에도 시대
연호 |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겐나 | 元和 | 원화 | 1615년 9월 5일 (케이초 20년 7월 13일) | 1624년 4월 17일 (겐나 10년 2월 30일) | 8년 228일 | 고미즈노오 덴노 | 겐나엔부. 1621년이 신유년이었지만 혁명개원을 하지 않음 |
칸에이 | 寛永 | 관영 | 1624년 4월 17일 (겐나 10년 2월 30일) | 1645년 1월 13일 (칸에이 21년 12월 16일) | 20년 277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칸에이 대기근 | |
쇼호 | 正保 | 정보 | 1645년 1월 13일 (칸에이 21년 12월 16일) | 1648년 4월 7일 (쇼호 5년 2월 15일) | 3년 86일 | 고코묘 덴노 | |
케이안 | 慶安 | 경안 | 1648년 4월 7일 (쇼호 5년 2월 15일) | 1652년 10월 20일 (케이안 5년 9월 18일) | 4년 198일 | 케이안의 변(일본어 위키백과) | |
조오 | 承応 | 승응 | 1652년 10월 20일 (케이안 5년 9월 18일) | 1655년 5월 18일 (조오 4년 4월 13일) | 2년 211일 | ||
메이레키 | 明暦 | 명력 | 1655년 5월 18일 (조오 4년 4월 13일) | 1658년 8월 21일 (메이레키 4년 7월 23일) | 3년 97일 | 고사이 덴노 | 메이레키 대화재 |
만지 | 万治 | 만치 | 1658년 8월 21일 (메이레키 4년 7월 23일) | 1661년 5월 23일 (만지 4년 4월 25일) | 2년 277일 | ||
칸분 | 寛文 | 관문 | 1661년 5월 23일 (만지 4년 4월 25일) | 1673년 10월 30일 (칸분13년 9월 21일) | 12년 164일 | ||
엔포 | 延宝 | 연보 | 1673년 10월 30일 (칸분13년 9월 21일) | 1681년 11월 9일 (엔포 9년 9월 29일) | 8년 11일 | 레이겐 덴노 | 엔포 대기근 |
텐나 | 天和 | 천화 | 1681년 11월 9일 (엔포 9년 9월 29일) | 1684년 4월 5일 (텐나 4년 2월 21일) | 2년 149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텐나 대화재(일본어 위키백과). 텐나의 치(天和の治) | |
조쿄 | 貞享 | 정향 | 1684년 4월 5일 (텐나 4년 2월 21일) | 1688년 10월 23일 (조쿄 5년 9월 30일) | 4년 203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겐로쿠 | 元禄 | 원록 | 1688년 10월 23일 (조쿄 5년 9월 30일) | 1704년 4월 16일 (겐로쿠 17년 3월 13일) | 15년 180일 | 히가시야마 덴노 | 겐로쿠 대지진. 겐로쿠 문화(위키백과) |
호에이 | 宝永 | 보영 | 1704년 4월 16일 (겐로쿠 17년 3월 13일) | 1711년 6월 11일 (호에이 8년 4월 25일) | 7년 58일 | 호에이 대지진 | |
쇼토쿠 | 正徳 | 정덕 | 1711년 6월 11일 (호에이 8년 4월 25일) | 1716년 8월 9일 (쇼토쿠 6년 6월 22일) | 5년 62일 | 나카미카도 덴노 | 쇼토쿠의 치(일본어 위키백과) |
쿄호 | 享保 | 향보 | 1716년 8월 9일 (쇼토쿠 6년 6월 22일) | {{{-1 1736년 6월 7일}} (쿄호 21년 4월 28일) | 19년 308일 | 쿄호 대기근. 쿄호의 개혁 | |
겐분 | 元文 | 원문 | 1736년 6월 7일 (쿄호 21년 4월 28일) | 1741년 4월 12일 (겐분 6년 2월 27일) | 4년 311일 | 사쿠라마치 덴노 | |
칸포 | 寛保 | 관보 | 1741년 4월 12일 (겐분 6년 2월 27일) | 1744년 4월 3일 (칸포 4년 2월 21일) | 2년 358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엔쿄 | 延享 | 연향 | 1744년 4월 3일 (칸포 4년 2월 21일) | 1748년 8월 5일 (엔쿄 5년 7월 12일) | 4년 126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칸엔 | 寛延 | 관연 | 1748년 8월 5일 (엔쿄 5년 7월 12일) | 1751년 12월 14일 (칸엔 4년 10월 27일) | 3년 132일 | 모모조노 덴노 | |
호레키 | 宝暦 | 보력 | 1751년 12월 14일 (칸엔 4년 10월 27일) | 1764년 6월 30일 (호레키 14년 6월 2일) | 12년 192일 | 호레키 사건(일본어 위키백과)[10] | |
메이와 | 明和 | 명화 | 1764년 6월 30일 (호레키 14년 6월 2일) | 1772년 12월 10일 (메이와 9년 11월 16일) | 8년 166일 | 고사쿠라마치 덴노 | 메이와 대화재 |
안에이 | 安永 | 안영 | 1772년 12월 10일 (메이와 9년 11월 16일) | 1781년 4월 25일 (안에이 10년 4월 2일) | 8년 139일 | 고모모조노 덴노 | |
텐메이 | 天明 | 천명 | 1781년 4월 25일 (안에이 10년 4월 2일) | 1789년 2월 19일 (텐메이 9년 1월 25일) | 7년 303일 | 고카쿠 덴노 | 텐메이 대기근 |
칸세이 | 寛政 | 관정 | 1789년 2월 19일 (텐메이 9년 1월 25일) | 1801년 3월 19일 (칸세이 13년 2월 5일) | 12년 31일 | ||
쿄와 | 享和 | 향화 | 1801년 3월 19일 (칸세이 13년 2월 5일) | 1804년 3월 22일 (쿄와 4년 2월 11일) | 3년 4일 | 신유년의 혁명개원 | |
분카 | 文化 | 문화 | 1804년 3월 22일 (쿄와 4년 2월 11일) | 1818년 5월 26일 (분카 15년 4월 22일) | 14년 69일 | 갑자년의 혁령개원 | |
분세이 | 文政 | 문정 | 1818년 5월 26일 (분카 15년 4월 22일) | 1831년 1월 23일 (분세이 13년 12월 10일) | 12년 246일 | 닌코 덴노 | |
텐포 | 天保 | 천보 | 1831년 1월 23일 (분세이 13년 12월 10일) | 1845년 1월 9일 (텐포 15년 12월 2일) | 13년 356일 | 텐포 대기근. 텐포 개혁 | |
코카 | 弘化 | 홍화 | 1845년 1월 9일 (텐포 15년 12월 2일) | 1848년 4월 1일 (코카 5년 2월 28일) | 3년 84일 | ||
카에이 | 嘉永 | 가영 | 1848년 4월 1일 (코카 5년 2월 28일) | 1855년 1월 15일 (카에이 7년 11월 27일) | 6년 291일 | 고메이 덴노 | |
안세이 | 安政 | 안정 | 1855년 1월 15일 (카에이 7년 11월 27일) | 1860년 4월 8일 (안세이 7년 3월 18일) | 5년 86일 | 안세이의 대옥 | |
만엔 | 万延 | 만연 | 1860년 4월 8일 (안세이 7년 3월 18일) | 1861년 3월 29일 (만엔 2년 2월 19일) | 11개월 22일 | ||
분큐 | 文久 | 문구 | 1861년 3월 29일 (만엔 2년 2월 19일) | 1864년 3월 27일 (분큐 4년 2월 20일) | 3년 | 신유년의 마지막 혁명개원. 분큐의 개혁(위키백과) | |
겐지 | 元治 | 원치 | 1864년 3월 27일 (분큐 4년 2월 20일) | 1865년 5월 1일 (겐지 2년 4월 7일) | 1년 36일 | 갑자년의 마지막 혁령개원 | |
게이오 | 慶応 | 경응 | 1865년 5월 1일 (겐지 2년 4월 7일) | 1868년 10월 23일 (게이오 4년 9월 8일) | 3년 117일 | 고메이 덴노, 메이지 덴노 |
4.10. 일세일원제
<rowcolor=#333> 연호 | <colcolor=#333> 한자 | 한국 음 | 시작 | 종료 | 기간 | 군주 | 비고 |
메이지 | 明治 | 명치 | 1868년 10월 23일 | 1912년 7월 30일 | 43년 291일 | 메이지 덴노 | 일세일원제 확립. 일본 역사상 두 번째로 길게 사용. 메이지 유신 |
다이쇼 | 大正 | 대정 | 1912년 7월 30일 | 1926년 12월 25일 | 14년 152일 | 다이쇼 덴노 | 우연의 일치로 북한의 주체연호, 대만의 민국기년과 겹친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
쇼와 | 昭和 | 소화 | 1926년 12월 25일 | 1989년 1월 7일 | 62년 13일 | 쇼와 덴노 | 일본 역사상 최장기간 사용. 제2차 세계 대전 |
헤이세이 | 平成 | 평성 | 1989년 1월 8일 | 2019년 4월 30일 | 30년 120일 | 아키히토 | 일본 역사상 네 번째로 길게 사용. 다이쇼와 쇼와는 선황이 사망한 당일에 개원했지만, 헤이세이는 쇼와 덴노가 사망한 다음 날 개원했다. 헤이세이 불황 |
레이와 | 令和 | 영화 | 2019년 5월 1일 | 나루히토 | 정부 행정시스템상으로는 표기를 서력기원으로 통일하기로 하면서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이 문서에는 여전히 연호를 쓰기로 했다. # 하지만 일본 내에서 2019년 연호 관련 뉴스들에서는 행정기관 등에서는 행정 프로그램의 연호 변경을 준비 중이라는 내용이 나왔다. |
5. 현황
-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일본 국내만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어 공문서 등은 서기가 아닌 연호를 쓴다. 하지만 그 대상이 재일 외국인이거나 외국어로 작성하는 문서 등에는 대체로 서기를 많이 쓴다. 그 예로 법무성 산하 출입국재류관리청이나 일본의 재외공관이 있다. 출입국재류관리청은 일본의 사증심사와 재일 외국인의 재류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재류카드는 물론이고, 전부야 아니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표나 발급하는 문서 등은 웬만하면 서기로 쓴다. 예를 들어, 일본의 판례번호는 여전히 연호를 쓰나, 특허출원의 경우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므로, 특허출원번호는 서기를 쓰는 게 그 예시다. 다만 90년대 이전엔 일본의 특허출원도 연호로 표기하였다.
일본의 재외공관은 외국에서 연호로 표기해봤자 씨알도 안 먹히니 당연히 서기로 표기한다. 정부기관 등이 외국을 상대로 작성하는 공문서는 일본어판에서는 연호, 외국어판에서는 서기로 표기한다.
- 신분증
일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신분증 등은 두 가지로 나뉜다. - 서기
재류카드 및 특별영주자증명서[11], 일본 여권 등 - 연호
경찰(각 도도부현 공안위원회)이 교부하는 운전면허증[12], 지방자체단체 등의 국민건강보험증[13] 등 - 애매한 것
마이넘버카드는 상기한 두 가지 경우에 속하지 않는다. 일본인과 외국인은 연도표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1980년이어도 일본인이라면 昭和55年, 외국인이라면 1980年으로 표기된다. 그런데 유효기간은 운전면허증마냥 서기로 표기된다.
발급처에 이유를 물어본 결과, 정부의 시스템이 등록된 개인번호 카드에 관련된 정보가, 일본인은 연호이고 외국인은 서기여서 그렇다고 한다.
- 교과서
일본사 교과서에는 연호가 많이 나오는 편이지만, 수학[14], 외국어[15], 국어, 지리, 세계사, 공민, 과학[16] 등 타 과목의 교과서에는 서기표기가 많이 나오는 편이다. 특히 외국어 교과서는 얄짤없이 서기로만 나온다.
- 일반 사회
서기를 쓰는 곳과 연호를 쓰는 곳이 비등비등해서 그야말로 짬뽕이지만, 레이와 시대(2019년) 들어서 서기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17]
병원의 진료 차트는 연호로 표기하는 곳이 많다.
- 단점 및 앞으로의 전망
연호와 서기를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불필요한 일이 일어나거나, 천황이 새로 즉위할 때마다 연호를 쓰는 시스템은 싸그리 갈아 엎고 새 연호를 추가해야 하는 등 연호 개원 때문에 사회적 손실이 있다. 일본의 IT 종사자에게 물어보면 그 빡침 등을 알 수 있다.
6. 여담
앞으로 연호제를 어떻게 해야 할지는 일본인들 간에도 의견이 매우 엇갈린다. 일본의 전통이므로 고수해야 한다는 보수파, 의미도 없고 비실용적이므로 폐지하고 서기만 써야 한다는 급진파, 공문서 등에는 서기를 쓰되 일상생활에서는 연호를 쓰든 서기를 쓰든 내두자는 절충파가 비등비등하다. 일본 정부도 2019년부터 컴퓨터 행정시스템에서는 서기로 점차 통일하지만 지류 문서에는 여전히 연호를 쓴다고.세계화의 진전 등으로 인해 일본에서도 연호 사용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마이니치 신문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쇼와 시대였던 1975년에는 연호와 서력기원 중 연호를 주로 쓰는 사람이 82%에 달했고 서력기원은 4%, 둘 다가 13%에 불과해 연호 사용이 압도적이었으나, 레이와 연호가 정해질 즈음인 2019년에는 연호 34%, 서력기원 23%, 둘 다 34%로 연호와 서력기원의 사용률이 비슷해졌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하는 서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고, 50대와 60대는 같은 비율, 70대 이상은 연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또 서구화와 함께 골치아픈 관례가 하나 생겨버렸는데, 연호의 약칭을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83년(쇼와 58년)은 S58, 2002년(헤이세이 14년)은 H14, 2023년(레이와 5년)은 R5로 표기하는 식인데, 사회적으로 워낙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터라 다음 연호를 정할 때 제약이 되어버렸다. 레이와 개원 당시에도 중요한 원칙 중 하나가 M, T, S, H가 약칭으로 올 수 있는 안은 제외한다는 것이었을 정도. 문제는 일본어의 음가가 그렇게 다양한 편이 아니라는 것. 언젠가는 재활용을 하겠지만 사용되는 한자가 점점 제한되고 있어서 후대로 갈수록 개원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다.[18]
연호를 서기로 변환하는 방법은 각 연호 원년의 서기 연도에 연호의 연수를 더한 뒤 1을 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헤이세이(平成) 10년'을 서기로 환산한다면, 헤이세이 원년은 1989년이므로 1989에 10을 더하고 1을 빼면, 1998이 나온다. 즉, 헤이세이 10년은 서기 1998년이 된다.
일상에서도 많이 쓰다 보니 일본 사회는 한 연호가 끝나감을 이벤트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한 해가 끝나면 그 해를 회상하는 기사(그 해의 대형사건 등)를 쓰곤 하는데, 일본 언론에서도 헤이세이 기간에 있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는 기사가 많이 나왔다.
일본 정부는 2019년 나루히토 천황 즉위 한 달 전인 4월 1일에 새 연호를 공표하기로 했는데, 보수적인 일부 일본 국회의원들은 연호 공표를 새 천황 즉위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유는 새 연호를 미리 발표하면 아키히토 천황과 새 천황의 권위가 서로 충돌한다는 것. 나루히토가 즉위하는 5월 1일에 새 연호로 갈아타기로 하였는데, 시스템 엔지니어나 프로그래머 등 IT업계를 중심으로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당연히 1월 1일부터 바꾸는 것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찌 어찌 연호를 발표하고 즉위일에 맞추어 개원하였다.
일본에서는 고도로 기술이 발전한 현대사회에서 신 연호로 개원하는 까닭에 밀레니엄 버그가 재래하지 않을까 우려한다고 한다. 신 연호 발표가 얼마 안 남은 2019년 3월 기준으로 민간기업 상당수가 신 연호 발표를 준비하지 않고, MS사도 신연호가 일본판 밀레니엄 버그를 일으킬 우려가 높다고 밝혔다. 물론 일본 정부는 신 연호 발표 후에도 연호 변경이 어려우면 헤이세이 31년 표기를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고는 하나...
# 이 사이트에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과 아베 신조 총리의 사진과 함께 원하는 한자를 넣어 가짜 연호를 만들 수 있다. 아베가 들어간 이유는 새 연호 발표자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지만, 전례에 따라 당시 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가 하면서 스가와 아베를 선택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일본 연호는 아직도 한국 정부가 공식 발급하는 문서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제적등본은 식민지기인 1945년 이전의 변동 상황에 대해서는 일본 연호로 적혀 있는데, 이를 일일이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효력을 유지케 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호적 전산화나 가족관계등록부 개편시 전부 서기로 변환하였기에 담당 공무원이 아닌 이상 볼 일은 거의 없다. 1910년 이전, 1868년에서 1910년 사이 공문서에서는 대한제국의 민적부와 조선총독부의 호적 편제가 서로 뒤섞여서 개국(혹은 광무나 융희) 연호와 메이지 연호가 혼용되었고, 1868년 이전 문서에선 텐포, 카에이, 분큐 같은 연호들도 나온다.
7. 둘러보기
[1] 그래서 다이카 2년(646)부터 고토쿠 천황이 실시했다고 하는 일련의 개혁작업을 다이카 개신이라 부른다.[2] 전근대 동양 왕조들은 그야말로 심심하면 연호를 갈아치우는 바람에 역사 공부하는 사람들이 연호를 외우느라 골이 부서질 정도다. 사실 중국의 복잡함에 비하겠냐마는, 중국은 1차 사료를 제외하면 서력기원 사용이 정착한 반면, 일본에서는 여전히 연호가 꽤나 널리 쓰이기 때문에 더 머리가 아프다.[3] 연호를 바꾸는 것도 분명히 '큰 변화'이다. 따라서 (마치 압력밥솥에서 수증기를 빼듯) 변화의 때에 연호를 바꾸면 변화의 힘이 '정권 전복'이나 '역성혁명' 등으로 번지지 않으리라 여긴 것이다. 일종의 액땜인 셈.[4] 주역을 풀이한 서적인데, 보통 기원전 1세기 말, 전한 애제 시절 무렵에 집필되었다고 추정한다.[5] 여기서 '감문'이란 '알아보고 조사해서(勘) 쓴 글(文)이란 뜻이다. 요새식으로 말하면 '조사보고서' 정도.[6] 일본 사학계는 미요시 키요유키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실각시키려는 밑작업으로 중국의 신유혁명설을 명분 삼아 개원을 주장했다고 여긴다.[7] '갑자혁령'이란 용어는 중국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한국의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실렸다. 일본서기에서 진무 덴노가 처음 건국했다는 기원전 660년도 신유년이므로 학자들은 일본서기의 저자들이 신유혁명설에 따라 진무의 건국년을 맞추었다고 본다.[8] 때문에 1564년에는 미요시 나가요시가 가신 마츠나가 히사히데를 통하여 개원을 조정에 요청하였으나, 조정은 그것이 요시테루의 권위를 해칠까 염려하여 받아들이지 않았다.[9] 군주가 즉위하여 처음 연호를 정하면 중간에 바꾸지 않고 새 군주가 새 연호를 정하기 전까지 사용하는 것. 중국에서 일세일원제는 1368년 명태조 주원장이 홍무(洪武) 연호를 사용하면서 확립되었다.[10] 최초의 존왕론자 탄압사건[11] 재류카드의 전신인 외국인등록증도 서기로 표기되었다.[12] 운전면허증은 2019년 5월 1일 신연호 전환을 기하여 발급 및 갱신시에는 유효기간에 한해서 서기와 연호를 병기한다.[13] 보험증 등에서는 여전히 연호만 사용할 예정이다.[14] 일본은 1990년대 이전의 한국처럼 초등학교는 산수, 중학교부터 수학이라고 쓴다.[15] 일본에서 영어가 아닌 외국어를 교과명으로 쓰는 이유는 사립 미션스쿨에서 영어 대신 프랑스어나 독일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16] 일본에서는 과학 과목을 이과라고 부른다.[17] 만약 서기 표기를 원한다면, 사기업이나 기관 등에 서류 발행을 요청하기 전에 "西暦での表記を希望します。"라고 반드시 언급해둘 것. 따로 요청하지 않으면 연호로 표기된 서류로 발행해줄 수도 있다.[18] 실제 역대 일본 연호에 이 관례를 적용하면 알파벳 17자만이 사용되었고, 그 중에 절반은 K, T, E로 집중된다.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한자라고 해도 용례가 한정되어 있어서, 사실상 한 글자만 쓰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서 M은 明 또는 万, A는 安, N은 仁, O는 応, D는 大 이외에 사용된 글자가 없다. G, B, C도 빈도만 많지 전부 元, 文, 長이다. 그나마 근대 이후 쓰인 M, S, H는 의외로 빈도가 높지 않았던 이니셜이었고, R도 그러한 점이 채택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레이와 개원 당시 K에 해당하는 코시, E에 해당하는 에이코도 제안되었지만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