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0:06:39

일본식 한자어

일제 한자어에서 넘어옴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어 출신 단어
외래어 계열 한자어 계열

1. 개요2. 설명
2.1. 주의
3. 일러두기4. 목록
4.1. ㄱ4.2. ㄴ, ㄷ4.3. ㅁ, ㅂ4.4. ㅅ4.5. ㅇ4.6. ㅈ, ㅊ4.7. ㅌ, ㅍ4.8. ㅎ4.9. 접두사, 접미사4.10. 유래 및 배경에 대한 해설4.11. 오직 일본에서만 쓰이는 낱말·의미
5. 기타6. 일본식 한자어가 아닌 것7. 그 외
7.1. 당용한자 제정 시 한자를 대체한 단어
8. 관련 인물9. 관련 문헌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식 한자어(日本式漢字語), 일본제 한자어(日本製漢字語), 화제한어(和製漢語; 와세이칸고)라고도 한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 어휘를 일컫는데 대표적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에서 들여온 문물, 개념을 대량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든 한자어, 신한어(新漢語)가 대표적이다. 한자문화권에서 쓰는 근대 학문의 기본 용어 상당수가 일본에서 번역한 말이다.

2. 설명

일본과 같은 경우는 에도 막부데지마를 통해 네덜란드와 1641년 부터 교류를 했다.[1] 이후 한중일의 19세기의 협정들을 보면 상당히 빨랐다. 중국과 영국의(1842년 난징조약) → 일본과 미국의(1854년 미일화친조약) → 한국과 일본의(1876년 강화도조약)이나 순서와 상관없이 이 중 일본이 가장 적극적으로 서양에서 들어 온 것들을 한자로 번역했다. 논문 처럼 학술적인 것을 포함에서 대거 들어 왔기에 현재 동양권 나라에서 일본식 한자어가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의사, 내과, 산부인과, 헌병[2], 경찰, 민주주의 등 이러한 단어도 다 일본이 서양의 명칭들을 번역해서 만든 일본식 한자어다. 그렇기에 20세기 이전에 사용하던 타구 같은 단어들은 주로 노인들이나 학술과정이 아닌 이상 이후 세대들이 잘 안쓰므로 오히려 일본식 한자어가 더 많이 쓰인다. 이때문에 한국인이 일본어를 굉장히 쉽게 배우는데 어휘가 거의 일본식 한자에 일치하는 것도 크기 때문이다.[3][4] 인근나라라서 문장도 대부분 1:1로 대응이 된다.[5] 언어는 어휘가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6][7] 또한 한국어는 또박 또박 말하는 음절박자언어인 반면[8] 영어는 강세박자언어이고 자유로운 언어이기에 발음, 묵음, 단어 발음 포기도 사람마다 다 제 각각이므로 아무리 오래 산 원어민이라고 다 들리진 않는다. 그렇기에 원어민들도 문장이 길어지고 빨라지면 알아 듣기가 어려우므로 문장 전체를 들으려고 하지 않고 상대의 핵심 단어를 듣고 문맥을 통해 유추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듣는이도 자기가 제대로 들은 건지 질문을 하는 모습이 많다.[9] 화자도 이를 알기에 핵심단어만 강조하며 말하고 나머진 약하게 말한다. 주로 조동사, 전치사 등은 약하고 빠르게 말해 연음 현상으로 잘 안들리게 된다. 애초에 한국어와 다른 언어기도 하고.

다만 구성 문자만 한자일 뿐, 일본인의 정서가 반영돼있기 때문에 한국인의 정서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낱말도 적지 않다.

1868년부터 1882년까지 일본에서 번역한 서양 도서의 수만 1410권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서 번역한 서양 근대 학문(철학, 과학, 예술, 의학 등) 개념어의 수는 상당하므로 전부 열거할 수 없다. 따라서 여기엔 어원에 혼동이 있거나, 과거에 이미 쓰던 한자어를 일본식 한자어가 대체하면서 뜻이 변한 경우처럼 설명할 필요가 있는 어휘만 기재한다.

본 문서에서는 한국어의 언어 순수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식 한자어와 그에 대응하는 순화어가 소개되어 있으나 일본식 한자어가 한국어에 정착된 과정은 일본 자체에서 만든 것뿐만 아니라 중, 일본국과 상호작용 및 상호차용에 말미암은 것, 과거에 쓰이던 한자어에 새 뜻을 부여한 것 등 그 생성과정이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정확한 연구 없이 감정에 쏠린 캠페인에 그치거나 정확하지 못한 내용을 담은 경우도 많다. 참고로 일본식 한자어를 차용한 학술어휘가 많은 것은 중국어베트남어도 다르지 않다. rénmín / nhân dân(人民)이나 shehui / xã hội(社會) 같은 일본식 한자어가 그 예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베트남 지식인들이 "근대화된 일본을 배우자!"며 일본으로 유학을 많이 다녀온 영향으로 베트남어에도 일본식 한자어가 들어온 것이다. 이에 대해서 중국 학술계에서 비판의식이 생겨 화제신한어(華製新漢語) 운동으로 원소 등의 일본제 한자어를 중국에서 새로 만든 한자, 한자어로 대체하는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한자어들 중에는 일본에서만 쓰이는 것과, 일본과 한국에서만 쓰이는 것, 일본과 중국에서만 쓰이는 것, 한중일 모두 쓰이는 것 등이 있다. 일본식 한자어들을 어느 선까지 허용해야 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다른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어렵다면 국립국어원의 순화 대상이 된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에서 간혹 일본식 한자어를 대체어로 내놓는 경우도 있어서 나무위키에서 소개하는 대체어는 국립국어원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다.

아래 ‘선착장’ 사례처럼 일본식 한자어는 한국어와 순서가 정반대인 경우가 많다. 서양으로 치면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언어들이 연상되는 부분이다. 가장 극명한 사례가 바로 ‘흑백(黑白)’인데 일본식 한자어로는 '‘白黒(시로쿠로)’가 되며 이는 이탈리아어의 'bianco e nero'와 유사하다.

일본식 한자어에 대한 논설

2.1. 주의

한국어일본어에 수많은 한자어휘가 있으며, 실제로 같은 뜻으로 쓰이는 한자도 상당히 많다. 또한 일본에서 쓰는 뜻과 한국에서 쓰는 뜻이 정확히 같지는 않더라도, 한자 한 글자 한 글자의 뜻을 때려 맞추는 식으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국 국민들은 상대방 언어를 배울 때 비교적 수월하다.

그러나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등을 통해 한국에서 일본어의 대중적 영향력이 커지고, 결정적으로 인터넷 시대가 개막되면서 (1) 한국어에 원래 없거나 (2)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뜻이 다른 낱말을, 특히 그러면서 한국어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낱말을 일본식 그대로 들여와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주의할 것은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이전에 없거나 낯선 개념과 함께 들어 온 일본어 기원 한자어와 원래 한국어에 대응되는 개념과 표현들이 있는데도 이와는 무관하게 사용하는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 언어 사회에 없었던 새로운 개념과 함께 그 개념을 지시하는 어휘가 같이 수입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한자어라도 한국어의 한자어 사용 관습과 충돌하지 않으면 한국어에서도 충분히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또 애초에 한국어 화자에게는 낯선 일본식 한자 사용 방식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면 귀화한 한국어로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한국어 사전에 실려 있지 않으므로 한국어가 아니라고 하는 것도 지나친 생각이다. 사회가 변화하고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고 기존 어휘의 개념이 변화하는 과정은 살아 있는 언어에서 늘 나타난다. 이런 새로운 단어들은 아직 사전에 실리지 않은 상태일 뿐이며, 일시의 유행인지 한국어 사용자들의 사이에 새롭게 받아들여진 신어(新語)인지 확인이 되는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게 되면 한국어 언어 화자들의 사용 여부를 통해 검증된 어휘들은 결국 공식적인 한국어 어휘 목록(=사전)에 편입되게 된다.

하지만 단지 한국어에 이미 해당하는 개념과 그것을 나타내기 위한 어휘와 표현이 존재하는데 이와는 별도로 어색하고 낯선 일본어식 표현이나 일본식 한자어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언어는 그 사회의 일종의 약속이며 새로운 단어나 표현을 도입하는 것은 그때그때의 현실에 맞추어서 기존의 약속을 수정하고 변경하고 이를 사회 일반에서 승인받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항목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기원한 한자어다. 오용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일본 기원의 한자어임은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3. 일러두기

기호 설명
[a] 국립국어원의 순화 대상
[k] 한국식 한자어
[x] 비표준어
[ruby(船,ruby=フナ)][ruby(着,ruby=ツ)](キ)[ruby(場,ruby=バ)] [ruby(船,ruby=ふな)][ruby(着,ruby=つ)](き)[ruby(場,ruby=ば)] 역사적 표기
구자체 + 가타가나
현대 표기
신자체 + 히라가나
괄호 안은 표기 편의상 생략되기도 하는 글자로 발음에는 변화가 없다.[13]

4. 목록

아래 낱말 속 한자 가운데 일본에서 훈독하( 양국 발음이 달라지)는 것은 표기만 한자로 되어 있을 뿐 본래 순일본어 형태소다. 따라서 이러한 한자어를 들여오는 것은 일본어 낱말에서 한자 형태소만 똑 떼어 한국에서 재구성하는 것이므로 일종의 번역차용이라 볼 수 있겠다. 참고로 후술한 단어들 외에도 일본식 한자어는 많이 있다.

4.1.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가격(價格) [ruby(價,ruby=カ)][ruby(格,ruby=カク)] [ruby(価,ruby=か)][ruby(格,ruby=かく)] 값, 값어치 전부 음독자.
가봉(假縫)[a] [ruby(假,ruby=カリ)][ruby(縫,ruby=ヌ)](ヒ) [ruby(仮,ruby=かり)][ruby(縫,ruby=ぬ)](い) 시침질(試針-) 전부 훈독자.
가출(家出)[a] [ruby(家,ruby=イヘ)][ruby(出,ruby=デ)] [ruby(家,ruby=いえ)][ruby(出,ruby=で)] 집 나감 전부 훈독자.
각서(覺書)[a] [ruby(覺,ruby=オボ)](ヘ)[ruby(書,ruby=ガ)](キ) [ruby(覚,ruby=おぼ)](え)[ruby(書,ruby=が)](き) 약조문(約條文)
서약서(誓約書)
전부 훈독자.
영어 memorandum의 번역차용 단어.
일본에서는 깨달을 각(覚)의 훈독 ‘おぼえ’가 ‘기억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일본은 覚書를 ’잊지 않도록 적은 글’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이 뜻으로 해석할 수 없다.
간담회(懇談會)[a] [ruby(懇,ruby=コン)][ruby(談,ruby=ダム)][ruby(會,ruby=クワイ)] [ruby(懇,ruby=こん)][ruby(談,ruby=だん)][ruby(会,ruby=かい)] 정담회(情談會)[k]
대화 모임(對話 -)
전부 음독자.
국립국어원에서 내세우는 정담회(情談會)는 ‘정답게 주고받는 이야기’, ‘마음에서 우러나는 진정한 이야기’를 뜻하는 정담(情談)에 '모임'을 뜻하는 會(회)가 붙은 말이다. 다만 다른 한자를 쓰는 정담회(鼎談會)가 있어 잘 쓰이지 않는다.
개행(改行) [ruby(改,ruby=カイ)][ruby(行,ruby=ギヤウ)] [ruby(改,ruby=かい)][ruby(行,ruby=ぎょう)] 줄 바꿈 전부 음독자.
건물(建物) [ruby(建,ruby=たて)][ruby(物,ruby=もの)] - 전부 훈독자.[19]
특별히 고층 건물의 경우 영어 building에서 유래한 외래어 ビルディング를 축약한 ビル도 같이 쓰이고 있이나, 한국어로도 '건물'과 '빌딩'의 뉘앙스나 용법에 차이가 있듯이 ビル가 지칭하는 범위가 좀 더 좁은 편이다.
견본(見本) [ruby(見,ruby=ミ)][ruby(本,ruby=ホン)] [ruby(見,ruby=み)][ruby(本,ruby=ほん)] 본보기 훈독자 + 음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견습(見習)[x] [ruby(見,ruby=ミ)][ruby(習,ruby=ナラ)](ヒ) [ruby(見,ruby=み)][ruby(習,ruby=なら)](い) 수습(修習)
초보(初步)
실습(實習)#
보며 익힘
전부 훈독자.
국립국어원에서 비표준어로 분류하는 말 가운데 유독 자주 쓰인다. 수습(修習)은 한자 뜻대로 ‘닦고 익힌다’는 뜻인데, 다른 한자를 쓰는 수습(收拾)이 있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아르바이트, 고용 등에서는 “수습 기간”이라는 용어를 자주 쓴다.
견적(見積)[a] [ruby(見,ruby=ミ)][ruby(積,ruby=ツ)](モリ) [ruby(見,ruby=み)][ruby(積,ruby=つ)](もり) 어림
어림셈
추산(推算)
전부 훈독자.
결착(決着/結着) [ruby(決,ruby=ケツ)][ruby(着,ruby=チヤク)]
[ruby(結,ruby=ケツ)][ruby(着,ruby=チヤク)]
[ruby(決,ruby=けっ)][ruby(着,ruby=ちゃく)]
[ruby(結,ruby=けっ)][ruby(着,ruby=ちゃく)]
결말(結末)
결판(決判)
전부 음독자.
일본식 한자어인지 논란이 있다. 한국에서 ‘결착’이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매(競賣) [ruby(競,ruby=ケイ)][ruby(賣,ruby=バイ)]
[ruby(競,ruby=キヤウ)][ruby(賣,ruby=バイ)]
[ruby(競,ruby=けい)][ruby(売,ruby=ばい)]
[ruby(競,ruby=きょう)][ruby(売,ruby=ばい)]
공박(公拍)[k] 전부 음독자.
최근에는 オークション이라는 외래어도 많이 쓰는 추세다. 대표적인 말이 야후 옥션(ヤフー・オークション)과 이를 줄인 야후오크(ヤフオク)다.
공박(公拍)은 조선 후기에 지금의 경매를 이르던 말이다.
경제(經濟) [ruby(經,ruby=ケイ)][ruby(濟,ruby=ザイ)] [ruby(経,ruby=けい)][ruby(済,ruby=ざい)] 이재(移財)
생계(生計)
전부 음독자.
살림살이를 뜻하는 그리스어 '오이코노미아(Oikonomia; οἰκονομία)'에서 기원한 영어 Economy를, 일본에서 장자의 말 ‘경세제민(經世濟民;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경(다스림)’과 ‘제(구원함)’를 따서 번역했다. 하지만 이 단어는 경제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말이다. 이재(移財)는 재화를 옮긴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국에서 번역한 한자어다.
계단(階段) [ruby(階,ruby=カイ)][ruby(段,ruby=ダン)] [ruby(階,ruby=かい)][ruby(段,ruby=だん)] 층계(層階)[k]
층층대(層層臺)[k]
층층다리(層層-)
전부 음독자.
계주(繼走) [ruby(繼,ruby=ケイ)][ruby(走,ruby=ソウ)] [ruby(継,ruby=けい)][ruby(走,ruby=そう)] 이어달리기 전부 음독자.
계출(届出) [ruby(屆,ruby=トド)](ケ)[ruby(出,ruby=デ)] [ruby(届,ruby=とど)](け)[ruby(出,ruby=で)] 신고(申告) 한자로 표기된 순일본어.
옛날 한국 공문서 등을 보면 계출에서 파생된 혼인계, 출생계, 휴학계 같은 단어가 쓰여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공전절후(空前絶後)[25] [ruby(空,ruby=クウ)][ruby(前,ruby=ゼン)][ruby(絶,ruby=ゼツ)][ruby(後,ruby=ゴ)] [ruby(空,ruby=くう)][ruby(前,ruby=ぜん)][ruby(絶,ruby=ぜつ)][ruby(後,ruby=ご)] 전무후무(前無後無) 전부 음독자.
아주 가끔 空前과 切後를 붙여 쓰는 경우도 있다.
교과서(敎科書)
교정(敎程)
[ruby(敎,ruby=ケウ)][ruby(科,ruby=クワ)][ruby(書,ruby=シヨ)]
[ruby(敎,ruby=ケウ)][ruby(程,ruby=てい)]
[ruby(教,ruby=きょう)][ruby(科,ruby=か)][ruby(書,ruby=しょ)]
[ruby(教,ruby=きょう)][ruby(程,ruby=てい)]
교본(敎本) 전부 음독자.
구보(驅步) [ruby(驅,ruby=ク)][ruby(步,ruby=ホ)] [ruby(駆,ruby=く)][ruby(歩,ruby=ほ)] 달리기
뜀걸음
전부 음독자.
구좌(口座)[a] [ruby(口,ruby=コウ)][ruby(座,ruby=ザ)] [ruby(口,ruby=こう)][ruby(座,ruby=ざ)] 계좌(計座) 전부 음독자.
금융계에서 구좌라는 말이 90년대 중반 이후 거의 사라진 상태다. 다만 리조트 업계에서 쓰는 구좌는 예외다. 이 경우는 회원권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이 몇 개인지를 세는 단위로, 용법 자체가 일본과 다르다.
기라성(綺羅星)[a] [ruby(綺,ruby=キ)][ruby(羅,ruby=ラ)][ruby(星,ruby=ボシ)] [ruby(綺,ruby=き)][ruby(羅,ruby=ら)][ruby(星,ruby=ぼし)] 빛나는 별(들)
거성(巨星)
거물(巨物)
음독자 + 음독자 + 훈독.
‘정재계의 유력자 등 부, 명예나 실력을 갖춘 걸출한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있는 모양’을 뜻하는 말이다. 본래 기라(綺羅; 키라)는 '반짝임'이라는 뜻으로, 의태어 'キラキラ(키라키라)'도 여기서 따온 말이다. 따라서 기라성([ruby(綺,ruby=き)][ruby(羅,ruby=ら)][ruby(星,ruby=ぼし)]; 키라보시)은 일본어로는 '반짝이는 별'임을 단번에 알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기라’라는 어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로 낯선 한자어가 된다.

4.2. ㄴ, ㄷ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낙서(落書)[a] [ruby(落,ruby=ラク)][ruby(書,ruby=ガ)](キ)
[ruby(樂,ruby=ラク)][ruby(書,ruby=ガ)](キ)
[ruby(落,ruby=らく)][ruby(書,ruby=が)](き)
[ruby(楽,ruby=らく)][ruby(書,ruby=が)](き)
끄적임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납골(納骨)[a] [ruby(納,ruby=ナフ)][ruby(骨,ruby=コツ)] [ruby(納,ruby=のう)][ruby(骨,ruby=こつ)] 봉안(奉安) 전부 음독자.
납골(納骨)이란 한자어는 ‘뼈를 들이다’라는 뜻으로 시체에 관한 직설을 피하려는 한국 정서와 맞지 않다. 그래서 납골당을 봉안당(奉安堂), 추모공원으로 대체하여 쓴다.(정치적 올바름 문서도 참고) 아직까진 납골을 쓰는 사람이 많지만, 봉안을 쓰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다. 참고로 봉안은 일본에서도 쓰인다.
납득(納得)[a] [ruby(納,ruby=ナツ)][ruby(得,ruby=トク)] [ruby(納,ruby=なっ)][ruby(得,ruby=とく)] 받아들임
이해(理解)
수긍(首肯)
인정(認定)
전부 음독자.
낭만(浪漫) [ruby(浪,ruby=ろう)][ruby(漫,ruby=まん)] 전부 음독자.
낭만주의를 가리키는 romance의 프랑스어식 발음(로망)을 일본어로 ろうまん이라 음차하고 각각에 浪漫이라는 한자를 붙인 한자어다.
내역(內譯)[a] [ruby(内,ruby=ウチ)][ruby(譯,ruby=ワケ)] [ruby(内,ruby=うち)][ruby(訳,ruby=わけ)] 명세(明細)
기록(記錄)
실적(實績)
내용(內容)
전부 훈독자.
금융 쪽(예: 내역서)으로 쓸 때는 명세(明細), 어떤 기록(예: 수상 내역)을 나타낼 때는 기록(記錄)이나 실적(實績), 상세한 내용(예: 업데이트 내역)을 뜻할 때는 내용(內容)으로 각각 다듬을 수 있다.
노견(路肩)[x] [ruby(路,ruby=ロ)][ruby(肩,ruby=カタ)] [ruby(路,ruby=ろ)][ruby(肩,ruby=かた)][33] 갓길 음독자 + 훈독.
90년대 중반쯤에 노견을 우리말로 직역한 ‘길어깨’라는 말로 잠시 쓰이다가 90년대 말 정도에 ‘갓길’로 순화되어 정착했다. 요즘은 노견이라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늙은 개(老犬)를 떠올린다.
단어(單語) [ruby(單,ruby=タン)][ruby(語,ruby=ゴ)] [ruby(単,ruby=たん)][ruby(語,ruby=ご)][34] 낱말

어휘(語彙)
전부 음독자.
아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낱말’을 쓰는 사람도 차츰 느는 추세다.
담합(談合)[a] [ruby(談,ruby=ダム)][ruby(合,ruby=ガフ)] [ruby(談,ruby=だん)][ruby(合,ruby=ごう)] 짬짜미 전부 음독자.
대응(對應) [ruby(對,ruby=タイ)][ruby(應,ruby=オウ)] [ruby(対,ruby=たい)][ruby(応,ruby=おう)] 호환(互換)
지원(支援)
전부 음독자.
대응은 일본어에서 전자기기 쪽 용어로 ‘호환’의 뜻까지 포함한다. 예를 들어 USB 3.0 대응, 비트콘 대응 등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호환을 뜻하는 용법으로 대응을 쓰는 건 어색하다. 일본어에서도 호환(互換)이란 한자를 안 쓰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과거 IBM PC 호환 기종(DOS/V)을 부르던 정식 명칭을 ‘PC/AT互換’이라고 하지 ‘PC/AT対応’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한국어에서는 영어 support를 번역한 지원(支援)이라고 쓰기도 한다.
대절(貸切) [ruby(貸,ruby=カ)](シ)[ruby(切,ruby=キ)](リ) [ruby(貸,ruby=か)](し)[ruby(切,ruby=き)](り) 전세(專貰) 전부 훈독자.
‘대절(貸切)’은 계약을 맺고 일정 기간 동안 그 사람에게만 빌려주어 다른 사람이 사용 못하게 함을 뜻한다. 흔히 버스나 가게를 ‘대절’한다고 하는데, 대절이란 일본어 를 한국식으로 읽은 것이다. 이 경우 ‘전세 낸다’라고 하는 게 올바르다.
도정(搗精) [ruby(搗,ruby=タウ)][ruby(精,ruby=せい)] [ruby(搗,ruby=とう)][ruby(精,ruby=せい)] 방아 찧기
쓿기
전부 음독자.
돌풍(突風) [ruby(突,ruby=トツ)][ruby(風,ruby=フウ)] [ruby(突,ruby=とっ)][ruby(風,ruby=ぷう)] 광풍(狂風) 전부 음독자.
광풍(狂風)은 말 그대로 ‘미친 바람’으로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광풍만 쓰이고 돌풍은 아예 없던 말이었지만 일본의 영향으로 지금은 거의 돌풍만 쓰인다. 대신 광풍은 진짜로 미친 듯한 행동이 유행하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다.

4.3. ㅁ, ㅂ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매립(埋立)[a] [ruby(埋,ruby=ウ)](メ)[ruby(立,ruby=タ)](テ) [ruby(埋,ruby=う)](め)[ruby(立,ruby=た)](て) 메움 전부 훈독자.
매상(賣上)[a] [ruby(賣,ruby=ウ)](リ)[ruby(上,ruby=ア)](ゲ) [ruby(売,ruby=う)](り)[ruby(上,ruby=あ)](げ) 판매액(販賣額)
매출액(賣出額)
전부 훈독자.
매절(賣切)[a] [ruby(賣,ruby=ウ)](リ)[ruby(切,ruby=キ)]レ [ruby(売,ruby=う)](り)[ruby(切,ruby=き)]れ 매진(賣盡)
동(이 )남
전부 훈독자.
매점(賣店)[a] [ruby(賣,ruby=バイ)][ruby(店,ruby=テム)] [ruby(売,ruby=ばい)][ruby(店,ruby=てん)] 가게 전부 음독자.
매점(買占)[a] [ruby(買, ruby=か)]い[ruby(占, ruby=し)]め 사재기 전부 훈독자.
명찰(名札)[a] [ruby(名,ruby=ナ)][ruby(札,ruby=フダ)] [ruby(名,ruby=な)][ruby(札,ruby=ふだ)] 이름표(-表) 전부 훈독자.
문화재(文化財)[a] [ruby(文, ruby=ぶん)][ruby(化, ruby=か)][ruby(財, ruby=ざい)] 문화유산(文化遺産)
국가유산(國家遺産)
전부 음독자. 일본에서 번역한 서양 어휘.
대한민국에서는 2024년부로 명칭이 국가유산으로 바뀌었다.
발매(發賣) [ruby(発,ruby=はつ)][ruby(売, ruby=ばい)] 팔기
출시(出市)
전부 음독자.
발선(發船) [ruby(發,ruby=ハツ)][ruby(船,ruby=セン)] [ruby(発,ruby=はっ)][ruby(船,ruby=せん)] - 전부 음독자.
방청제(防錆劑) [ruby(防,ruby=バウ)][ruby(錆,ruby=セイ)][ruby(劑,ruby=ザイ)] [ruby(防,ruby=ぼう)][ruby(錆,ruby=せい)][ruby(剤,ruby=ざい)] 녹막이(綠-)
녹 제거제(綠 除舉劑)
전부 음독자.
은 ‘자세할 창’이라는 글자인데, 일본에서는 녹을 이 한자로 쓴다.
보통(普通) [ruby(普,ruby=ふ)][ruby(通,ruby=つう)] 흔히(昕-)
대개(大槪)
대체로(大體-)
여간(如干)
예사(例事)
전부 음독자.
보통의 뜻이 워낙 모호하다 보니 한두 가지 낱말로 다듬기 힘들다.
보폭(步幅) [ruby(步,ruby=ホ)][ruby(幅,ruby=ハバ)] [ruby(歩,ruby=ほ)][ruby(幅,ruby=はば)] -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부도(不渡)[43] [ruby(不,ruby=フ)][ruby(渡,ruby=ワタ)](リ) [ruby(不,ruby=ふ)][ruby(渡,ruby=わた)](り) 파산(破產)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한국과 마찬가지로 부도는 “사실상” 도산([ruby(倒,ruby=とう)][ruby(産,ruby=さん)])이라는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불교의 金仏不渡炉、木仏不渡火、泥仏不渡水[44]처럼 한문 문학에서는 한자 그대로 '건너지 못함'이라는 뜻으로도 쓰이나 일반적이지는 않다.
분식회계(粉飾會計) [ruby(粉飾会計,ruby=ふんしょくかいけい)] 회계부정
회계조작
회계사기
모두 음독자.
비상구(非常口) [ruby(非,ruby=ひ)][ruby(常,ruby=じょう)][ruby(口,ruby=ぐち)] 비상문(非常門)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4.4.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사구(死球) [ruby(死,ruby=シ)][ruby(球,ruby=キウ)] [ruby(死,ruby=し)][ruby(球,ruby=きゅう)] 몸(에) 맞는 공 전부 음독자. 재플리시 'dead-ball'을 번역하여 만든 한자어.
타자가 보호모를 쓰지 않고 타석에 들어서 있다가 머리에 야구공을 맞고 죽어서 유래되었다. 현재는 재플리시인 데드볼(デッドボール)을 더 많이 쓴다.
사기(詐欺) [ruby(詐,ruby=さ)][ruby(諆,ruby=ぎ)] - 전부 음독자.
사양(仕樣)[a] [ruby(仕,ruby=し)][ruby(樣,ruby=よう)] 설명(說明)
설명서(說明書)
품목(品目)
제원(諸元)
전부 음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46]

영어 Specification과 그 준말인 'Spec(스펙)'을 번역한 단어로, 주로 컴퓨터 성능 및 부품 구성 등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일본에서도 컴퓨터와 관련된 뜻 한정으로 spec(スペック)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고사양 컴퓨터'는 그냥 '고성능 컴퓨터'로 표현하면 그만이다. 굳이 해석하자면 한(爲>仕,≒만든) 양(樣,모습/양식)[47]인데 이래저래 직관적으로 해석하긴 힘들다.
사입(仕入) [ruby(仕,ruby=し)][ruby(入,ruby=い)]れ -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사입(仕) [ruby(仕,ruby=し)][ruby(込,ruby=こ)]み -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込는 辶과 入이 뭉친 한자로 일본 고유 한자다. 한자사전에 '담을 입'으로 나온다.
색안경(色眼鏡) [ruby(色,ruby=いろ)][ruby(眼鏡,ruby=めがね)]
- 훈독자 + 숙자훈.
생지(生地) [ruby(生地, ruby=きじ)] 애벌구이
소태(素胎)
밑반죽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석패(惜敗) [ruby(惜,ruby=せき)][ruby(敗,ruby=はい)] 아깝게 짐
아쉽게 짐
전부 음독자.
선착장(船着場)[a] [ruby(船,ruby=フナ)][ruby(着,ruby=ツ)](キ)[ruby(場,ruby=バ)] [ruby(船,ruby=ふな)][ruby(着,ruby=つ)](き)[ruby(場,ruby=ば)] 나루
나루터[49]
선창(船艙)
전부 훈독자.
[ruby(船,ruby=ふな)][ruby(乗,ruby=の)]り[ruby(場,ruby=ば)](배 타는 곳)라고도 한다. 선착장이나 선승장을 승마장, 주차장처럼 선착장을 한자어 순서에 맞게 바꾸면 착선장(着船場)이 된다.
일본에서는 선창(船倉)을 ‘배 창고’의 의미로 쓴다.
소포(小包) [ruby(小,ruby=こ)][ruby(包,ruby=づつ)](み) 작은 짐 전부 훈독자.
包는 “꾸러미”, “보따리”라는 말로 대체 가능하다.
손절(損切)[50] [ruby(損,ruby=そん)][ruby(切,ruby=ぎ)](り) - 음독자 + 훈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영어 로스컷(loss cut)의 직역.
수당(手當)[a] [ruby(手,ruby=て)][ruby(当,ruby=あ)](て) 덤삯
일삯
품삯
보수(報酬)
전부 훈독자.
수부(受付)[x] [ruby(受,ruby=う)](け)[ruby(付,ruby=つ)](け) 접수(接受) 전부 훈독자.
수속(手續)[a] [ruby(手,ruby=テ)][ruby(續,ruby=ツヅ)](キ) [ruby(手,ruby=て)][ruby(続,ruby=つづ)](き) 절차(節次)[k] 전부 훈독자.
지금은 영어 check-in을 번역한 한자어가 되어 여행, 항공업계 아니면 잘 안 쓰이는 추세다. 그래도 ‘수속을 밟다’라는 표현은 끈질기게 남아 있는데 이조차 ‘이혼 수속을 밟다’ 같은 용례를 빼면 절차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다.
수순(手順)[a] [ruby(手,ruby=て)][ruby(順,ruby=じゅん)] 차례(次例)
순서(順序)
절차(節次)
훈독자 + 음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순일본어 + 한자어)
현재 거의 바둑 용어로 쓰인다.
수입(手入) [ruby(手,ruby=て)][ruby(入,ruby=い)](れ) 손질
청소(淸所)[k]
전부 훈독자.
수하물(手荷物) [ruby(手,ruby=て)][ruby(荷,ruby=に)][ruby(物,ruby=もつ)] 훈독자 + 훈독자 + 음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순일본어 + 한자어)
숙제(宿題) [ruby(宿,ruby=しゅく)][ruby(題,ruby=だい)] 과제(課題) 전부 음독자. 영어 Homework를 번역하여 만든 한자어.
순번(順番)[a] [ruby(順,ruby=じゅん)][ruby(番,ruby=ばん)] 차례(次例)
순서(順序)
시계(時計) [ruby(時計,ruby=とけい)] - 숙자훈.
일본어 'とけい'의 옛 한자 표기인 土圭(토규)를 時計로 바꾼 것이다.
시합 [ruby(試,ruby=し)][ruby(合,ruby=あい)] 겨루기
경기(競技)
대회(大會)
음독자 + 훈독자.[58]
신병(身柄) [ruby(身,ruby=み)][ruby(柄,ruby=がら)]
식상(食傷) [ruby(食,ruby=しょく)][ruby(傷,ruby=しょう)] 물림
싫증 남
질림
진부(陳腐)
전부 음독자.
'같은 것이 되풀이되어 물리거나 질림'이란 뜻 한정.
일본에서도 飽きた란 좀 더 분명한 표현이 있긴 하다.
식상은 원래 한국에선 '음식으로 생긴 병증'이란 뜻으로 쓰였다.
신원(身元) [ruby(身,ruby=み)][ruby(元,ruby=もと)] 개인 정보(個人 情報)
주민 등록(住民 登錄)

4.5.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위찰(僞札) [ruby(僞,ruby=にせ)][ruby(札,ruby=さつ)]
[ruby(僞,ruby=ぎ)][ruby(札,ruby=さつ)]
위조지폐(僞造紙幣)
위폐(僞幣)
역할(役割)[a] [ruby(役,ruby=やく)][ruby(割,ruby=わり)] 구실
소임(所任)
역(役)
할 일
연상(年上) [ruby(年,ruby=とし)][ruby(上,ruby=うえ)] -
오지(奧地)[a] [ruby(奥,ruby=おく)][ruby(地,ruby=ち)] 두메
외딴곳
산골(山-)
두메산골(-山-)
요해(了解)[61] [ruby(了,ruby=りょう)][ruby(解,ruby=かい)] 이해(理解)
수신 양호(受信 良好)
양호(良好)
확인(確認)
유모차(乳母車) [ruby(乳母,ruby=うば)][ruby(車,ruby=ぐるま)] 아기차(-車)
유아차(乳兒車)
숙자훈 + 훈독자.
아이를 돌보는 ‘유모(乳母)’라는 직업에서 따온 명칭이며. 현재는 육아를 유모가 맡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정치적 올바름 문서도 참고)

최근 일본에서는 재플리시인 베이비 카(ベビーカー, Baby car)를 쓴다.
유산(流産) [ruby(流,ruby=りゅう)][ruby(産,ruby=ざん)] 반산(半産)[62]
의원내각제(議院内閣制) [ruby(議,ruby=ぎ)][ruby(院,ruby=いん)][ruby(内,ruby=ない)][ruby(閣,ruby=かく)][ruby(制,ruby=せい)] 의회제()
이유(理由) [ruby(理,ruby=り)][ruby(由,ruby=ゆう)] 까닭
명목(名目)
사연(事緣)
사유(事由)
사정(事情)
소이(所以)
연고(緣故)
연유(緣由)
인간(人間) [ruby(人,ruby=にん)][ruby(間,ruby=げん)] 사람
인류(人類)[63]
전부 음독자. 한국에서 쓰이던 人間의 원래 뜻은 ‘사람들이 모여 형성한 사회 전체’를 일컫는 말이다. 오늘날에도 중국에서는 이 뜻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만 ‘人間’을 사람이란 뜻으로도 사용한다. 이 때문에 ‘인간 사이’라는 겹말도 생겼다.

참고로 대한민국에서 ‘사람’을 대신해서 사용하는 것에는 주의해야 한다.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부르는 말로도 쓰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인계(引繼) [ruby(引,ruby=ひ)](き)[ruby(継,ruby=つ)](ぎ) -
인외(人外)[x] [ruby(人,ruby=じん)][ruby(外,ruby=がい)] 비인간(非人間)[65]
외족(外族)
일람(一覽) [ruby(一,ruby=いち)][ruby(覧,ruby=らん)] 목록(目録) 전부 음독자.
입장(立場)[a] [ruby(立,ruby=たち)][ruby(場,ruby=ば)] 처지(處地)
조건(條件)
형편(形便)[k]
관점(觀點)
생각
견해(見解)
시각(視角)
의견(意見)
의사(意思)
자세(姿勢)
성명(聲明)
전부 훈독자.[68] 단어 자체의 한국어 한자음은 ‘입장’이지만 일본어에서는 광범위한 용례로 쓰여 순화할 때에는 문맥에 따라 다른 어휘를 고를 필요가 있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이 단어를 쓴 입장문(立場文)이라는 표현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쓰이지 않는 말이다. 사실상 ‘입장’이라는 말 자체가 한국어에 정착했음을 시사한다.

4.6. ㅈ, ㅊ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장소(場所) [ruby(場,ruby=ば)][ruby(所,ruby=しょ)]

자리

위치(位置)
훈독자 + 음독자. 한자로 표기된 혼성어(混成語).
조선왕조실록 등에 場所를 검색하면 所가 牧場, 戰場 같은 말 뒤에 붙어 ‘~에서’로 풀이된다.
적립(積立)[a] [ruby(積,ruby=つ)](み)[ruby(立,ruby=た)](て) 모아 쌓음
모음
전력계통(電力系統) [ruby(電,ruby=でん)][ruby(力,ruby=りょく)][ruby(系,ruby=けい)][ruby(統,ruby=とう)] - 전부 음독자.
영어 Electrical grid 또는 Electrical network의 일본식 오역이며 한국전력거래소와 같은 기관에서 전력관련 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하거나 영어에 기반한 것이 아닌 오역된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고 있다.
전멸(全滅) [ruby(全,ruby=ぜん)][ruby(滅,ruby=めつ)] 몰사(沒死)
몰살(沒殺)
떼죽음
전부 음독자.
전멸의 사전 뜻은 몰사, 몰살과 일맥상통하나, 군사 용어로 쓰이는 전멸은 전투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절수(切手) [ruby(切,ruby=きっ)][ruby(手,ruby=て)] 우표(郵票) 전부 훈독자.
일제 강점기 때 우표를 이르던 말. 절수는 일본에서 손으로 끊은 표를 가리키며, 중국에서는 '손을 베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절취선(切取線)[a] [ruby(切,ruby=き)](り)[ruby(取,ruby=と)](り)[ruby(線,ruby=せん)] 자르는 선
정공(正孔) [ruby(正,ruby=せい)][ruby(孔,ruby=こう)] 양공(陽孔) 전부 음독자.
물리학 및 전공 용어라 영어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제대로 번역하면 양공. 일본에서는 양/음 대신 정/부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억지로 한자음만 가져온 사례다. 예를 들면 건전지 등의 양극, 음극을 일본에서는 정극(正極), 부극(負極)이라고 한다.
조립(組立)[a] [ruby(組,ruby=く)](み)[ruby(立,ruby=た)](て) 짜기
짜 맞추기
만들기
전부 훈독자.
동사 組み立てる(짜 맞추다)를 연용형으로 활용하여 명사화한 단어.
지방자치(地方自治) [ruby(地,ruby=ち)][ruby(方,ruby=ほう)][ruby(自,ruby=じ)][ruby(治,ruby=ち)] - 전부 음독자.
지분(持分)[a] [ruby(持,ruby=も)](ち)[ruby(分,ruby=ぶん)]
지불(支拂)[a] [ruby(支,ruby=し)][ruby(払,ruby=はら)](い) 치름
지급(支給)
진체(振替)[a] [ruby(振,ruby=ふ)](り)[ruby(替,ruby=か)](え) 대체(對替) 전부 훈독자.
경영 분야 용어로 '어떤 금액을 한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대체하는 일, 또는 그 계정'을 뜻하는 낱말로서 사전에 등재되어있으나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다.
차압(差押)[x] [ruby(差,ruby=さ)](し)[ruby(押,ruby=お)](さえ) 압류(押留)[k]
차월(借越) [ruby(借,ruby=か)](り)[ruby(越,ruby=こ)](し)
참배(參拜) [ruby(参,ruby=さん)][ruby(拝,ruby=ぱい)] 배알(拜謁)
배례(拜禮)
배릉(拜陵)
전부 음독자.
참배 자체는 예부터 쓰인 낱말이나 본뜻은 '임금을 뵙다'였다. 즉 알현과 같은 뜻으로, 무덤에 예를 갖춘다는 뜻이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 때 뜻이 왜곡된 낱말로, 조선왕조실록을 찾아보면 같은 뜻을 가진 낱말로 배알, 배례, 배릉 등이 널리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창구(窓口) [ruby(窓,ruby=まど)][ruby(口,ruby=ぐち)] 접수처(接受處)
천정(天井)[x] [ruby(天,ruby=てん)][ruby(井,ruby=じょう)] 천장(天障)
보꾹
전부 음독자.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천정(天頂)과는 다른 말이다. 한국인과 일본인이 생각하는 바가 다른 데서 생긴 차이로, 한국은 천장을 '하늘을 막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일본은 천장을 '하늘에 있는 우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걸 일본식 발음 그대로 읽은 '덴조'는 현장 용어에서 천장 안쪽에 있는 빈 공간을 가리킨다. 일본어로는 '천정 안쪽'을 의미하는 덴조우라([ruby(天,ruby=てん)][ruby(井,ruby=じょう)][ruby(裏,ruby=うら)])라고 한다.
청부(請負) [ruby(請,ruby=う)](け)[ruby(負,ruby=お)](い) 도급(都給)[k]
수급(受給)
전부 훈독자.
하청, 살인청부 등의 낱말에 그 잔재가 남아 있다.
청부는 일을 맡는 것이고 도급은 일을 맡기는 것이므로 청부계약 자체는 도급계약으로, 그 밖에는 수급으로 순화할 수 있다.
추월(追越)[a] [ruby(追,ruby=お)](い)[ruby(越,ruby=こ)](し) 앞지르기
역전(逆轉)
출산(出産) [ruby(出,ruby=しゅっ)][ruby(産,ruby=さん)] 해산(解産)[80]
충치(蟲齒) [ruby(蟲,ruby=ムシ)][ruby(齒,ruby=バ)] [ruby(虫,ruby=むし)][ruby(歯,ruby=ば)]
치충(齒蟲)
썩은 이
전부 훈독
순화 대상이 아닌 어휘
취급(取扱)[a] [ruby(取,ruby=と)](り)[ruby(扱,ruby=あつか)](い) 다룸
여김
취소(取消)[a] [ruby(取,ruby=と)](り)[ruby(消,ruby=け)](し) 무름
파기(破棄)
취조(取調)[a] [ruby(取,ruby=と)](り)[ruby(調,ruby=しら)](べ) 문초(問招)[k]
심문(審問)
취체역(取締役) [ruby(取,ruby=とり)][ruby(締,ruby=しまり)][ruby(役,ruby=やく)] 이사(理事)[85] 훈독자 + 훈독자 + 음독자.
[ruby(取,ruby=とり)][ruby(締,ruby=しまり)]는 [ruby(取,ruby=と)](り)[ruby(締,ruby=し)](まり)를 생략한 표현이지만 取り締まり役로는 쓰지 않는다.
이제 한국에선 거의 쓰이지 않으며, 일본에서는 뒤의 [ruby(役,ruby=やく)]를 빼고 그냥 [ruby(取,ruby=とり)][ruby(締,ruby=しまり)]라고 하기도 한다.

4.7. ㅌ, ㅍ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택배(宅配)[a] [ruby(宅,ruby=たく)][ruby(配,ruby=はい)] 문 앞 배달
집 배달
품절(品切)[a] [ruby(品,ruby=シナ)][ruby(切,ruby=ギ)]レ [ruby(品,ruby=しな)][ruby(切,ruby=ぎ)]れ 매진(賣盡)
동이 남
전부 훈독
피안화(彼岸花) [ruby(彼,ruby=ひ)][ruby(岸,ruby=がん)][ruby(花, ruby=ばな)] 석산(石蒜)
꽃무릇

4.8.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rowcolor=#fff> 역사적 표기 현대 표기
<colbgcolor=#fed,#430>하리(下痢) [ruby(下,ruby=げ)][ruby(痢,ruby=り)] 설사(泄瀉)
이질(痢疾)
전부 음독자.
한국에선 쓰이는 경우가 많이 줄었다.
하청(下請) [ruby(下,ruby=した)][ruby(請,ruby=う)](け) 하도급(下都給) 전부 훈독자.
한국 법률용어로는 하수급(주는 처지에서는 하도급)이라고 표현한다.
할인(割引)[a] [ruby(割,ruby=わ)](り)[ruby(引,ruby=び)](き) 에누리
염가 판매(廉價 販賣)
전부 훈독자.
에누리가 받침이 없는 말이어서인지 오히려 에누리를 일본에서 온 말로 착각하는 사람도 있으나, 실제는 그 반대다. 하지만 몇몇 곳을 제외하면 다들 할인 내지는 영어 세일(sale)을 쓰는 게 현실이다. 국립국어원조차 '세일'의 순화어로 '할인판매'를 내세울 정도면 말 다 했다. 이는 에누리가 단순히 가격을 깎는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반대로 가격을 올린다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실생활에서 에누리라고 하면 후자의 의미가 보통 쓰이기 때문에 할인의 순화어로 정착하기 어려웠다.
할증료(割增料)[a] [ruby(割,ruby=わ)](り)[ruby(増,ruby=ま)](し)[ruby(料,ruby=りょう)] 웃돈
추가금(追加金)
해부(解剖) [ruby(解,ruby=かい)][ruby(剖,ruby=ぼう)] 전부 음독자.
행방(行方) [ruby(行,ruby=ユ)]ク[ruby(方,ruby=ヘ)] [ruby(行方,ruby=ゆくえ)] 자취
발자취
숙자훈.
행방불명(行方不明) [ruby(行方,ruby=ゆくえ)][ruby(不,ruby=ふ)][ruby(明,ruby=めい)] 실종(失踪)
행선(行先)[a][91] [ruby(行,ruby=ゆ)](き)[ruby(先,ruby=さき)]
[ruby(行,ruby=い)](き)[ruby(先,ruby=さき)]
가는 곳
목적지(目的地)
도착지(到着地)
일본어의 [ruby(先,ruby=さき)]는 '목적지', '미래'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어의 先에는 그런 뜻이 없다. 즉, 순일본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그 뜻까지 한꺼번에 가져온 경우다.
혈안(血眼) [ruby(血,ruby=ち)][ruby(眼,ruby=まなこ)]
형무소(刑務所) [ruby(刑,ruby=けい)][ruby(務,ruby=む)][ruby(所,ruby=しょ)] 교도소(矯導所) 전부 음독자.
한국에서는 형벌 집행보다 범죄자 교화가 중시되면서, 1961년부터 교도소로 바뀌었다.
호출(呼出)[a] [ruby(呼,ruby=よ)](び)[ruby(出,ruby=だ)](し) 부름
혹성(惑星) [ruby(惑,ruby=わく)][ruby(星,ruby=せい)] 행성(行星) 전부 음독자.
네덜란드어 planeet의 유래인 고전 그리스어 πλᾰνήτης(planḗtēs)가 '헤매는 별'(惑う星)이라는 뜻으로부터.[93] 일본을 제외하고 한중월은 모두 행성이다. 이젠 혹성탈출이라는 전설이 된 영화 이름 빼고는 쓰지를 않는다.
흑판(黑板)[a] [ruby(黒,ruby=こく)][ruby(板,ruby=ばん)] 칠판(漆板) 전부 음독자. 일본에서 번역한 서양 어휘.
흑판은 일본에서 영어 blackboard를 직역한 말로,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도 나이가 좀 있는 교사들만 사용하는 말이었다.

4.9. 접두사, 접미사

  • 생(生)~ 영어 'live'와 뜻이 통한다.
    • 생방송(生放送)[a] なまほうそう'날방송' 현장 방송 실제로 중국에서는 '현장직파'(现场直播) 혹은 '실황전파'(实况转播)라 부른다.]
    • 생중계(生中継◀なまちゅうけい[96])▶현장 중계
  • ~선(先◀さき)[97]
    • 거래선(去来先)▶거래처
    • 수입선(輸入先)▶수입처
    • 연락선(連絡先·聯絡先)[98]▶연락처
  • ~원(元◀もと)[99]
    • 발매원(發賣元)▶발매처(發賣處)
    • 제조원(製造元)▶만든 곳
    • 판매원(販賣元)▶파는 곳, 판매처
  • ~당(當◀あたり/当たり)[100]
    • 인당(人當◀ひとりあたり/一人当たり[101])▶한 사람에, 사람마다
    • 개당(個當◀いっこあたり/一個当たり)▶한 개에
    • 1인당 GDP(一人當-◀ひとりあたり-/一人当たり-)
  • ~별(別◀べつ)[102]
    • 남녀별(男女別◀だんじょのべつ)
    • 반별(班別◀はんべつ)
    • 부별(部別◀ぶべつ)
  • ~구(口)[103][104]
    • 매표구(賣票口)[105]▶매표소(賣票所), 표 사는 곳
    • 비상구(非常口◀ひじょうぐち)▶비상문(非常門)
    • 입구(入口◀いりぐち[106])[107][a]▶입로(入路), 정문(正門), 들어오는 곳, 들목, 어귀.[109]
    • 출구(出口◀でぐち[110])[111][a]▶출로(出路), 나가는 곳, 날목[113]
    • 출입구(出入口◀でいりぐち)▶출입문, 정문(正門), 나들목[114]
  • ~고(高)[115]
    • 물가고(物値高)▶높은 물가, 고물가(高物價)
    • 수확고(收穫高)▶수확량
    • 잔고(殘高◀ざんだか[116])[117].▶잔액(殘額)
    • 판매고(販賣高)▶판매량, 높은 판매
  • ~계(屆)[118]
    • 결석계(缺席屆)▶결석 신고서
    • 휴학계(休學屆)▶휴학 신청서
    • 숙박계(宿泊屆)▶숙박부
  • ~합(合)
    • 기합(氣合)[119]ⓧ▶기 넣기
    • 대합실(待合室◀まちあいしつ[120])ⓧ▶기다림방, 맞이방
    • 승합(乘合◀のりあい/乗り合い)[121]▶합승
  • ~향(向)[122]
    • 남성향, 여성향
    • 미국향(向) 휴대폰▶미국용 휴대폰
    • KT/SKT향(向) 휴대폰▶KT/SKT용 휴대폰
    • 남향(南向◀みなみむき/南向き)
    • 전향(前向◀まえむき/前向き)[123]
  • ~요일(曜日◀ようび)
  • ~음치(音癡◀おんち/音痴)(노래와 관련 없을 때 한정)[124]▶~치(癡)
  • ~성(省)
    '성'이라는 말은 행정 기관인 '부(部, Ministry/Department)'를 나타내는 일본식 표현이다. 일본의 역사적 전통[125]으로 인해 일본에서 타국의 '부'단위 행정 조직을 번역할 때 '성'이란 표현을 쓰고 있다.[126] 다만 3성 6부제 항목에서 보듯이 상서성, 중서성, 문하성 등의 표현은 중국에서 생겨나 고려에서도 쓰인 것이므로 이를 일본식 표현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물론 이를 현대의 Ministry/Department를 가리키는 데 쓰는 건 일본식 표현이 맞다. 결론적으로 각종 창작물에서 영어 'Ministry'나 'Department'로 표기되는 관공서 등을 번역할 때 XX성(省)식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 한국에서 이런 것들은 '부(部)'라고 표기하는게 정확하다. 소설 1984의 초기 번역본이 대표 예.
  • ~현(縣)
    몇몇 국가들의 최상위 행정 구역을 현(縣)으로 번역하는 일이 가끔 있는데 현대 일본의 도도부현에서 연상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에서의 현은 최말단 기초 행정 구역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 ~당(堂)
    가끔 제과점에서 사용하는 '○○당(堂)'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 때 들어온 서양식 제과점이 일본식 가게 이름을 답습하게 된 것이다. 과거 일본에선 제과점 이름을 '○○당(堂)'으로 짓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현대 한국, 일본 제과점에선 '~베이커리' 같은 영어, 불어식 간판 이름을 많이 쓰고 있는 추세다.
  • ~적(的)
    관형격으로 사용되는 '-적'으로, 이는 일본어가 맞다. 이하 서술은 2012년 논문 「한·중·일 삼국의 '的'에 대한 대조 연구」(아시아문화연구)에 나온다. 이미 일상적인 한국어의 일부분이 되었고, 중국어의 관형격 표지 "底・的"이 기원인 것은 맞으나, 일본어에서 -tic과 的(teki)의 발음 유사성을 염두에 두고 중국어의 的과 기능 차이가 큰 접미사를 만든 것이다.[127] 일본인 아라가와(荒川)의 角川外來語辭典에 “메이지 초기에 야나가와(柳川春三)가 처음으로 ‘-tic’에다가 ‘的’이라는 한자를 갖다 붙였다”고 되어 있다.[128] 현대 한국어에 널리 쓰이고 있는 한자 접미사 ‘-적’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 유학생들이 처음으로 당시 일본 말·글을 흉내 내어 쓰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9] 그렇기 때문에 일본식 용법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 실제로 중국의 的 용법은 한국어나 일본어와 큰 차이가 난다. 일단 한국어는 명사만 결합하고, 일본어 的은 명사에 더해 명사구나 인용구까지 결합 가능한데, 중국어 的은 형용사나 동사를 비롯하여 여러 품사와 결합하며, 용법도 다양하다. 또 중국어의 的은 조어력이 크지 않고 제한적인 반면, 한국어의 '-적'이나 일본어의 的은 남용되는 것이 문제시될 만큼 조어력이 크다. 의미적으로는 겹치는 부분이 있고 겹치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 차이점을 분명히 서술하기가 복잡한 편이다. 중국어 的은 의미가 다양하긴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 '-의'나 관형화소 '-ㄴ,ㄹ'[130]로 호환시킬 수 있는데, 한국어 '-적' 또한 이런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국어 的과 1:1 호환이 된다.[131] 하지만 한국어에서 '-적'이 '어떤 성질을 가지다'라는 의미인 경우 바로 호환되지 않는다.[132]
  • 가(假)~
    일본식 한자어 접두사로 거론되는데[133] 이는 논란이 될 수 있다. 조선 시대에도 쓰인 적이 있으므로, 접두사 假가 붙은 모든 한자어가 일본식 한자어인 것은 아니다. 그 예로 임시 건물을 말하는 假家, 임시로 설치함을 뜻하는 假設 등을 들 수 있다.
  • 그루 주(株)가 들어가는, 주식과 관련된 말들
  • 떨칠 불(拂)이 들어가는 말들[136]
    • 가불(假拂◀かりばらい/仮払い)
    • 선불(先拂◀さきばらい/先払い)
    • 지불[137](支拂◀しはらい/支払い)
    • 착불(着拂◀ちゃくばらい/着払い) - 치름
    • 후불(後拂◀あとばらい/後払い) - 뒷치름

4.10. 유래 및 배경에 대한 해설

일본 문화와 관련된 한자어
  • 십팔번(十八番)
    이 말은 일본 ‘가부키([ruby(歌舞伎,ruby=かぶき)]; 가무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장(場)이 바뀔 때마다 간단한 막간극을 공연하게 되어 있는데, 17세기 무렵 ‘이치카와 단쥬로’라는 가부키 배우가 가문에서 내려온 가부키 단막극 중에 크게 성공한 18가지 기예(技藝)를 정리했고 가부키 쿄겐 십팔번이라 불렸다고 한다.[138]

서양 어휘를 번역한 단어
  • 광시곡(狂詩曲/きょうしきょく)
    음악 갈래인 '랩소디'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에도 시대에 유행했던 자유체 한시 '광시(狂詩)'의 형식적 자유로움에 빗대어 번역한 것이다. 광시라는 단어는 우리말 사전에도 같은 뜻으로 등재되어 있어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엄연히 우리에게는 없는 문학적 전통이기에[139] 일본식 한자어로 보아야 옳다.
  • 구락부(倶楽部/くらぶ)
    클럽음역한 것이다. 정동구락부 등 역사적 명칭으로 쓰일 때를 제외하면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단 이자카야에 이 구락부라는 말이 들어가는 곳이 꽤 있는 편이다. 링크 그 와중에 한식집도 한 곳 있다
  • 공화국
    사실 '공화(共和)'라는 말 자체는 주나라 시기 연호로 왕위가 비어 있던 시기이다. 주나라 제10대 천자인 여왕(厲王)이 실정으로 인해 축출된 뒤부터 그의 아들인 선왕(宣王)이 즉위하기 전까지의 14년 동안, 공백화(共伯 和)가 천자의 업무를 대행하던 것에서 유래한다.[140] 그런데 우리가 아는 '공화국'이란 개념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게 맞다. 조어 방식은 '共和 → 군주가 없음 → 공공(公共)의 나라 → Res Publica('공공의 것'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 따라서 Republic ≒ 공화국' 일본 메이지 유신 당시 일본인 학자들은 일본어로 적절하게 번역할 수 없는 학술 용어를 현지화할 때, 한자 뜻에 맞추어 새로 용어를 만드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 비슷한 뜻이나 유래가 있는 중국 고전의 개념에 원어의 뜻을 옮겨 심으려 했다. 둘 다 일본식(式)이긴 하지만 고전을 차용하는 방식은 학자에 따라 별도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공화국'이 여기에 해당한다.
  • 국민학교(國民學校)
    황국신민학교의 준말로 알려졌지만 실은 독일어 폴크스슐레(Volksschule)의 번역차용이다. 일제 강점기 국민학교령에 의해 한국에서도 사용하게 된 것이다.[141] 자세한 설명은 국민학교 문서로.
  • 낭만(浪漫)
    원래 '제멋대로 하다'라는 뜻[142]이었으나 Romanticism을 일본에서 '낭만주의(浪漫主義/ろうまんしゅぎ)'로 음역하였고[143] 이것이 한국과 중국에 퍼졌다. 중국에서도 'romantique'에 해당하는 낱말로 ‘뤄만디커(罗曼蒂克·라만체극)’라는 음차어를 따로 만들었지만 낭만이 더 널리 쓰인다고 한다. 참고로 일본 위키피디아에는 나쓰메 소세키가 로맨티시즘의 한자 차자 표현으로 浪漫을 처음 고안해서 썼다고 서술하고 있다.
  • 방송(放送)
    방송은 원래 '죄인을 풀어주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던 말이다. 본래 뜻을 가진 대체 한자어는 '석방'(釋放)이 되었다. 일본에서 broadcasting의 번역어로 사용하게 되었고 우리나라에도 1927년에 경성방송국이 생기면서 종래의 의미보다 브로드캐스팅이란 뜻으로 많이 쓰게 되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무선전대(無線电台), TV 방송국은 전시대(电视台)[144]라고 부르며 방송 자체를 일컫는 말로 광파(广播)란 말을 쓴다. 중국식 한자어가 일본식 한자어보다 broadcasting의 의미를 더 잘 나타내는 매우 특이한 케이스에 속한다.[145]
  • 인민
    과거 중국의 사기에도 '천하인민'이라는 낱말이 나오며, 한국과 일본의 과거 사료에서도 발견되는 오래된 표현이었다.[146]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정치학이나 사회학에서 쓰는 개념인 인민(영어의 people이나 독일어의 volks, 이탈리아어의 popolo에 해당)은 메이지 시기 일본에서 서양 어휘를 번역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인위적으로 부여한 것이다. 그러면서, '인민'에는 지금 우리가 더 친근하게 받아들이는 근대적 의미가 착색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인민과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쓰는 인민의 뜻이 달라진 것이다. 근대 이전 인민이 신분 위계질서를 고려한 백성과 비슷한 낱말이라면, 현대 인민은 서로 간에 위계가 존재하지 않는 범속한 사람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말은, 일본이, 경제(經世濟民)처럼 어휘로 쓰이지는 않았던 것을 아예 한문 고전에서 글을 따와 만들었거나, 사회(제의祭儀를 위한 특수한 모임)처럼 그간에 잘 쓰이지 않던 말을 다른 의미를 덧씌워 최초로 유행시킨 것과는 다른 경우이므로 구분하여야 한다. '인민'은 그간에 잘 쓰이던 말이었는데, 새로운 개념이 기존의 개념을 잠식한 경우다.[147] 근대를 거치면서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에 대한 개념 자체가 달라졌고, 이에 인민도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이다. 물론 그 속에서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충전한 것은 서양의 정치 사회학을 흡수한 일본이다. 인민의 개념 변화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공산권에서 인민이 널리 사용되면서 남한에서는 국민으로 대체했는데, 국민은 일본 전체주의 영향이 강한 낱말임을 생각하면 흠좀무. 인민과 국민은 정치 철학 용어로 쓰일 경우 각기 지칭 대상이 다른데, 인민 항목의 용례 부분에 나온다.
  • 주식(株式)
    일본어로는 일부 훈독해서 카부시키(かぶしき)라고 읽는다. 주식이란 한자어는 사실 근대에 새로 만들어낸 말은 아니고 오래전부터 일본에 있던 상업 제도를 뜻하는 단어였다. 원래 에도 시대에 상업에서 매매 또는 양도 가능한 일종의 영업권을 주식(카부시키)이라 했는데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 서양의 주식 제도가 도입되었을때 에도시대의 이 '주식(株式)'이란 개념을 '사고 팔 수 있는 경제적 권리'라는 유사성에서 착안하여 서양식 주식(stock) 개념의 번역어로 차용한 것이 그대로 한국에 넘어오면서 오늘날 쓰는 주식, 주식을 세는 단위 ~주(株), 주가(株価), 주주(株主) 등등의 단어들이 되었다. 오징어 게임으로 유명세를 탄 깐부라는 은어도 이 주식(카부시키)을 보유한 상인들의 동업조합을 의미하는 카부나카마(株仲間)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아테지로 표기된 몇몇 외국 지명, 민족명 등의 고유명사
    유태[148], 화란[149], 독일[150][151]

4.11. 오직 일본에서만 쓰이는 낱말·의미

한국에 존재하지 않는 어휘를 직역하면서 오역이 되는 낱말들로, 다른 한자 문화권 사전에는 없거나, 완전히 다른 뜻이 있는 한자어는 여기에 서술한다.
<rowcolor=#fff> 어휘 원문 다듬은 말 비고
<colbgcolor=#fed,#430>고수(苦手) [ruby(苦,ruby=にが)][ruby(手,ruby=て)] 질색(窒塞)
서투름
공부(工夫) [ruby(工,ruby=く)][ruby(夫,ruby=ふう)] 궁리(窮理) 한국어의 공부에 해당하는 표현은 면강([ruby(勉,ruby=べん)][ruby(強,ruby=きょう)])이다.
[ruby(工,ruby=こう)][ruby(夫,ruby=ふ)] 인부(人夫)
낙승(楽勝) [ruby(楽,ruby=らく)][ruby(勝, ruby=しょう)] 압승(壓勝) 한국에서 보통 '쉽다'는 뜻이 들어간 표현으로 주로 번역한다.
답절(踏切) [ruby(踏,ruby=ふ)](み)[ruby(切, ruby=き)](り) 건널목
몽중(夢中) [ruby(夢,ruby=む)][ruby(中,ruby=ちゅう)] 푹 빠짐 한국어에서 ‘몽중(夢中)’은 ‘꿈속’의 뜻으로 한정되어 있다.
물어(物語) [ruby(物語,ruby=ものがたり)] 이야기
전설
신화
설화
미혹(迷惑) [ruby(迷,ruby=めい)][ruby(惑,ruby=わく)] (弊)[k]
(累)
한국어에서 ‘미혹(迷惑)’은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함’으로 뜻이 다르다.
배신(配信) [ruby(配,ruby=はい)][ruby(信,ruby=しん)] 전달(傳達)
판매(販賣)
예로, ‘音楽配信’은 ‘음악 디지털 판매’, ‘動画配信’은 ‘동영상 스트리밍’ 정도로 번역해야 한다.
상성(相性) [ruby(相,ruby=あい)][ruby(性,ruby=しょう)] - 일본어에서는 ‘서로 맞는 성질’ 말고도 ‘궁합(宮合)’의 의미로도 쓰인다.
심중(心中) [ruby(心,ruby=しん)][ruby(中,ruby=じゅう)] 동반자살, 정사(情死) 다른 나라에서는 그냥 “마음속”이란 의미의 단어다. 해당 단어에서 파생된 無理心中(むりしんじゅう - 무리심중)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말 그대로 무리해서 하는 동반자살로 강제 동반자살 및 강제 정사(情死)를 뜻하며 살인+자살의 의미다.
아류(我流) [ruby(我,ruby=が)][ruby(流,ruby=りゅう)] 자기류(自己流) 아류(亞流)의 의미와는 정 반대로, 이쪽은 오히려 오리지널리티가 있는 뜻이다. 하지만 일본 본토에서는 자기류([ruby(自己流,ruby=じこりゅう)])라는 표현이 더 메이저하다.
야명(夜明) [ruby(夜,ruby=よ)][ruby(明,ruby=あ)]け 새벽
원조교제(援助交際) [ruby(援,ruby=えん)][ruby(助,ruby=じょ)][ruby(交,ruby=こう)][ruby(際, ruby=さい)] 미성년자 성매매 성매매 방법의 하나로, 일본에서는 본래 1990년대 갸루족들의 성매매 풍조와 관련된 낱말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갸루 패션 문서를 참고.
이부진(理不尽) [ruby(理,ruby=り)][ruby(不,ruby=ふ)][ruby(尽,ruby=じん)] 불합리(不合理)
정진정명(正眞正銘) [ruby(正真正銘, ruby=しょうしんしょうめい)] 진실로
실지로
거짓 없이
환장(換裝) [ruby(換,ruby=かん)][ruby(装,ruby=そう)] 장비 교체(裝備交替) 반대로 환장(換腸)[153]한국식 한자어다.
  • 기정사실[154] (既定事実・既成事実/きていじじつ・きせいじじつ) - 일본어에서는 ‘이미 정해진 일’ 이외에도 남녀 간에 육체관계가 있었음을 뜻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단체(単体/たんたい) → 순물질, 홑몸, (화학에서) 홑원소 물질
  • 동화(動画/どうが) → 동영상(動映像), 애니메이션. 국어사전에는 만화 영화의 각 장면 그림을 말한다. 여기에 像을 붙인 동화상(動畫像)은 한국어에서도 동영상과 같은 뜻이다.
  • 무인(無印/むじるし) → 무표(無標), (시리즈물의) 첫 작. 한국에서는 ‘도장이 찍혀 있지 않음’이란 뜻이다. 일본에서는 ‘표지가 없음’, 혹은 ‘경마 등의 예상표에 어떤 징조도 붙어 있지 않은 것(=가망이 적은 말)’을 뜻한다. 오타쿠들 사이에선 시리즈물의 첫 번째 작품에 아무런 수식어가 붙지 않은 것에 착안하여 첫 작을 ‘무인편’이라고 부르곤 한다.
  • 번조(番組/ばんぐみ) → 방송(放送)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뜻한다. 한국에서 번조라는 단어는 답답하여 손발을 가만두지 못하는 번조하다 등의 용례로 사용되므로, 한국에서는 방송 혹은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 복흑(腹黒/はらぐろ) → 구밀복검(口蜜腹劍), 검은 속내, 의뭉스러움
  • 수신(受(け)身/うけみ) → 수세(守勢), 수동태(受動態), (유도에서) 낙법. 중국어로도 낙법을 말한다.
  • 수입(手入れ/ていれ) - 고침, 손질, 손보기라는 뜻으로 군대에서 ‘총기수입’[155]이라고 하면 총을 손질하는 것을 말한다. 어원이 Sweep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일본 군대 용어가 한국 군대 용어로 정착한 경우다. 현재는 군대에서도 ‘손질’이라고 한다.
  • 유산지(硫酸紙/りゅうさんし) → 황산지(黃酸紙), 황산 종이
  • 육구(肉球/にくきゅう) → 개발살발볼록살
  • 입도운(入道雲/にゅうどうぐも) → 적란운(積亂雲)
  • 주박[156](呪縛/じゅばく) → 저주(詛呪)
  • 타절(打切/うちきり) → 운행 중단
  • 필견(必見/ひっけん) → 꼭 봐라, 두 번 봐라 꼭 봐야 함. 필독(必讀)이나 필청(必聽)과는 달리 필견은 한국어에 없다. 한국 문헌을 찾아 보면 必見, 必讀, 必聽 모두 적지 않게 찾아볼 수는 있으나, 주로 ‘반드시 ~할 것이다’, ‘반드시 ~해야만’ 같이 풀이된다. 그나마 필독은 사전 뜻에 가깝게 사용한 기록이 있다.

5. 기타

  • ○○방송협회▶○○방송공사
    방송 자체부터가 일본 말이긴 하나 BBC처럼 외국 공영 방송 명칭을 번역할 때 '방송협회'식으로 번역하는 예는 과거 NHK와 비슷한 호칭으로 의역하기를 좋아했던 일본의 관례를 한국이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이다. KBS의 예를 적용한다면 BBC도 영국방송공사쯤으로 쓸 수 있다.
  • 그녀(◀彼女)
    일본에서 영어 she 같은 아리아 어족에 속하는 언어권의 '3인칭 여성형 대명사'를 한자로 옮기며 彼女라고 번역하고, 그걸 다시 한국에서 중역하는 과정으로 생긴 말이다.[157] 본디 한국어는 3인칭을 남녀로 구분하는 언어가 아니므로[158] 성별과 상관없이 가리키는 '그'[159], '그이', '그네', '그애(걔)' 등의 표현이 기존 한국어에서 쓰던 말이다. 문학계에서는 '궐녀(厥女)', '그히', '그미' 등을 사용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으나 대중화되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성별을 구분하는 3인칭 대명사 표현이 외국어를 번역할 때나 필요한 것이지 글을 새로이 쓸 때는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서양 왕족 작위 개념
    개념이 엉망진창이다. 예컨대 왕- 왕세자가 아닌 왕-황태자가 부지기수다. 이는 근대 이후 일본이 작위 개념을 자국 사정에 맞게, 혹은 억지로 끼워 맞춘 것이 그대로 한국에 들어온 결과로, 예부터 쓰였던 한국의 작위 개념과 맞지 않는 구석이 많다. 어떨 때는 왕을 호칭할 때 전하라고 했다가 어떨 때는 폐하라고 하는 등 일관성도 없다. 이럴 때 한국식으로 한다면 황제는 폐하, 왕은 전하라고 호칭하고, 왕과 왕세자로 된 관계가 훨씬 더 자연스러울 것이다. '여왕' 폐하, '국왕' 폐하 같은 호칭도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일본은 '작위로서 부르는 왕'과 구분하기 위해 일부러 붙인다.[160]
  • 법률, 회계, 문법 용어
    위와 같은 학문에 쓰이는 용어들은 과거 일본이 메이지 유신을 거치며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여러 가지 용어를 만들고 이를 한국에서 그대로 사용하다 보니 실제 한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로 구성된 것이 많다. 문제는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낱말들로 법률이 제정되다 보니 법 공부에 제약이 크며 곡해할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쉬운 낱말로 바꾸는 것도 법조계가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여 쉬운 상황이 아니다. 오죽하면 1990년대 중앙일보에서 비난 기사로 법조계는 일본 한자어를 고집하며 우월감에 빠져 있다라고 깠다.
  • 야구 용어
    이쪽은 상당한 수준으로 순화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 거근(巨根)▶대물(大物)
    거대한 남성기. 특정 집단을 중심으로 쓰이는 단어. 당연하지만 한국어 사전에 이런 낱말은 없으며, 대물이 이 단어와 의미와 용법 둘 다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에 굳이 이 낱말을 쓸 이유는 전혀 없다. 굳이 쓰는 사람은 동류일 확률이 높다(?). 다만 1970년대에 나온 국내 역사책에도 "신라의 지증왕은 거근으로 유명하였다."라는 표현이 있으므로, 꼭 오타쿠 언어라고만 생각할 수는 없다.
  • 귀국자녀(帰国子女)▶교포, 이민 1.5세.
    이민 1.5세대, 즉 외국에서 태어나 성장하다가 청소년기 내지는 성인기에 귀국한 일본인을 가리키는 일본어이다. 한국어 사전에는 이 단어가 없고 대신 "교포", "이민 1.5세" 등의 어휘가 올바른 표현법이지만, 단어의 한자로부터 직관적으로 뜻을 알기 쉽다는 이유로 역시 특정 집단을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 그 집단의 문화를 모른 채 한자만을 읽어서는 의미를 짐작하기 어렵다. 유학/여행/이민 등으로 외국 체류 중에 귀국한 자식들을 칭하는 것으로 알기 쉽다. 실생활에서 크게 쓰이지는 않는다.

    이런 낱말이 나온 배경은 일본이 경제 발전하여 부모가 아이를 동반하여 장기 해외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는 일종의 사회 문제다. 어린 시절에 현지에서 공부를 한 아이들이 자유로운 외국 문화에 익숙해지다 보니 일본 문화나 교육 방식에 적응하지 못하고 일본 교사들도 이걸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몰라서 막막해진 일이 많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귀국자녀라는 말에는 군대 고문관 같은 존재로 여겨서 별도 명칭을 부여해서 부정적이고, 외부 존재라는 태그를 붙이는 가치 판단이 깃들어 있다.

    이렇게 이 낱말이 뜻하는 바는 교포나 이민자가 아니기 때문에 교포나 이민 1.5세로 그대로 대체하기는 어렵다. 교포는 한국 국적을 유지하거나 한국에 연고를 가지면서 해외에서 생활 기반을 갖춘 사람이며, 이민 1.5세는 청소년기에 이민을 가서 해외에 정착한 사람을 뜻한다. 하지만 '귀국자녀'는 '귀국하고 나서 특수한 학업 문제를 겪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한국은 일본과는 달리 이런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지도 않고 딱히 대책을 세우지도 않기 때문에 해당하는 낱말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특수한 경우를 지칭할 때는 '일본의 귀국자녀 문제'와 같은 식으로 당연히 고유명사화해서 쓸 수 있다. 문제는 이런 뉘앙스도 모르면서 외국물 좀 먹은 청소년들을 죄다 일본식으로 귀국자녀라고 부르는 일부 한국어 화자들이다. 답이 없다.
  • 능력자(能力者)▶능력이 뛰어난 사람, 재능 있는 사람, 달인
    학문이나 예술, 기술 등에 뛰어난 능력(능력자 배틀물의 경우는 특수 능력)을 보유한 사람이라는 일본식 한자이다. 능력+자라는 간단한 구조 덕분에 인터넷을 중심으로 널리 퍼져 최근에는 일부 방송에까지 나오고 있지만, 정작 한국어 사전에는 법률 용어로서의 능력자라는 단어는 있어도 특정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는 뜻의 능력자라는 단어는 없다. 초능력자와 같은 용례로도 볼 수 있고, 직접적으로 능력자와 같은 의미를 지닌 단어도 없고 이미 사회적으로도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굳이 배척할 필요는 없다.
  • 성인(星人)
    울트라맨 시리즈에서 '발탄성인'이라든가 '자라브성인' 등의 이름이 등장하면서 생겨난 말로, '성인(星人)'이라는 단어 자체는 일본어 사전에도 없으며, 일본어에서 굳이 비슷한 단어를 찾자면 '이성인(異星人)[161]' 정도. 보통 '한국인', '미국인' 같은 것처럼 특정 고유명사 뒤에 붙여 '어느 나라 별 사람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것은 화성인(火星人, 마션) 과도 같은 용례이기 때문에 딱히 배척하거나 대체할 요인은 없다. 굳이 순화하자면 ○○ 별 사람, ○○ 행성 출신 정도.
  • 실장(実装)▶구현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실제로 장착하는 것을 말함. IT 업계 등에서는 주로 '어떠한 특정 요소를 실제로 구현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한국에서는 주로 기계공학이나 제조업 관련 종사자들이 많이 쓰는데, 주로 기계나 전자 부품을 배치/배열한다는 의미로 굳어졌기 때문에 이걸 구현이라는 말로 대체하면 꽤 어색해진다. 예) 디자이너가 해 온 휴대폰 디자인 안쪽에 배터리 부품 실장 공간이 부족하다. 사실 일본에서도 원래 기계, 전자 분야에서 쓰던 말을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IT업계에서 빌려다 쓰는 것이다. 국내 제조업계의 용례는 IT 분야에서 바뀐 뜻이 아닌 원래 뜻을 직수입해서 쓰는 것. 한국에서 바뀐 것이 아니라 원래 그런 뜻이다. 그것을 IT업계에서 쓰는 ‘구현’으로 옮기고 이렇게 옮기면 어색하다고 할 것은 아니고, 그냥 배치/배열 등으로 상황에 맞게 쓰면 된다.
  • 이세계(異世界)
    일본 서브컬처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단어로, 우리가 사는 세계(우주)와 별개로 존재하는 세계를 뜻한다. 그러나 이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이(異)가 붙는 용어는 대체로 일본식 한자어인 경우가 많은데, 예컨대 이능력이나 이공간, 위에 언급된 이성인 역시 일본식 한자어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162] 다른 세계란 뜻을 가진 현재 한국어에 존재하는 한자어로는 '별세계(別世界), 별계(別界), 타계(他界)[163]'가 있으며 순우리말로는 딴누리, 다른누리 쯤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조략(調略)▶계략
    일본어의 調略에는 '계략'이란 뜻이 있다. 한국어에도 調略이란 한자어는 있으나, 그 뜻은 '싸움터로 나아가 공격함'이다(이게 일본어의 調略의 다른 뜻이기도 하다). 일본 전국 시대 덕후 중에 '계략'의 뜻으로 쓰인 이 낱말을 보고 우리식으로 읽은 '조략'을 그대로 받아들인 용례가 더러 있다. 예를 들면, 우리말 위키백과의 구로다 요시타카 옛 버전에 '조략(調略)과 다른 다이묘등과의 교섭에서 활약했다.'라는 문장이 있었는데, '調略や他大名との交渉などに活躍した'에서 調略을 그대로 읽은 것이다.
  • 방화(邦畵/邦画)▶국산 영화
    방(邦)이란 국(国)과 동의어인데 한고조 유방의 이름을 피휘해 국(国)을 쓰는 경우가 많다.[164] 즉 자기 나라에서 제작한 영화(국산 영화). 한국에서는 '한국 영화'를 가리킨다. 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비디오 가게의 한국 영화 코너에 '방화'라고 적혀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다만 최근에는 한국에서 방화라고 하면 대개 일부러 불지르기를 뜻하는 경우가 많아 오늘날에는 사장된 표현이다. 참고로 방화의 반대말로 한국에서는 외화(外畵)를 쓰는데 일본에서는 양화(洋画)를 쓴다. 외화의 주류가 서양 영화이기 때문인 듯. 비슷하게 일본에서는 오늘날에도 J-POP을 방악(邦楽;ほうがく)이라 부르기도 한다.

6. 일본식 한자어가 아닌 것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어 잔재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결혼(結婚)과 약속(約束)처럼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계속 한국어에서 사용하던 낱말이 일본식 한자어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다만 개중에 '입구', '출구'와 같이 기존에 있었던 낱말이라 하더라도 이전에 쓰이던 용법과는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 그 외

7.1. 당용한자 제정 시 한자를 대체한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당용한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에서 상용한자 2136자[165]를 제정하면서 수립한 정책으로 동음이의어가 있는 경우 상용한자로 된 말을 우선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뜻이 왜곡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상용한자로 바꾸어 쓴다는 내용이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음이 달라지지만 일본 한자음으로는 (대체로) 같다. 일본식 한자어의 한국어 독음을 기준으로 가나다순으로 표기.
어휘 기원
(한국어 직역)
다듬은 말 비고
  • 관수(関数) ← 함수(函數) - 중국의 이선란이라는 수학자가 만든 말. 상자 함(函)이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쓰기 쉬운(?) 빗장 관(関)으로 갈음한 것. 정작 획수는 関보다 函가 더 적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일찌감치 묻힌 상태이다. 억지라고 할 수도 있지만, 영어 Function에 가까운 것은 關數보다 函數. Function의 개념이 '마술 상자'에 가깝기 때문이다.
  • 공역(共役) ← 공액(共軛) - 영어 Conjugate를 번역한 말. 일본에서는 멍에 액(軛) 자가 상용한자가 아니므로 같은 발음을 지닌 부릴 역(役) 자로 바꾸어 쓴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한때 軛의 입력이 불가능해서 같은 뜻을 지닌 扼으로 바꾸어 공액(共扼)이라고 쓰던 때도 있었다. 요즘은 이것도 어렵다고 이에 대응되는 '켤레'로 바꾸어 쓰는 추세이다. 중국어는 여전히 그대로다.
  • 광엽수(広葉樹) ← 활엽수(闊葉樹)
  • 굴삭(掘削) ← 굴착(掘鑿) - 뚫을 착(鑿)[166]이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쓰기 쉬운 깎을 삭(削)으로 바꾼 것. 한때 모 중공업 회사에서 대놓고 '굴삭기'라고 썼다가 대차게 까인 바 있다. 땅을 뚫는 기계는 천공기란 용어가 따로 존재하며, '굴삭'이란 말도 1960년대 이후에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게 맞다. 정작 일본에서도 굴삭기란 말은 일반적이지 않고 '유압 셔블'(油圧ショベル)이나 '윰보'(ユンボ)로 부른다.
  • 방기(放棄) ← 포기(抛棄) - 모두 ほうき로 발음이 같다. 던질 포(抛)가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일본어 발음이 같고 뜻이 비슷한 놓을 방(放)으로 갈음한 것. 포물선(抛物線)도 일본어에서는 방물선(放物線)이라고 한다. 한국어에서는 당연히 포기를 쓰고 방기를 쓰는 사람은 없으나, 일본 평화헌법 제9조를 번역할 때 실수가 종종 생긴다.
  • 사체(死体) ← 시체(屍體) - 屍 대신 획수가 적은 死로 바꾼 것이다. 다만 변사체(變死體)는 한국에서도 두루 쓰인다.
  • 선고(選考) ← 전형(銓衡) - 이들은 모두 せんこう로 발음이 같다. 銓衡은 고대 중국에서 생긴 반면, 選考는 銓衡과 비슷한 뜻을 나타내게끔 일본이 만들어낸 낱말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선고'라 하면 판결 선고의 宣告(이 단어의 일본어 발음은 せんこく로 위 두 단어와는 다르다.)부터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아 일찌감치 묻혔다.
  • 선단(先端) ← 첨단(尖端) - 모두 せんたん으로 발음이 같다. 뾰족할 첨(尖)자가 일본에서는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먼저 선(先)으로 대용한 것. 이것 외에도 尖자가 들어가는 낱말들은 대부분 先으로 바꿔서 쓰려고 한다. 先자가 들어갔는데 뭔가 어색하다거나, 뾰족하다는 뜻이 들어가 있다면 尖으로 바꿔 보면 대부분 해결된다. 그리고 첨탑(尖塔)은 선탑으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쓴다. 뾰족한 끄트머리뿐만이 아니라 기다란 것의 끄트머리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는 등 첨단과는 낱말로서 의미 자체가 살짝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일부에서 검열삭제를 은유할 때에도 쓴다 카더라
  • 세정(洗浄) ← 세척(洗滌) - 모두 せんじょう로 발음이 같다. (洗滌은 원래 せんでき라고 읽는다.) 단지 씻을 척(滌) 자가 상용한자가 아닐 뿐이다. 한국어의 뜻도 다를 바가 없는데, 굳이 차이점이 있다면 어감뿐이다. 한국어에서 세정은 부드럽게, 곱게 닦는 것, 세척은 무식하게 박박 거칠게 닦는다는 이미지가 강하다.[167]
  • 장해(障害) ← 장애(障礙) - 비교적 쓰기 쉬운 害 자로 바꾼 것이다. 다만 한자 자체가 장애인을 비하한다는 느낌이 있어서인지 종종 '障がい'식으로 가나와 섞인 형태로 표기하는 예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보험이나 법률 분야에서 일본의 법률, 약관 등을 베껴 오면서 장해라는 낱말이 많이 쓰인다. 그러나 우리나라 보험 약관이나 법률에서 말하는 장해는 장애와 뜻이 꽤 다르다. 일상적인 용례에서는 대부분 장애로 쓴다.
  • 추선(抽選) ← 추첨(抽籤) - 모두 ちゅうせん으로 발음이 같다. 제비 첨(籤)[168]자가 일본에서는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가릴 선(選)으로 갈음한 것. 그런데 이렇게 대체하니, '당첨'과 '당선'의 한자 표기(当選)가 같아지는 일이 벌어졌다. 이 두 단어는 모두 발음이 とうせん으로 원래부터 같았던 단어지만, 대체 한자로 인해 표기조차 같아진 것이다. 이 두 단어 모두 当選으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혼동을 피하기 위해 '당첨'을 뜻할 때엔 첨(籤) 자를 히라가나 'せん'으로 표기하는 '当せん'이라는 표현도 사용되며, 일본어 IME에서 이 변환도 지원한다. 한국어에선 '첨'을 '선'으로 대체하는 표기를 쓰는 사람은 없다.

8. 관련 인물

9. 관련 문헌

  •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사전》: 이한섭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명예교수가 낸 사전이다. 대개 일본어잔재론에서 잘 언급되지 않거나 살짝 간만 보고 어물쩍 넘어가는 것과 다르게 개념어 중심의 일제 한자어를 자세히 다루며 용례와 어원, 출처까지 밝힌 첫 사전이다. 중국어, 일본어는 물론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고전번역 DB와 교차대조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이다.
  • 《사쿠라 훈민정음》(돌베개가 출판): 일본어 사전인 대사전(大辞泉; 다이지센)과 대사림(大辞林; 다이지린), 한국어 사전 등을 대조한 좋은 책이다. 산보나 정상 같은 낱말에서 무리하게 일본어 잔재론을 가져다 댄 흔적이 보이지만, 그 이외의 것은 나름 괜찮다. 이 책은 일본식 한자어뿐만 아니라 일본어에서 뜻이 와전되어 들어온 낱말들도 조명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찾아보면 좋을 것이다.

10. 관련 문서



[1] 네덜란드-일본 관계를 보면 알겠지만, 당시 기독교를 제외한 서양의 것들을 받아들였다. 조선에서도 신미양요, 병인양요가 일어난 이유도 천주교, 기독교 등의 유입으로 조선의 종교에 문제가 생길까봐 개항을 안해서 그렇다.[2] 중국이 먼저라는 말도 많다.[3] 영어의 경우 한국에서 20년을 배워도 모든 어휘가 다 다르기 때문에 매우 난해하다. 구동사랑, 관용구는 덤이다. 하지만 일본어의 경우는 한자가 매우 어렵다. 오죽하면 한중일 모두 획수 문제로 폐지 논의가 되었을정도다. 수준이 높아질 수록 4개 이상의 한자가 합쳐져 작은 점이나 작대기 하나로 글자가 바뀐다. 숨은 그림 찾기가 다름 없다. 일제시대에 태어나 일본식 교육을 배워 한자를 배웠다는 김대중도 탄원서에 形(모양 형)을 型(모형 형)으로 잘 못 썼을 정도니. 뜻과 음, 글자까지 비슷하다.[4] 처음 일본어를 배울때는 보통 한자만 같고 음독은 대부분 다르기에 영단어 공부하는 것과 차이를 못 느끼지만 계속 배울 수록 기(気, 덴키), 화(話, 덴와), 분(分, 키분), 대(会, 카이와) 처럼 이렇게 겹치는 부분이 많으므로 쉽게 학습할 수 있다. electricity, phone, mood, conversation 처럼 아예 다시 외워야 하는 수준은 아니다. 이 때문에 일본어는 한번 외우면 기억이 잘 나지만 영어는 공부하다 안하면 쉬운 단어 조차도 까먹게 된다. 우리가 한자구조를 알고 있으니 잘 잊지 않는것이 큰편이다. 영어도 한자처럼 구조를 쪼개보면 라틴어 등의 언어 영향이 크다. 하지만 사어기 때문에 미국인이 외국어로 스페인어를 가장 많이 배운다. 우리가 한자를 배우는 것과 비슷한 이유다.[5] 반면 영어는 1:1로 번역하면 의미는 전달 될 수도 있지만 정작 원어민들은 안쓰는 문장일 가능성이 있다.[6] 이 때문에 한국인은 일본어에 비해 영어가 더 배우기 힘든 편이다. 언어가 같은 알타이 제어라 일본어가 배우기 쉬운 것도 있다.[7] 우스갯소리로 일본어는 처음엔 쉬우나 나중엔 울면서 나온다는 말이 있는데 어느 언어나 고급으로 가면 다 어렵다. 한국인 입장에서 영어 처음 배울때 난이도는 20(20배) 고급으로 가면 40(2배) 정도다. 하지만 일본어는 처음에 난이도 5(5배) 고급으로 가면 20(4배) 처럼 요즘은 수치화하는 의견들이 있다. 한국 출신으로 일본에서 20년 살아온 문학박사들도 하는 말이지만 가장 어려운게 한자가 어렵다고 한다. 어쨌거나 결론은 단순 회화 수준에 이르는 것은 일본어가 쉽다는 것이다.[8] 일본어는 더 세분화된 모라박자언어이다. 한국어와 일본어 둘다 또박 또박 말하는 언어이다.[9] 예) B: 그게 ~라는 거지? A: 맞아 정확해[a] 국립국어원의 순화 대상.[k] 한국식 한자어.[x] 비표준어.[13] 원래 오쿠리가나는 발음할 수 있는 경우가 여러가지일 때(예: [ruby(全,ruby=すべ)]て와 [ruby(全,ruby=まった)]く)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붙인 것이 목적이나, 용언의 어간과 어말을 구분해주는 성격(예: [ruby(入,ruby=い)]る)도 띠다보니 [ruby(入,ruby=い)]り[ruby(口,ruby=ぐち)]처럼 표준 발음이 단 하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り는 공간만 차지할 뿐이므로 생략하는 것이다. 일본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 입장에서는 入口의 발음을 음독인 にゅうこう라고 추정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표준 발음이 아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앞선 예시에서 船着場로 적었다고 해서 ふなつば가 되는 것이 아니고 똑같이 ふなつきば로 읽는다. 구체적으론 [ruby(船,ruby=ふな)][ruby(着,ruby=つき)][ruby(場,ruby=ば)]라는 후리가나 표기를 별도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지므로 생략하지 않는 경우를 표준으로 삼는다.[a] [a] [a] [a] [k] [19] [ruby(建,ruby=たて)]는 동사 [ruby(建,ruby=た)]てる의 연용형 [ruby(建,ruby=た)]て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建て物로는 쓰지 않는다.[x] [a] [k] [k] [k] [25] 앞에서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없음[a] [a] [a] [a] [a] [a] [x] [33] 영어 shoulder의 직역.[34] 영어 word의 역어[a] [a] [a] [a] [a] [a] [a] [a] [43] 수표어음으로 약속된 증서에 매겨진 현금이 수취인에게 ‘건너가지 않음’에서 유래했다.[44] 조주삼전어(趙州三轉語)라고 하며, 쇠로 만든 불상은 화로를 건너지 못 하고, 나무로 만든 불상은 불을 건너지 못 하며, 진흙으로 빚은 불상은 물을 건너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부처는 외형에 있지 않음을 강조하는 구절.[a] [46] '仕'는 음차자#.[47] 이 뜻은 한국에서도 어떤 모양이나 행동을 취하는 말로 사용된다. ~한 양의 꼴로.[a] [49] 행정지침으로 선착장 대신 나루/나루터를 쓰라고 해도 잘 정착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50] 손切(순우리말 + 한자어혼성어(混成語))이 아니다. 나아가 '손해와 이득'을 의미하는 '손익(損益)'으로부터 '익절(益切)'이라는 표현까지 생겼는데 한국에서만 쓰이는 표현이며 일본에서는 [ruby(利,ruby=り)][ruby(食,ruby=ぐ)]い라고 한다.[a] [x] [a] [k] [a] [k] [a] [58] [ruby(合,ruby=あい)]는 [ruby(合,ruby=あ)]う의 연용형 [ruby(合,ruby=あ)]い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試合い로는 쓰지 않는다.[a] [a] [61] 일본 창작물에서 자주 나오는 '료카이'가 바로 이것. 군 관련 통신 용어에서 쓰이는 경우 영어의 roger와 용법으로나 의미로나 거의 같은데, 문제는 군인이 아닌 캐릭터의 대사도 '라저'로 오역되는 경우가 잦다. 해당 상황에는 '수신 양호', 혹은 줄여서 '양호', '확인'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자 표기가 了解(요해)와 諒解(양해) 두 가지인데, 일본에서 '諒'이 상용한자가 아닌 탓에 주로 了解가 쓰인다. 한국에서는 보기 드물지만 북한에서는 료해라는 표현으로 어느 정도 쓰인다.[62] 한의학 용어.[63] 개인을 가리킬 때는 사람으로, 모든 사람을 통틀어 이를 때는 인류(人類)로 각각 다듬을 수 있다.[x] [65] 인간 이외 종족을 가리키는 표현.[a] [k] [68] [ruby(立,ruby=たち)]는 동사 [ruby(立,ruby=た)]つ의 연용형 [ruby(立,ruby=た)]ち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立ち場로는 쓰지 않는다.[a] [a] [a] [a] [a] [a] [x] [k] [x] [k] [a] [80]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당시 대한제국군들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해산되자 "우리더러 미역국을 먹으라는 것이냐?"고 반발한 데서 '미역국을 먹었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하는데, 이는 '출산'을 뜻하는 해산(解産)과 '집단을 해체하다'를 뜻하는 해산(解散)이 같은 음성이기 때문이었다.[a] [a] [a] [k] [85] 참고로 일본에서는 '이사'라는 용어는 기업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나 스포츠 단체 등과 같이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단체에서만 쓰인다.[a] [a] [a] [a] [a] [91] '도착지', '목적지'와 의미가 비슷하기 때문에 3음절을 맞추기 위해서인지 보통은 '-지(地)'를 붙인 '행선지'로 쓴다.[a] [93] 단, 행성 문서의 혹성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단어를 처음 도입한 모토키 요시나가는 '(천문학자를)헤매게 만드는(惑わす) 별'이라는 뜻으로 이해한 듯 하다. 어느 쪽이건 惑를 쓴다는 점은 같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고.[a] [a] [96] '날중계'[97] 한국식 한자어 '처(處)'에 해당. 그런데 이것을 선(線)으로 아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98] 동음이의어 연락선(連絡船)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쪽은 섬 또는 강 따위에 물자나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배를 뜻한다.[99] '~곳'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院(원)으로 아는 사람들도 있지만 院(원)은 한국어에도 원래부터 있던 표현이라는 게 함정이다.[100] 수 또는 단위를 나타내는 대다수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마다’의 뜻을 더할 때에 해당. 중국에서는 쓰지 않는 표현이며 중국은 '균(均)'을 사용한다.[101] 반드시 한 일(一) 자를 붙이며 그렇지 않으면 '붙임성'이라는 다른 뜻이 되어버린다.[102] 위의 ~당과 같다. 중국에서는 잘 쓰지 않는 표현이며 주로 '안(按)'을 많이 쓴다.[103] -문(門), -로(路), -하는 곳. '구멍이 난 곳', '드나드는 곳', '창구(窓口)'라는 뜻으로 쓰일 때 한정. 참고로 '문(門)'은 일본에서는 대문만을 가리키며 흔히 말하는 '방문'은 '扉'나 '戶'를 사용한다. 이렇게 용도나 공간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한자를 쓰며 그냥 '문'이라고 뭉뚱그려 부르고 싶으면 영어 외래어인 'ドア(door)'를 써야한다.[104] 다만 는 예전부터 어귀라는 뜻으로도 종종 쓰여왔기에 이를 반드시 일본식 한자어로 봐야 하는지는 어폐가 있다.[105] 다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오히려 '切符売り場(깃푸우리바, '표 파는 곳')'란 표현을 사용한다.[106] '(안으로)드는 구멍·들구멍'[107] 일제 이전 본래 한국에서는 '(밥 등을 )입에 넣는다'는 뜻으로 쓰였다. 지하철 역사에서는 '들어오는 곳'을 사용하나, 역 이름으로는 여전히 건대입구, 홍대입구처럼 자주 쓰인다.[a] [109] 중국에서는 현재 두 가지 뜻으로 모두 사용되고 있다.[110] '(밖으로)나가는 구멍·날구멍'[111] 일제 이전 본래 한국에서는 '(소리 등을 )입에서 낸다'는 뜻으로 쓰였다. 지하철 역사에서는 '나가는 곳'을 사용하나, 지하철 출입 통로는 여전히 'n번 출구'라고 쓴다.[a] [113] 이것 역시 중국에서 현재 두 가지 뜻으로 모두 사용되고 있다.[114] 지금은 인터체인지(Interchange)의 순화어로 성공리에 정착했다.[115] '액수'를 뜻하는 일본식 표현이다. 한국어는 액(額) 또는 량(量). 이것이 현대 한국어에서는 ~고(庫)로 변하여 쓰이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 표현(접미사 -庫)은 어느 나라에도 없는 표현이다. 조선 시대에도 쓰였던 입고(入庫), 출고(出庫) 등의 한자어에서 나온 듯하다.[116] '잔 높이'[117] 잔고(殘庫)도 혼용되는데, 정작 殘庫라는 말은 일본어에도 없다. 그런데 외환보유고는 국어사전에 外換保有로 실려 있다는 게 함정이다.[118] 공문서를 말하는 표현이다. とどけ라고 읽는다. 이 표현도 일본식 표현이라고 하여, 한국 법률 용어에서는 '신고(서)'라고 표현한다. 예컨대, 일본 호적법에서는 '혼인계'라고 하는 것이 한국 가족관계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혼인신고서'이다. 다만 실무상 '변호사선임신고서'를 '변호사선임계'라고 약칭하는 등의 용례가 아직 남아 있다.[119] 기를 모은다는 뜻으로, 한자어 순서에 맞추면 합기(合氣). 그런데, 합기는 무술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이며, あいき라고 읽는다. 합기도(合氣道)나 아이키도(合気道) 할 때의 그 한자가 맞다.[120] 기다리다 만나는 곳이라는 뜻이다.[121] 대개 승합차(車) 같은 식으로 쓰인다.[122] 向け(むけ)는 보낼 곳 또는 대상이 되는 것이라는 뜻이다. 우리말로는 '~용(用)'으로 쓰면 된다. 그런데 用은 일본에서도 쓰이는 말이다.[123] 뜻은 '정면을 향함', '생각이 발전적', '적극적'. 흔히 전향적(前向的)이라고 -적을 붙여서 많이 쓴다. 한국에선 발음이 같은 전향(轉向)도 헷갈리면 곤란. 전향(轉向) 또한 '방향을 비꾸다'라는 뜻에서 '신념을 바꾸다'까지 의미가 확장된 건 일본의 영향이라는 말이 있다.[124] 일본에서는 음치가 노래와 관련 없는 것에도 통째로 붙어서 쓰이는 반면 한국과 중국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방향음치(方向音痴)는 길치나 방향치, 미각음치(味音痴)는 요리치로 알맞게 번역해야 한다. 방향음치나 미각음치 같은 말은 원래부터 국내에서 쓰이지 않으며, 아마추어 번역자들이 대충 번역하거나 번역기를 돌린 경우에나 나오는 말이다.[125] 일본은 701년 다이호 율령으로 확립된 율령제에 따라 당의 3성 6부제(3省6部)를 참고한 2관 8성제(2官8省)라는 체제를 만들었고, 당의 省급을 官급으로, 部급를 省급으로 받아들였는데, 율령제가 붕괴하면서 유명무실해졌으나 메이지 유신을 통해 중앙 집권화하면서 부활했고, 약간의 변화를 거쳐 이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와 현대의 중앙성청(中央省庁)이 되었다.[126] 그 외에도 일본에서는 미국의 정부부처들을 제외하면 '장관'이라는 표현보다는 대신(大臣) 혹은 상(相)이라는 표현으로 많이 번역한다. 아무튼 이 표현은 상대국의 정치 체제가 군주정인지 공화정인지 가리지 않는다. 군주국 느낌이 심하게 풍기는 표현임에도 이 영향 때문인지 한국에서도 80년대 초반까지는 미국 등 외국의 부처를 나타낼 때 '○○성'이라고 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부'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특히 미국의 부가 '성'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잦은데(예 : 국무성), 이는 영국이나 다른 나라가 '부'를 영어로 'Ministry'라고 하는 데 반해, 미국에서는 부를 'Department'라 하기 때문인 듯하다. 물론 여기에는 과거 언론에서 일본의 자료를 중역하면서 이를 그대로 '성'이라 옮긴 것도 한몫했다.[127] 다만 요즘은 チック라고 하지 テキ라 하진 않는다.[128] 서재극, 「개화기 외래어와 신용어」, 동서문화 4, 계명대학교 동서문화 연구소, 1970, pp.95-96.[129] 김용석, 「접미사 ‘-적(的)’의 용법에 대하여」, 배달말 11, 배달말 학회, 1986, 73.[130] 健康的休息場所(건강적휴식장소) vs. 건강한 쉼터[131] 예를 들어, 외부적 압력(外部的壓力), 정신적 지주(精神的支柱), 사회적 문제(社會的問題)와 같은 단어들은 한국어와 중국어가 동일.[132] 한국어 '교육적 효과'(ex. 게임의 교육적 효과 = 게임이 가진 교육스러운 효과)는 중국어 敎育上的效果가 된다. 중국어에서 敎育的效果는 교육 행위 자체의 효과, 즉 '교육의 효과'라는 의미가 된다.[133] 법률 용어로 흔히 쓰이는 '가(假)~'도 일본식 한자어라고들 한다. 가계약, 가집행, 가압류, 가처분 등(반대되는 개념은, 본계약, 본집행, 본압류 등). 대부분 '임시~'라는 뜻이기는 하나, 법조계와 일상생활에서 워낙 굳어진 표현이다 보니 이제 와서 용어를 새삼스레 고치지는 못하고 있다. 게다가 '가처분'은 민법 용어이고 '임시처분'은 행정법 용어이니 완전히 다른 말이다.[134] '그루식'[135] '그루 가'[136] 참고로 환불(還拂)은 한국식 한자어이다. 일본에서는 '払い戻し(はらいもどし)'라는 표현을 사용한다.[137] 한국 법률 용어로는 지급이라고 표현한다.[138] 출처[139] 따지고 보면 우리도 사설시조김삿갓 같이 비어나 속어를 섞어넣거나 익살을 목적으로 한 형식 파괴적 문학의 흐름이 있기는 했다. 다만 이것을 광시라고 부르지는 않았다.[140] 다만 설에 따라서는 사기의 기술을 따라 소공과 주공이 왕을 대신하였다는 것에서 기인했다고도 본다. 두 공이 함께(共) 합의하여(和) 통치를 했다는 설.[141] 참고로 현재 일본에서는 소학교(小学校/しょうがっこう)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42]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첫 번째 의미로서 纵情,任意를 제시하며 송나라 시절의 소식, 증공 등의 시인들이 썼던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유구한 역사가 있다.[143] '낭만'을 읽을 때는 장음이 들어가긴 하지만 일본어에서 외래어는 필요에 따라 장음이 생략되거나 반대로 첨가되는 경우도 많다. (예: Door → ドア)[144] 가장 잘 알려진 예가 중국중앙전시대[145] 广이 broad(넓은)에 해당하고 播가 cast(던지다)에 해당한다.[146] 인민 문서와 함께 다음 자료도 참고할 것. 20세기 일본의 「인민」개념의 획득과 상실 위 출처에서 일부 인용. <네이버 번역> 어원에 배려한 『일본 국어 대 사전』(쇼가쿠칸, 1974년)에는 "국가를 구성하는 사회를 조직하는 사람들. 보통, 통치자에 대한 피지배자, 벼슬 없는 일반 사람들을 두고 하는 말"로서 『사기』의 "천하 인민"에서 『속 일본기』의 "인민 풍락"등을 거쳐 『지방의 입지 편』의 나카무라 타다시 직역에 이르는 계보가 적혀 있다. 이것은 "인민"이 한서를 내고 메이지기에 번역어로서 정착해 온 것임을 시사한다. <원문> 語源に目配りした『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1974年)には、「国家を構成し、社会を組織している人々。ふつう、支配者に対する被支配者、官位のない一般の人々をさしていう」として、『史記』の「天下人民」から『続日本紀』の「人民豊落」などを経て『西国立志編』の中村正直訳にいたる系譜が書かれている。このことは、「人民」が漢籍に発するにせよ、明治期に翻訳語として定着してきたものであることを示唆する。[147] 예컨대, 지금 '정치'라고 말할 때의 개념은 조선 시대 정사의 개념이 아니라, politic에 훨씬 가깝고, 이 어휘의 이러한 개념 변화를 주도한 것은 일본의 서구 정치사상에 대한 번역 작업이지만, 이 말 자체를 일본이 만들었거나, 최초로 유행시켰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새로운 어휘가 도입된 것이 아니라,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대한 개념 자체가 달라진 것이다. '공화국'이라는 말이 플라톤의 politeia를 어원으로 하는 전례가 없던 서구 정치 구조에 대한 번역어로서 급작스럽게 도입된 것과는 다르다.[148] 猶太/ユダヤ, 흔히 유'태'라고 쓸때 한자로 표기하면 猶太가 된다.[149] 和蘭/オランダ. 엄밀히 말하면 홀란트는 네덜란드의 한 지방이지만, 일본에서는 네덜란드 자체를 말한다. 사실 중국에서도 네덜란드를 荷兰이라고 한다. 홀란트를 음차한 표기.[150] 獨逸/ド(ク)イツ. 현대 들어서 일본에서는 오히려 표기 간편 등 이유로 ドイツ로 표기한다. 다만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한자 약칭으로 쓰이는 '獨'은 계속 쓰인다.[151] 한자와는 관계는 없지만 베트남도 일본식 표기다. Viet Nam을 ベトナム으로 쓴다. 비엣남이 정확한 표기다.[k] [153] 이 한자어에 해당하는 일본어 표현은 ‘배가 서다’([ruby(腹, ruby=はら)]が[ruby(立, ruby=た)]つ 하라가 타츠)이다.[154] 기성사실의 혼용 표현. 어느 쪽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일본에서는 기성사실이 잘 쓰인다.[155] 일반인은 외국에서 총기를 사들이는 것(輸入)으로 이해할 것이다.[156] 삼국지 조조전을 해봤다면 한 번쯤 봤을 것이다.[157] 출처는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이다.[158] 남자는 놈, 여자는 년이라고 구분하여 가리키는 사례가 있긴 하지만 애초에 그건 비속어다.[159] '그녀'와 달리, 3인칭 대명사로서의 '그'는 15세기 한글 문헌에서도 나타나는 유구한 역사의 낱말이다. 단순히 彼를 직역한 것이 아니다. 다만 '그'를 남성 한정으로 쓰는 것은 일본식 용어에 해당한다.[160] 이는 메이지 유신 이후, 작위나 칭호, 경칭 등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작위와 등치시킴과 동시에 서양 각국의 군주들에게 '국가수반'으로서 천황과 동격임을 나타내기 위해 붙이기 시작한 것이다. 참고로 일본식 작위 개념에서 왕과 여왕은 천황과 맺은 관계에서 친자식도 아니다. 친자식이나 직계는 남성은 친왕, 여성은 내친왕이다. 말 그대로 천황의 가까운 친척 관계에 있는 황족들이 왕, 여왕인 셈이다.[161] 한국어로는 외계인(外界人)이란 뜻.[162] 이방인(異邦人), 이국인(異國人) 같은 한국어 용례도 물론 존재한다.[163] 사람이 죽었다는 의미의 墮界와 동음이의어이다.[164] 하지만 방(邦)을 전혀 쓰지 않는 것은 아닌데 연방과 같은 단어에서 쓰이기도 한다.[165] 1945년 제정된 당용한자 1850자를 바탕으로 1981년에 95자가 추가되었고, 2010년 11월 30일부터 2136자로 더 확대하였다.[166] 상용한자 정도가 아니라 일본어에서 완전히 퇴출된 한자다. 현지 일본인들은 이 한자를 한국과 중국에서만 쓰는 한자라고 알고 있는 실정.[167] 부바키키 효과 때문에 이런 말뜻의 차이가 생긴 것일 수도 있다.[168] 본래 'くじ'로 훈독했지만(예: 오미쿠지 - 御神籤) 이것조차 현대에는 히라가나 'くじ'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사라진 한자라고 보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 (이전 역사)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1. 둘러보기

<nopad>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천황 · 일본 황실(황실 관련 문서) ·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국장 · 기미가요
국호 국호 · 니혼/닛폰 · 야마토 · 야시마 · 히노모토 · 재팬 · 지팡구 · 미즈호 · 시키시마 · ( · · ) · 부상국 · 동영 · (왜국)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중의원 해산))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 정부홍보 온라인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도쿄도지사 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이념 · 사상 틀:일본의 이념 · 일본 좌파 · 일본의 자유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일본 내셔널리즘 · 야마토 민족주의 · 천황제 파시즘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일뽕 · 친일파 · 탈아입구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JUSCANZ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왜관
군사 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의 경찰제도(계급 · 일본 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나라현 경찰본부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후추 형무소 · 도쿄 구치소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시대 역사 전반 ·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 ·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남북조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전국 3영걸 · 에도 시대 · 겐로쿠 · 막말 ·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 레이와 시대
정권 야마타이국 · 야마토 정권 · 소가 · 원정 · 겐페이토키츠 · 후지와라 · 헤이케 · 막부 · 쇼군 · 가마쿠라 막부 · 집권 · 무로마치 막부 · 관령 · 에도 막부 · · 조슈 번 · 사쓰마 번 · 일본 제국 · 에조 공화국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류큐 왕국
기타 일본서기 · 육국사 · 신찬성씨록 · 관위 · 후궁제도 · 봉행 · 태정관 · 공가 · 사쓰마 번 · 사무라이 · 다이묘 · 닌자 · 공가 · 화족 · 데지마 · 카쿠레키리시탄 · 쿠로후네 사건 · 에조 · 에도 · 왜구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다이쇼 로망 · 대일본제국 헌법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 일제강점기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코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일본의 역사왜곡(일본의 전쟁범죄 · 해군선옥론 · 육군악옥론 · 일본 극우사관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야스쿠니 신사 · 전범기업) · 오키나와/역사 · 전공투(적군파)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무역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내지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 대단해 · 애국 비즈니스)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 펀드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비짓 재팬 웹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교포 일본계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미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팔라우인 · 일본계 러시아인 · 일본계 대만인 · 일본계 멕시코인 · 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영국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니기리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일본학 · 국학 ·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고민가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그랑프리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왕자계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데코라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특공복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와패니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