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2574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 ||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
1. 개요
명성에서 운행하는 일반버스 노선이며, 왕복 운행거리는 67.5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명성운수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45~60분 | 주말배차 | 70~80분 | ||
운수사명 | 명성 | 인가대수 | 4대[1] | ||
노선 | 명성운수종점 - 관산동·벽제시장 - 서울시립승화원 - 원신동행정복지센터 - 원릉역 - 고양시청·덕양구보건소치매안심센터 - 고양어울림누리·달빛마을1단지 - 화정역·덕양구청 - 능곡초등학교 - 능곡역 - 행신동삼거리·무원마을10단지 - 가라뫼·소만마을1단지 - 화전파출소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 연세대앞 → 신촌기차역 →/← 연희동대우아파트 ←)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3. 역사
- 1990년대 중반에 800번 좌석버스로 개통했다. 당시에 82번이었던 1082번과 같이 신설되었다.
- 2019년 2월 1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82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4년 8월 1일부터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실시하며,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그리고 5대로 증차[2]되어 1일 15~20회로 대폭 증회되었다.
4. 특징
- 내유동부터 시작해 관산동(벽제), 원당, 화정, 능곡, 행신 등 덕양구 대부분 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으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좌석버스 시절에는 배차간격이 15~20분으로 꽤 괜찮은 편이었지만, 주 52시간제 도입 및 형간전환, 그리고 코로나19 확산 이후로는 기사 부족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최대 2시간으로 크게 벌어지고 말았다. 그러다 2024년 8월에 공공버스 전환으로 증차가 이루어지며 다시 50분~1시간까지 짧아진 상태다.
-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인해 72번, 73번, 76번, 77번 등과 함께 큰 타격을 입은 노선이다. 이 노선 수요의 양대 축이었던 덕양구 내부 이동 수요와 능곡/행신 ~ 서울 간 수요 중 후자를 통째로 빼앗겨버린 셈이 되었다. 결국 위에 언급된 노선들은 전부 폐선되고 이 노선 홀로 남아버렸다.
- 2019년 2월부터 노선 상당 부분이 겹쳤던 7728번이 능곡, 화정에서 철수하면서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였으나, 1년도 채 안 되어 코로나19가 터지며 몰락해버렸다.
- 덕양구 구간에서 이 노선의 급행 역할을 해주는 노선으로 85번과 1082번이 있다. 82번은 관산동에서 원당동 갈 때 대자삼거리까지 갔다가 다시 원신동을 횡단해야 해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85번과 1082번은 벽제교부터 어울림누리까지 원당로 직통으로 운행한다.
4.1. 시간표
2025년 1월 20일 첫차부터 시행이 됩니다.
4.2. 대체 노선
볼드체로 된 노선은 배차간격이 20분 미만인 노선이다.4.3. 일평균 승차량
고양시 일반버스 82번 | ||
<rowcolor=#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1년 | 421명 | - |
2022년 | 427명 | △ 6 |
2023년 | 423명 | ▽ 4 |
2024년 | 934명 | △ 511 |
※ 모든 연도 10월 평일 기준이며, 하차인원 미포함 |
- 자료의 출처는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이며, 현금 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습니다.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홍대입구역[A]
수도권 전철 3호선: 화정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능곡역, 한국항공대역[8],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신촌역, 홍대입구역[A]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수도권 전철 서해선: 능곡역
일반 철도역: 원릉역
6. 둘러보기
<colcolor=#0060b5,#49aaff>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in-height: 26px" {{{#!folding [ 서울특별시 방면 ] | | |
| ||
| ||
| ||
| ||
| ||
상암, 수색 |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방면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 경기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ㄱ} ] {{{#!wiki style="margin: -6px -1px -1px"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 ||
가평 | · · | ||
고양 | · · · · · · · · · · | ||
광명 | · · · · · | ||
광주 | · · · · · · · · · · · · · · · · | ||
구리 | · · · | ||
김포 | · · · · · · · · · | ||
- [ 펼치기 · 접기 {ㄴ~ㅅ}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남양주 · · · · · · · · · · · · · · · · · · · · · 동두천 · 부천 · · · · · · · · · 성남 · · · · · · · · 수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좌석· · · ·시흥 · · · · · ·
- [ 펼치기 · 접기 {ㅇ}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안산 · · · · · · · · · · · · · · · 안성 · · · · · · · · · 안양 · · · · · · · · · · · · · · · · · · · 양주 · · 연천 오산 · · · · 용인 · · · · · 의정부 · · · · · · · · · 이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