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7:11:50

베트남 전쟁

ベトナム戦争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1차 베트남 전쟁으로도 불리는 프랑스와 베트남 사이의 전쟁에 대한 내용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 전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 전쟁
미군의 참전 호주군의 참전
한국군의 참전(논란) 인도차이나 전쟁
오해와 편견 사용 장비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파일:존F케네디-투명.svg존 F. 케네디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생애
가족 아버지 조지프 P. 케네디 · 배우자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 아들 존 F. 케네디 주니어 · 딸 캐롤라인 케네디 · 형 조지프 P. 케네디 주니어 · 남동생 로버트 F. 케네디 · 테드 케네디
역대 선거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린든 B. 존슨 · 리처드 닉슨 · 로버트 맥나마라 · 피델 카스트로
어록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사건사고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평가 평가
기타 JFK(영화)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링컨과 케네디의 공통점
케네디 행정부
냉전 베트남 전쟁 · 쿠바 미사일 위기 · 피그만 침공
우주 계획 머큐리 계획 · 아폴로 계획 · 제미니 계획
사건사고 골즈버로 B-52 추락사고 · 알카트라즈 탈옥 성공 사건 · 앨라배마 대학교 흑인 등록 거부 사건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파일:Coat_of_Arms_of_John_F._Kennedy.png 케네디 가문 · 파일:RFK 반전.png 로버트 F. 케네디 · 파일:테디 K.svg 테드 케네디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44C9> 파일:린든 투명.svg린든 B. 존슨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가족 아버지 새뮤얼 일리 존슨 주니어 · 어머니 리베카 베인스 존슨 · 아내 레이디 버드 존슨 · 딸 린다 존슨 · 딸 루시 존슨
역대 선거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휴버트 험프리 · 에드먼드 머스키 · 존 코널리 · 로이드 벤슨
기타 데이지 걸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LBJ 행정부
사상 자유주의 · 현대자유주의
정책 아폴로 계획(A_004)
사건사고 오일 쇼크 · 키티 제노비스 사건 · 실비아 리킨스 살인 사건 · 텍사스 대학교 시계탑 총기난사 사건 · 알래스카 지진 · 야머스 캐슬호 화재 사고 · USS 포레스탈 화재 사건 · 팔로마레스 B-52 추락사고 · 펜타곤 페이퍼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필리핀해 핵폭탄 분실사고 · 조디악 킬러
전쟁 베트남 전쟁(통킹만 사건)
기타 1968년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81018><tablebgcolor=#e81018> 파일:닉슨-투명.svg리처드 닉슨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선거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헨리 키신저 · 스피로 애그뉴 · 제럴드 포드존 코널리 · 멜빈 레어드 · 제임스 R. 슐레진저 · 조지 W. 롬니 · 헨리 M. 잭슨 · 존 F. 케네디 · 휴버트 험프리 · 조지 맥거번 · 아치볼드 콕스 · 존 시리카 · 마오쩌둥
발언 닉슨 독트린 · 닉슨 쇼크
사건사고 데탕트, 라인배커 작전,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칠레 쿠데타, 전략무기제한협정, 워터게이트 사건, 피닉스 프로그램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5B38> 파일:박정희 투명.svg박정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35B38> 일생 일생(진위 논란) · 평가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틀:박정희 가문
역대 선거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8대 대통령 선거 · 제9대 대통령 선거
대중매체 야인시대 · 박정희: 경제대국을 꿈꾼 남자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
사건사고 5.16 군사정변 · 황태성 사건 · 1.21 사태 ·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 · 10월 유신 · 저격 미수 사건 · 10.26 사건
관련 단체 박정희 정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군사혁명위원회) · 민주공화당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중앙정보부 · 정수장학회 · 육영재단
기타 여담 · 어록 · 별명 · 사상 · 박정희주의 · 박정희계 · 박정희로 · 박정희체육관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박정희도서관) ·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 뮤지컬 박정희 ·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 새마을운동 · 새마을노래 · 경부고속도로 · 고속도로의 노래 · 월남파병 · 서울어린이대공원 · 국민교육헌장 · 긴급조치 · 녹화사업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백지계획 · 프레이저 보고서 · 김호남 · 이현란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 박사모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cc0000><tablebgcolor=#cc0000> 파일:브레즈네프 투명.svg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 생애 생애
기타 평가 · 대중매체
관련 인물 니키타 흐루쇼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안드레이 그로미코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알렉세이 코시긴 · 린든 B. 존슨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빌리 브란트 · 조르주 퐁피두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마오쩌둥 · 김일성 · 피델 카스트로 · 알렉산데르 둡체크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전쟁 베트남 전쟁 · 욤 키푸르 전쟁 · 중월전쟁 · 앙골라 내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
정책 현실사회주의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전략무기제한협정
냉전 프라하의 봄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데탕트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마오쩌둥 투명.svg마오쩌둥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창작물 · 마오주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e1c25> 주최 운동 삼반오반운동 · 반우파 투쟁 · 대약진 운동 (제사해 운동 · 토법고로 · 인민공사 · 치수사업) · 양탄일성 · 문화대혁명 (악영향)
사건 대장정 · 국공합작 · 중일전쟁 · 국공내전 · 6.25 전쟁 · 암살 음모 사건 · 베트남 전쟁 · 중소 국경 분쟁 · 9.13 사건 · 데탕트
마오쩌둥 가문 증조부 모조인 · 조부 모은보 · 아버지 마오이창 · 어머니 원쑤친 · 남동생 마오쩌민 · 남동생 마오쩌탄 · 이처 양카이후이 · 삼처 허쯔전 · 사처 장칭 · 아들 마오안잉 · 아들 마오안칭 · 손자 마오신위
선전물 선전물 틀 참조
관련 문서 관련 도서 · 마오쩌둥 어록 · 모주석기념당
관련 틀 마오주의 틀 · 공산주의 틀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마오주의 깃발.svg 틀:마오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둘러보기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 ||

인도차이나 전쟁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베트남 내란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라오스 내란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둘러보기
1945년 중국의 베트남 침공 북베트남의 라오스 침공 태국 공산반란 코친차이나 원정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 ||

파일:베트남 국장.svg 베트남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da291c>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colbgcolor=#da291c>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마스터돔 작전
,1945 ~ 19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국
라오스 내전
,1953 ~ 1975,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베트남 전쟁
,1955 ~ 1975,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크메르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라오스 내란
,1975 ~ 2007,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당파 몽족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1977 ~ 1989,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민주 캄푸치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KPNLF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FUNCINPEC
중월전쟁
,197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중월국경분쟁
,1979 ~ 199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1979 ~ 1989,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1987 ~ 1988,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티베트 침공
,1950,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하이난 상륙작전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이장산 전투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베트남 전쟁
,1955 ~ 1975,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중인전쟁
,196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67년 인도-중국 국경 분쟁
,196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중소 국경분쟁
,1969,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라셀 군도 점령
,1974,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중월전쟁
,1979,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1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소련 국장.svg 소련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d700> 전쟁 교전국
1924년 에스토니아 쿠데타 시도
,1924,
<colbgcolor=#f5f5f5,#191919>
봉소전쟁
1929
스페인 내전
1936 ~ 1939
에스토니아-소련 국경분쟁
,1938,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공화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8 ~ 1939
<colcolor=#ffd700> 하산 호 전투
1938
할힌골 전투
1939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폴란드 침공
1939
겨울전쟁
1939 ~ 1940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침공
1940
발트 3국 점령
1940
대조국전쟁
1941 ~ 1945
계속전쟁
1941 ~ 1944
페르시아 침공
1941
소련-일본 전쟁
1945
이저사변
1944 ~ 1949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1953년 동독 봉기
1953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
헝가리 혁명
1956
U-2 격추 사건
1960
베트남 전쟁
1960 ~ 1975
소모전
,1967 ~ 1970,
프라하의 봄
1968
소련-중국 국경분쟁
1969
앙골라 내전
1975 ~ 1991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오가덴 전쟁
1977 ~ 1978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 ~ 1989
나고르노 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리투아니아 독립 무력 진압 시도
1991
라트비아 독립 무력 진압 시도
1991
← 러시아 제국의 대외전쟁
→ 러시아의 대외전쟁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호주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 [[극동 공화국|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뉴질랜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영국 국장.svg 영국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대북방전쟁
,1700 ~ 1721,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베틴).svg.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7년 전쟁
,1754 ~ 1763,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1775 ~ 1782,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미국 독립전쟁기.svg 미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제국
제2차 영국-마라타 전쟁
,1803 ~ 1805,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1817 ~ 1818,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39 ~ 1842,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제1차 아편전쟁
,1840 ~ 184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시크 전쟁
,1845 ~ 1849,
파일:시크 왕국 국기.png 시크 왕국
크림 전쟁
,1853 ~ 185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페르시아 전쟁
,1856 ~ 1857,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852~1906).svg 이란 숭고국
세포이 항쟁
,1857 ~ 1858,
파일:영국 동인도 회사 깃발(1801-1858).svg 세포이 반란군 파일:무굴 제국.png 무굴 제국
사쓰에이 전쟁
,1863 ~ 1864,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쓰마 번
시모노세키 전쟁
,1863,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 ~ 1880,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줄루 전쟁
,1879,
파일:Conjectural_flag_of_Zululand_(1884-1897)_by_Roberto_Breschi_taken_from_The_South_African_Flag_Book_by_A.P.Burgers.png 줄루 왕국
제1차 보어 전쟁
,1880 ~ 1881,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마흐디 전쟁
,1881 ~ 189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영국-이집트 전쟁
,1882,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 아라바 파샤 반란군
영국-잔지바르 전쟁
,1896,
파일:잔지바르 술탄국 국기.svg 잔지바르 술탄국
파쇼다 사건
,189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티베트 침공
,1903 ~ 1904,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아일랜드 독립전쟁
,1919 ~ 19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국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19,
파일:Flag_of_Afghanistan_(1919–1921).sv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012169> 서부 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영국-이라크 전쟁
,1941,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페르시아 침공
,1941,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제1차 대구전쟁
,1958 ~ 1961,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아덴 비상사태
,1963 ~ 1967,
파일:남예멘 민족해방전선.png NLF 파일:남예멘 국기.svg FLOSY
베트남 전쟁
,1964 ~ 1975,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제2차 대구전쟁
,1972 ~ 1973,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제3차 대구전쟁
,1975 ~ 1976,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포클랜드 전쟁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시에라리온 내전
,2000 ~ 2002,
파일:Sl_RUF.png RU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태국 국장.svg 태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a51931> 9군 전쟁
,1785 ~ 1786,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타보이 전쟁
,1787,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탈랑 침공
,1809 ~ 1812,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라오스-시암 전쟁
,1826 ~ 1828,
비엔타인 왕국 참파삭 왕국
시암-베트남 전쟁
,1831 ~ 1834,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시암-베트남 전쟁
,1841 ~ 1845,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켕퉁 전쟁
,1849 ~ 1855,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프랑스-태국 전쟁
,1940 ~ 1941,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내전
,1959 ~ 1975,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베트남 전쟁
,1967 ~ 1972,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1968 ~ 1989,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1979 ~ 1989,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기.svg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1987 ~ 1988,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걸프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 ||

파일:필리핀 국장.svg 필리핀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CD11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CE1126> 필리핀 혁명
,1896 ~ 1898,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제국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트남 전쟁
,1964 ~ 1969,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마라위 전투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중화민국의 대내외 전쟁 · 분쟁 파일:백일문.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096> 신해혁명
,1911 ~ 191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계축전쟁
,1913,
파일:중국 국민당기.svg 국민당
호국전쟁
,1915 ~ 1916,
파일:중화제국 국기.svg 중화제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호법전쟁
,1917 ~ 191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외몽골 출병
,1919,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 복드 칸국
국민혁명
,1926 ~ 192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직예군벌
제1차 국공내전
,1927 ~ 1936,
<colbgcolor=#000096> 초공작전
,1930 ~ 1934,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반장전쟁
,1929 ~ 1930,
파일:대만 국기.svg 서산회의파 파일:대만 국기.svg 개조파 파일:대만 국기.svg 계계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서북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염계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중국-티베트 전쟁
,1930 ~ 1932,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만주사변
,1931 ~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영릉가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쌍성보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열하사변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경박호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사도하자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흥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동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대전자령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복건사변
,1934,
파일:중화공화국 국기.png 중화공화국
쿠물반란
,1931~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신강군벌 기.svg 신강군벌
신강 침공
,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37년 신강 전쟁
,193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2차 세계 대전
,1937 ~ 1945,
중일전쟁
,1937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저사변
,1944 ~ 194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국기.svg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제2차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버마 연방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태국 공산반란
,1965 ~ 1967,
태국 공산당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대막계획
,1979 ~ 1990,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a251d><colcolor=#ffd700> 고대 반랑 (문랑)
어우락 (구낙)
남비엣 (남월)
찌에우 왕조
한나라 - 한 구군 참파
남비엣 (남월)
쯩 자매
한나라 - 교주
자오찌 (교지)
사씨 정권
중국 남조 - 교주
반쑤언(만춘)
전 리 왕조
중국 남조 - 교주
중근세 안남
응오 왕조
십이 사군 시대
다이꼬비엣 (대구월)
딘 왕조 | 전 레 왕조
다이비엣 (대월)
리 왕조 | 쩐 왕조
다이응우 (대우)
호 왕조
명나라 - 교지 다이비엣 (대월)
후 쩐 왕조
다이비엣 (대월)
후 레 왕조
막 왕조 후 레 왕조
후 레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다이남 (대남)
찐씨 정권
꽝남 (광남)
응우옌씨 정권
}}}
떠이선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귀인 정권 부춘 정권 }}}
근대 다이남 (대남)
응우옌 왕조
안남
응우옌 왕조
프랑스 - 코친차이나
프랑스 - 인도차이나 연방
일본 제국 - 베트남 제국
현대 베트남 민주 공화국 프랑스 - 코친차이나 자치공화국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베트남국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제3공화국|
베트남 제3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 1 Mk. III* (HT),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Owen Mk.I, L2A1 SMG, F1
권총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L2A1 LMG, M60
유탄발사기 M79, XM148, M203
대전차화기 L4, L6, M20, M72
화염방사기 M2A7-7
박격포 L16
폭발물 수류탄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냉병기 총검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트남 전쟁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40, M70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XM21, M21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 XM16E1, CAR-15, GAU-5, XM177E1, XM177E2, M16A1, T223
기관단총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스텐 Mk.IIS
산탄총 M12, M37, M520, M77E, M870, Auto-5, M11-48, M1100, M1200, M7188, SOW
권총 M1903, M1907, M1911A1, M1917, M1927, PPK, 브라우닝 하이파워, HDM, 루거 Mk.1, M15, Mk.I B, QSPR, Mk.22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6, M37, M73, Mk.23, M60, M134, HK21, HK23A1, M2HB
유탄발사기 M79, 차이나 레이크, X-1, XM148, XM174,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대전차화기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화염방사기 M2, M9, XM191
박격포 M2, M19, M29, M30, Mk.2, Mk.4
맨패즈 FIM-43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화학탄 M7A2, M14, M18, M25A2, M34
지뢰 M14, M16, M18A1
폭약 M1,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37, M183
냉병기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총검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 M551 셰리든
주력전차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 차륜장갑차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 소형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 자주곡사포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 M125, M106
대전차 자주포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베트남전 시기의 베트남 인민군 기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1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베트남 인민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24 채피FR, AMX-13C
중형전차 및 MBT T-34-85, T-54, T-55, 59식 전차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
APC BTR-40, BTR-50, BTR-60, BMP-1, 63식 장갑차, M3 하프트랙
자주대공포 BTR-40A, ZSU-57-2, ZSU-23-4 쉴카, Phòng không T-34M, Phòng không SU-76MM
자주포 M8 스콧FR, SU-76M, SU-100
※ 윗첨자FR: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이 유기하고 간 것을 수습.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현지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 전쟁
월남전쟁(越南戰爭)
Chiến tranh Việt Nam(戰爭越南)
Vietnam War
인도차이나 전쟁, 냉전의 일부
파일:베트남 전쟁 지도.jpg
날짜
1955년 11월 1일 ~ 1975년 4월 30일
장소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원인
남베트남의 공산주의 반란[1]
통킹만 사건[2]
교전 국가 및 세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주 자치령|
호주 자치령
]]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필리핀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

[[대만|]][[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캄보디아 왕국
]][[틀:깃발|
깃발 명칭
캄보디아 왕국
]][[캄보디아 제1왕국|
캄보디아 제1왕국
캄보디아 왕국
]]

[[크메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라오스 왕국|]][[틀:국기|]][[틀:국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틀:깃발|
기 명칭
남베트남 공화국
]][[틀:깃발|
깃발 명칭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
]]
[[틀:깃발|
기 명칭
크메르 루주
]][[틀:깃발|
깃발 명칭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파테트라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
]]

[[중국|]][[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

[[북한|]][[틀:국기|]][[틀:국기|]]
}}}}}}
지원 국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스페인국|]]

[[영국|]][[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캐나다 자치령
]]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란 제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서독|]]
[[틀:깃발|
기 명칭
브라질
]][[틀:깃발|
깃발 명칭
브라질
]][[브라질 군사정권|
브라질 군사정권
브라질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일본|]]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
[[쿠바|]][[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동독|]][[틀:국기|]][[틀:국기|]]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틀:국기|]][[틀:국기|]]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틀:국기|
행정구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틀:국기|
속령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폴란드 인민공화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헝가리 인민공화국|]]

[[인도|]][[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버마 연방
]][[틀:깃발|
깃발 명칭
버마 연방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버마 연방
]]

[[몽골 인민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스웨덴|]][[틀:국기|]][[틀:국기|]] (외교적 지원)
}}}}}}
지휘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응오딘지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응우옌카인|]]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판칵스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응우옌반티에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쩐반흐엉|]]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즈엉반민|]]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쩐티엔키엠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응우옌까오끼

[[베트남 공화국|]][[틀:국기|]][[틀:국기|]] 까오반비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존 F. 케네디|
존 F. 케네디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리처드 닉슨|
리처드 닉슨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제럴드 R. 포드|
제럴드 R. 포드
]]


[[미국|]][[틀:국기|]][[틀:국기|]] 찰스 어윈 윌슨

[[미국|]][[틀:국기|]][[틀:국기|]] 닐 H. 맥켈로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버트 맥나마라|
로버트 맥나마라
]]

[[미국|]][[틀:국기|]][[틀:국기|]] 토머스 S. 게이츠

[[미국|]][[틀:국기|]][[틀:국기|]] 클라크 클리포드

[[미국|]][[틀:국기|]][[틀:국기|]] 멜빈 R. 레어드

[[미국|]][[틀:국기|]][[틀:국기|]] 엘리엇 리처드슨

[[미국|]][[틀:국기|]][[틀:국기|]] 빌 클레먼츠

[[미국|]][[틀:국기|]][[틀:국기|]] 제임스 R. 슐레진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도널드 럼즈펠드|
도널드 럼즈펠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

[[미국|]][[틀:국기|]][[틀:국기|]] 프레드릭 웨이언드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엘모 줌왈트|
엘모 줌왈트
]]

[[미국|]][[틀:국기|]][[틀:국기|]] 존 폴 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빈 올즈|]]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박정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채명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세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버트 멘지스|
로버트 멘지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해럴드 홀트|
해럴드 홀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 타놈 끼띠카쫀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키스 홀리오크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잭 마샬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노먼 커크

[[크메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론 놀

[[크메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시소와트 시릭 마탁

[[크메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롱 보렛

[[라오스 왕국|]][[틀:국기|]][[틀:국기|]] 수바나 푸마

[[라오스 왕국|]][[틀:국기|]][[틀:국기|]] 푸미 노사반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피델 발데스 라모스|
피델 발데스 라모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제3공화국
]] 델핀 카스트로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제3공화국
]] 가우덴시오 토비아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 제3공화국|
필리핀 제3공화국
]] 라파엘 일레토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찌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레주언|]]
[3]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똔득탕|]]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보응우옌잡|]]
[[틀:깃발|
기 명칭
북베트남
]][[틀:깃발|
깃발 명칭
북베트남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 응우옌찌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응우옌 흐우 안|
응우옌 흐우 안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쯔엉찐|]]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팜훙|]]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반띠엔중|]]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쭈후이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레득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 팜반동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앙반타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응우옌흐우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보찌콩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응우옌반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쩐반짜|]]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쩐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보민찌엣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후인떤팟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마오쩌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저우언라이|
저우언라이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니키타 흐루쇼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디온 말리놉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안드레이 그레치코|
안드레이 그레치코
]]

[[소련|]][[틀:국기|]][[틀:국기|]] 아나톨리 히우피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폴 포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키우 삼판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누온 찌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이엥 사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노로돔 시아누크


[[라오스|]][[틀:국기|]][[틀:국기|]] 쑤파누웡


[[라오스|]][[틀:국기|]][[틀:국기|]] 푸미 봉비치트

[[라오스|]][[틀:국기|]][[틀:국기|]] 카이손 폼비한

[[라오스|]][[틀:국기|]][[틀:국기|]] 캄타이 시판돈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일성|]]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최용건|]][4]
}}}}}}
병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총 235만 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남베트남군|]] 140만 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군|]] 54만 명[5]
[[틀:깃발|
기 명칭
크메르 공화국군
]][[틀:깃발|
깃발 명칭
크메르 공화국군
]][[크메르 공화국|
크메르 공화국
크메르 공화국군
]] 20만 명
[[틀:깃발|
기 명칭
라오스 왕국군
]][[틀:깃발|
깃발 명칭
라오스 왕국군
]][[라오스 왕국|
라오스 왕국
라오스 왕국군
]] 72,000명
[[틀:깃발|
기 명칭
한국군
]][[틀:깃발|
깃발 명칭
한국군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한국군
]] 55,000명[6]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군|]] 22,0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주군|]] 7,5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군|]] 2,061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뉴질랜드군|]] 400~534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만군|]] 31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스페인군|]] 13명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총 136만 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북베트남군|]] 28만 명[7]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콩|]] 80만 명[8]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
]] 17만 명
[[틀:깃발|
기 명칭
크메르 루주군
]][[틀:깃발|
깃발 명칭
크메르 루주군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군
]] 7만 명
[[틀:깃발|
기 명칭
파테트 라오군
]][[틀:깃발|
깃발 명칭
파테트 라오군
]][[파테트 라오|
파테트 라오
파테트 라오군
]] 48,0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군|]] 3,0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북한군|]] 200명
}}}}}}
피해규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남베트남군|]] 25만 4,256명~31만 3,000명 전사
117만 명 부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군|]] 58,318명 전사[9]
30만 3,644명 부상
고정익 항공기 3,750대, 헬기 5,000대 파괴[10][11]
전차 및 장갑차 880대 파괴[12]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한국군|]]
5,099명 전사
11,232명 부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주군|]]
521명 전사
3,129명 부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뉴질랜드군|]]
37명 전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군|]]
531명 전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필리핀군|]]
9명 전사
64명 부상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북베트남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북베트남군 &
베트콩 84만 9,018명 전사[13] 60만 명 이상 부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
]] 1,100명 전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군|]] 16명 전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북한군|]] 14명 전사[14]
}}}}}}
민간인 사망자
19만 5,000명~43만 명 65,000명 ~ 18만 2,000명[15]
결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승리, 베트남적화통일
영향
미군베트남 철수
캄보디아, 라오스의 연쇄 공산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미국징병제 폐지와 모병제 실시

1. 개요2. 명칭3. 상세4. 전황5. 배경6. 교전 초기7. 연합군 결성과 미군의 참전8. 전개9. 남베트남과 연합군의 패전 이유
9.1. 남베트남에 대한 부적절한 개입9.2. 호치민 루트구찌 땅굴9.3. 북진 금지9.4. 수렁9.5. 사기 저하
10. 북베트남의 구정 공세11. 케산 전투
11.1. 케산 전투와 구정 대공세를 포괄한 배경 및 영향
12. 남베트남의 패배와 북베트남의 승리
12.1. 반미반전(反美反戰)12.2. 파리 강화 협정12.3. 1973년 미군 철수 이후의 베트남12.4. 적화통일과 기나긴 전쟁의 종식
13. 전후
13.1. 미국에 끼친 영향13.2. 한국에 끼친 영향13.3. 일본에 끼친 영향
13.3.1. 일본 자위대의 베트남 전쟁 참전 설
13.3.1.1. 일본의 남베트남 지원 시도
13.4. 고엽제 문제13.5. 자연에 끼친 악영향13.6. 문화유산 소실13.7. 한 장의 사진13.8. 전쟁 범죄/민간인 학살13.9. 전후 숙청 및 보트 피플13.10. 공산권의 개입
14. 베트남 전쟁의 교훈15. 전쟁 중 사용한 장비 목록16. 베트남 전쟁을 다룬 창작물
16.1. 소설16.2. 드라마16.3. 영화16.4. 뮤지컬16.5. 만화16.6. 게임16.7. 노래16.8. 서적16.9. 다큐멘터리
17. 관련 문서
17.1. 문서가 작성된 전투 및 작전17.2. 그 외17.3.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1955년~1975년까지[16]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과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과의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이다.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불리기도 한다.

냉전 시기에 소련과 함께 양대 초강대국이었던 미국의 군대가 남베트남에 파병되어 북베트남을 상대로 싸웠지만 졸전을 거듭하며 남베트남에서 활동하는 게릴라 조직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에 의해 고전하게 된다. 이는 미국이 북베트남을 지원하던 소련과의 전면전을 우려해 제한적 작전을 행한 것도 있었지만 미국 군부의 부패 및 작전 수행 능력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세계 1위를 자신하던 미국의 군사력이 많은 의심을 받게 되었으며 결국 내 가족과 주변 젊은이들을 희생시키지 말고 베트남의 문제를 베트남인들 스스로 해결하게 하라는 미국 내 반전 운동과 여론에 밀려 미군은 철수하게 되었고 1973년 미군의 베트남 철수 이후에 미국의 징병제도 폐지되고 모병제로 바뀌었다. 예상 밖의 고초를 당한 미군의 군사적 명성은 크게 실추되었다.[17] 또한 이해할 수 없는 개전 이유와 전쟁의 명분으로 인해 미국의 국제적 지위가 약화되었으며 결국 버티지 못한 미국은 1973년 프랑스 파리에서 북베트남과 파리 협정을 맺고 베트남에 주둔하던 주베트남 미군들을 철군시켰다. 주베트남 미군이 철수한 이후 베트남은 분쟁의 양상이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베트콩의 3파전으로 환원되지만 잦은 쿠데타와 부정부패, 민심의 이반으로 약화된 남베트남은 결국 1973년 미군이 철수한지 약 2년도 안되어 1975년에 패망한다.

파일:external/cdn-images.9cloud.us/xwygv_128943460.jpg



덕분인지 서구권 등에서 나오는 창작물에서는 위 사진처럼 M16A1을 든 미군 병사가 UH-1 헬리콥터에서 내리고 정글 속에서 베트콩과 싸우는 이미지로 대표되고 있으며[18], 미군이 패배한 전쟁이라는 점 때문에 우울한 분위기와 전쟁에 회의적인 시각이 강한 편이다. 미국 국내에서는 히피 문화가 베트남 전쟁의 후유증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며[19], 베트남에서 돌아온 참전 용사들의 후유증과 사회 부적응 문제 등이 크게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국군이 파병된 전쟁이기도 하다. 6.25 전쟁에 이어 대한민국이 경험한 대규모 전쟁이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한국군을 참고할 것. 당시 대한민국에서 썼던 명칭은 월남전(越南戰)이며 지금도 대한민국 국군에서 만든 자료에서 월남전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참전해 베트남으로 파병되었던 국군들을 '파월 한국군'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 제2차 세계 대전처럼 명백한 악이었던 추축국이 존재하거나 6.25 전쟁과 같이 휴전 상태로 끝나버려, 서로가 서로를 비난하고 선전에 활용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베트남 전쟁은 한쪽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베트남은 이 전쟁 이후로 통일국가가 됐다. 그리고 지금 미국(+ 대한민국을 비롯한 당시 연합군 측)과 베트남이 서로 이 일로 으르렁거리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지금은 알다시피 베트남과 미국, 한국 등도 수교를 맺고 원만한 외교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20], 이는 지정학적으로 미국 입장에선 베트남이 중국 견제를 위해 필요하고[21], 베트남 역시 중국 견제를 위해[22] 미국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23] 한국-베트남 관계 입장에선 경제적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즉, 외교 관계가 회복되면서 필요에 의해 옛 일은 어느 정도 덮고 넘어가는 단계인 것이다.[24]

2. 명칭

제3자 입장에서는 전쟁 장소를, 당사국에서는 전쟁의 내용을 강조한다. 영어권에서는 Vietnam war라고 부르고, 한국에서는 월남전쟁(越南戰爭) 또는 월남전(越南戰)이라고 많이 부르다가 현재는 베트남이라는 국명이 보편적으로 쓰임에 따라 베트남 전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베트남에서는 Kháng chiến chống Mỹ(항미전쟁)이나 Chiến tranh Việt Nam(베트남 전쟁)이라고 한다.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Chiến tranh Đông Dương lần thứ hai)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월남전(쟁)이라는 이름 속의 '월남'은 베트남의 국명인 ''을 우리식 한자 독음으로 읽은 것이다. 국어사전에는 '베트남'의 음역어라고 나오는데, 이는 명백한 오류로 베트남의 국명은 원래 처음부터 월남이었다. 베트남도 한자 문화권이기 때문에 국호가 한자라서 가능한 것이며, 우리나라(韓國, 한국)를 부를 때 일본에서 かんこく(kankoku), 중화권에서 Hánguó라는 자국 한자 독음으로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3. 상세

베트남 전쟁의 배경은 길게는 19세기부터, 짧게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0년대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건들은 사실 상당히 긴 시기 동안 발생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이 남베트남에 첫 원조를 시작하고부터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진 거의 10여 년 가까운 시기가 있었다. 정작 통일 이후 베트남에서는 베트남 전쟁이라는 명칭을 거부한다. 자신들의 전쟁을 제3자 입장에서 부르기를 싫어하기 때문. 그러나 (물론 제3자의 시선에서) 걸프 전쟁이나 이라크 전쟁처럼 지명에서 명칭을 따오는 용법도 흔하기 때문에 베트남 전쟁이라고 부른다고 해서 잘못된 명칭은 아니다. 전쟁 기간 동안 북베트남에서나 통일 이후 베트남에서는 이 전쟁을 항미 전쟁이라고 부른다.[25]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을 얻을 것도 명분도 없는 전쟁에 오랫동안 발이 묶여있는 상황이 마치 헤어나올 수 없는 에 빠진 것과 비슷하다 해서 쾌그마이어(The Quagmire)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실제로 이 단어는 '엉망진창'이라는 뜻을 의미하는 말이기도 하다. 꽤나 오랜 기간 동안 이 전쟁은 미국이 주도한 전쟁 중에서 미국이 패배한 유일한 사례였고, 국내에서도 이러한 명칭으로 소개되는 일이 잦았지만 2021년 8월 15일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면서 '유일한'이라는 타이틀을 내려놓게 되었다. 미군 최신 공군기들이 가난하고 결핍된 북베트남을 폭격하다가 우수수 떨어지는 등의[26]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일어났으며 미군으로 하여금 상당한 재정 적자를 일으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미국의 군사력에도 한계가 있다."라고 선언하게 한 전쟁이다.

출구전략(Exit Strategy)도 베트남 전쟁에서 나온 말이다. 베트남 전쟁을 지속하기도 단번에 철수하기도 애매해진 미국이 굴욕적이지 않으면서도 별 피해 없이 전쟁을 끝내고 빠져 나오기 위해 찾던 전략을 출구전략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그 용어가 아직까지 쓰이고 있다. 당시 한국에서는 베트남을 한국 한자음대로 월남(越南)으로 표기했는데, 특히 남베트남을 정통으로 보았으므로 남베트남을 그냥 월남 또는 자유 월남이라고 했었다. 북베트남은 불법 정권으로 취급해 월맹이라고 불렀다.

비슷하게 대한민국에서 중국 역시 중국공산당의 불법 정권으로 취급해 중공이라고 불렀고 대만을 자유 중국이라고 불렀었다.[27] 그래서 당시를 다룬 한국군의 각종 자료에서도 이 용법을 현재까지 변경 없이 쓰는 경우가 많다. 이후 북베트남(월맹)이 남베트남(자유 월남)을 무너뜨리고 통일한 뒤에 세워진 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부터 '베트남'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남베트남 패망 직후에 이 조치가 취해졌다.) 이에 따라 마치 이전의 '월맹' '월남'과 단절된 신생 국가처럼 취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3.1. 오해와 편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오해와 편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황

전황을 나타낸 영상[28][29]

5. 배경

미국은 왜 베트남을 이길 수 없었을까?[30]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1954)이 끝난 이후 이번엔 미국이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에 간섭했다. 미국은 인도차이나 지역의 복잡한 배경에 대해서는 잘 몰랐으나, 남베트남을 적화되게 방치하면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같은 편인 자유 진영 국가들이 연쇄적으로 적화될 것이라고 우려하여[31] 우방국인 남베트남을 보호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미국은 전쟁 초반에는 프랑스의 행동에 부정적이었으나 6.25 전쟁의 발발로 냉전이 본격화되자 태도를 바꾸어 전비와 무기 대부분을 지원한다. 미국의 지원 액수는 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전비의 78%에 달했다.[32] 물론 나름 자유 진영에서 구(舊) 식민 체제의 해체를 통해 공산 세력과 맞서고자 했던 만큼 미국의 지원이 공짜는 아니고 남베트남을 독립시키는 조건이 붙어 있었지만 그건 미국 입장이고 북베트남과 베트콩 입장에서 보면 구 식민 세력을 아무 생각 없이[33] 지원한 또 다른 적이었다.

호찌민은 2차대전 때의 동맹관계를 떠올려서인지 미국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게 지지를 호소했으나, 쓰면 버리고, 달면 사용해먹는 냉엄한 국제 외교 정치의 현실과 자신과 자신이 이끄는 정당인 베트남 공산당이 30년대 이래로 쭉 어떤 짓을 저질러왔는지를 생각해보면 말 그대로 헛된 기대일 뿐이었다. 베트남 공산당의 비공산주의 내셔널리스트 세력에 대한 탄압과 배척의 역사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실제로도 호찌민은 비교적 온건한 성향의 정치인이었던 것은 분명하나 그에게 붙은 일종의 '성자 신화'가 말하는 것처럼 같은 민족을 해치고 싶어하지 않는 순수한 사람 역시 아니었으며, 오히려 사상적인 다원주의를 철저하게 배제하고 정적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베트남 독립 후 토지개혁 등 사회주의 정책에 반대하던 베트남 농민들의 반정부 시위를 군경을 동원해 유혈진압했던[34] 인물이었다.[35]

그리고, 미국 정부는 늦어도 1947년에는 이런 사정을 전부 파악하고 있던 걸로 보인다. 베트남에서 독립운동 세력은 베트민만 있던 게 아니고, 북쪽에는 베트남 국민당(VNQDD)나 대월당, 남쪽에는 종교파 세력 같은 다른 세력들이 즐비했다. 이들 대부분이 2차대전 때는 찬드라 보스의 인도 국민군처럼 적의 적은 나의 친구 원리로 일본군과 협력했기에 미국의 편이 아니긴 했으나, 종전 이후로는 이미 일본은 망했고, 이들 비공산주의 독립운동가들은 더 이상은 미국의 적이 아니었다.[36] 이런 대체제들이 있던 마당에 호찌민과 베트남 공산당을 미국이 지지할 만한 이유는 단 1%도 없었다.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부패의 극을 달리던 바오다이 황제가 통치하던 베트남국은 쿠데타에 이은 1955년 10월 26일의 국민 투표로 무너지고,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이 성립된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응오딘지엠은 나름대로 능력은 있었는지 일본군이 물러간 초기에 호찌민이 응오딘지엠에게 자신과 손을 잡자고 제안한 일도 있었다. 응오딘지엠은 적극적인 농업 투자를 통해 쌀 수확량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고무농장들을 대량으로 신설했으며, 매우 적극적인 외자 유치를 통해 유리공업과 면직물 공업을 크게 육성했다. 그리고 질 좋은 수산물을 수출하는 등 경제성장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 기울였다. 경제적인 업적뿐만 아니라 불교도 군벌과 범죄조직 소탕으로 치안도 안정되어 수도 사이공에서는 담이 낮아도 도둑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였다. 남베트남 전역에서 만연해 심각한 사회 문제였던 매춘도 금지시켰다. 호치민 정권의 반대파 탄압을 피해 월남한 최소 수십만 단위의 북베트남민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업적까지 세웠다.[37]

하지만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에서 테러를 일으키고 폭력 투쟁을 선전, 선동해나가며 남베트남의 민심을 교란했다. 한편 응오딘지엠은 자신의 정치적 기반인 지주 계급의 눈치나 보다가 토지 개혁에 실패하며 국민 대다수인 농민들의 신임을 점차 잃어갔고, 미국의 원조로 눈먼 돈이 넘쳐나면서 정권은 급속도로 부패하기 시작한다. 응오딘지엠의 일가족들이 국가 요직은 물론이고 경제권까지 독점했고, 원조 기금은 경제 개발 계획에 사용되지 않으며 사치품 수입에 낭비된다. 예컨대 베트남은 농경 국가인데 농업용 비료 수입에는 고작 200만 달러를 쓰면서, 사치품인 양담배 수입에 650만 달러를 쓰는 행태를 보여줬다.[38]

이러한 행태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동생인 응오딘누를 두목으로 하는 비밀 경찰을 조직하여 반대파, 경쟁자들을 마구 투옥시킨다. 이 때문에 겨우 안정되었던 치안도 다시 악화되고, 응오딘지엠 정권에 대한 국민 여론도 악화되었다. 그리고 1960년 12월에는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N.L.F.)이 결성되었다. 베트콩(Vietnamese Communists, V.C.)은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National Liberation Front, NLF, 남민전) 산하의 무장 게릴라 단체를 이르는 말이다. 이 베트콩은 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와 싸워 독립을 이룬 베트민(Viet minh)과는 다른 조직이었다.[39]

이렇게 응오딘지엠 정권의 부패가 표면화되자 COSVN(Central Office for South Vietnam, 남베트남 중앙국)은 남베트남 여기저기서 준동을 시작, 1961년에는 미국 추산 30만 명으로 확대된다. 남베트남 정부는 미국의 지원으로 소위 "전략촌 계획"을 추진, 이에 대처하려 했으나 정부의 부패와 미국의 무능함으로 인해 그에 지원된 기금은 권력자의 뒷주머니만 채워줬고, 지원된 미제 무기는 베트콩의 것이 되는 역효과만 낳았다. 남베트남군은 베트콩조차 감당할 여력이 안됐다. 그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 1963년 베트콩 게릴라와 남베트남군 사이에서 벌어졌던 압박 전투다. 1963년의 압박 전투는 1,500~2,500명의 정부군이 200~300여 명에 불과한 베트콩 게릴라에게 처참히 당하는 졸전을 벌였고, 이는 결국 미군이 베트남에 본격 개입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40] 압박 전투에서 베트콩측이 18명의 전사자를 낸 것에 비해 연합군 측은 86명(남베트남군 83명, 미국 군사 고문단 3명)이 전사하고 미군 헬기 5대가 파괴됐다. 또한, 베트콩은 투입됐던 남베트남군의 장갑차까지 막아냈다. 이처럼 남베트남군은 베트콩과의 교전에서 참으로 허접한 모습을 보였다.

1963년에는 큰 재앙이 하나 더 일어난다. 미국이 응오딘지엠 제거를 결정, CIA를 동원해 남베트남 장군들에게 거금을 찔러주고 쿠데타를 사주한 것이다. 응오딘지엠은 별 저항도 못 해보고 쿠데타군에 의해 살해당한다. 케네디는 이 결정이 남베트남에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지는 몰라도 실상은 어림도 없었다. 응오딘지엠의 치세 동안 빠른 경제성장과 정치 안정을 누리던 남베트남은 무능하고 무책임한 장군들이 정권을 다투면서 대혼란에 빠져든다. 이것을 기회로 베트콩은 농촌에서 세력을 대폭적으로 확대한다. 1964년, 1965년에는 빈 지아(Binh Gia) 전투와 동 쏘아이(Dong Xoai) 전투에서 레인저와 해병, 공수부대를 포함한 남베트남 정예병력이 북베트남에서 박격포와 무반동포까지 지원받은 베트콩에게 갈려나가기까지 했다. 이렇게 국가의 운명이 풍전등화인데도 장군들은 파벌 싸움과 쿠데타에만 광분해 제 살을 깎아먹는 게 당시 남베트남군의 모습이었다.

6. 교전 초기

파일:attachment/79552-050-5B7249FA.jpg
<rowcolor=white> 이로 인해 벌어지는 일련의 전쟁을 '베트남 전쟁'이라고 부르게 된다.
본격적인 전쟁의 시작은 보통 1964년 벌어진 통킹만 사건으로 간주하지만, 그 이전에도 양측은 1960년대초부터 서로의 후방에서 게릴라 침투 공작을 벌이며 국지적인 교전을 펼치고 있었다. 1964년 7월 말에는 라오스 왕국이 북베트남군에게 자신의 영토(호치민 루트)에서 나가라며 북베트남을 폭격했고, 베트남 공화국군북베트남 관할하의 혼메 섬과 혼니우 섬에 상륙해서 점령해 무력 충돌은 점점 심각해졌다.

1964년 8월 2일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린든 존슨 미국 대통령은 베트남에 대한 군사 개입을 본격화했다. 1964년 8월 5일 그는 북베트남 폭격을 지시했으며, 이것이 일명 피어스 애로우 작전이다. 미 해군 항공모함의 전폭기들이 북베트남 해군 어뢰정 기지와 석유저장시설에 폭격을 실시했다. 북베트남 해군의 대공포가 미국 해군 A-4 스카이호크 공격기 2기를 격추했다. 폭격 실시 2일 후에 미국 의회에서 통킹만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피어스 애로우 작전에 대한 보복으로 11월 1일 베트콩이 비엔호아 미국 공군 기지를 공격하여 4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부상당했다. B-57 폭격기 등 항공기 27대가 파괴되었으며 이후 이에 대한 다소 애매한 보복전 성격인 미군의 배럴 롤 작전이 벌어진다. 목표는 라오스에 존재했던 호치민 루트 타격이었으나 표면적으로는 라오스 정부군을 돕는다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다만 직접적으로 라오스 국경을 넘어서 폭격을 하는 것은 협정에 의해서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탄에 의존해서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공격했다.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를 틈타 베트콩이 미군 장교 막사를 연달아 폭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 과정에서 미국인 2명이 죽었다. 그러나 미군은 확전을 원하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보복전을 펼치지 않았다. 그러나 베트콩은 미군에 대한 일련의 보복전을 이어나갔다. 1965년 2월 7일 베트콩은 중부 고원 지대에 있는 미국 육군의 쁠래이꾸 기지를 습격해 미군 8명이 전사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미군 헬기 7대를 파괴했다. 이에 분노한 존슨은 6일 뒤 즉각 30대의 미 공군 전투기(A-1, F-100)를 동원해서 북베트남군 병영에 대한 공습을 지시했다(플레이밍 다트 작전 1).

사흘 후인 2월 10일 베트콩이 쿼논의 미군 기지를 습격해서 미군 23명이 전사했다. 미군은 다음날인 11일과 19일 보복 공습을 실시했다(플레이밍 다트 작전 2). 이어 20일 미군은 남베트남 공군과 합동으로 대규모 폭격을 실시하려 했으나 남베트남 내부의 정치적 소요로 작전이 4차례나 연기된 끝에 3월 2일에야 실시되었다. 이것이 롤링썬더 작전이다.

1965년 3월 미 대통령 린든 존슨은 다낭 공군 기지의 미군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미 해병대 2개 대대를 남베트남에 파병하고, 이어 2개 대대를 추가로 파병했다. 1965년 3월 8일 미 해병대 2개 대대가 다낭에 상륙했다. 당시 남베트남의 미군 사령관인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상당한 규모의 미군 병력이 주둔하지 않으면 '베트콩 전국 장악'이 1년 내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래도 이때까지는 국지전 수준에 머물렀고, 대규모 지상 전투 수준으로는 확전되지 않았고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미국은 북베트남을 위협해서 그들의 남베트남 합병 야욕을 저지해보려는 수준에 머물렀고, 전면전으로의 확전을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65년 3월 30일 사이공에서 미국 대사관 폭파 테러로 21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이 터져버리고 만다. 결국 사태는 돌아갈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고 베트남에는 헬게이트가 열렸다.

1965년 5월 초 연대 규모의 베트콩 부대가 푹룽성(省) 성도를 공격했다. 그들은 1960년대 초에 남베트남군과의 교전에서 노획한 무기들을 사용했다. 남베트남군은 적수가 되지 못했고, 베트콩 부대는 하루 사이에 도시를 점령하고 퇴각했다. 5월 말에는 베트콩 부대가 꽝응아이 근처에 있던 남베트남군 여단을 매복 공격하여 며칠 동안의 전투 끝에 남베트남군 2개 대대를 완전히 괴멸시키기도 했다. 1963년 압박 전투에서와 같이 남베트남군은 베트콩의 상대가 되지 못했고, 이는 결국 미 지상군이 투입되어 베트콩을 상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65년 11월 14~18일에는 두 번의 큰 전투가 플레이미 서쪽에 있는 남베트남의 중앙 고원인 이아드랑에서 일어났다. 이아드랑 전투가 바로 그것이다. 이아드랑 전투에 투입되었던 미군은 약 4일간의 전투에서 우수한 화력을 동원하여 북베트남군 1,700명 이상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지만 미군 또한 300명 이상의 사상자가 속출했다.[41]

7. 연합군 결성과 미군의 참전

초기에 양측은 보복전 수준의 국지적인 교전을 지속하며 전면전으로의 확전은 피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5년 3월 30일 베트콩이 사이공에서 미 대사관에 폭탄 테러를 가하여 상황은 순식간에 악화되었고, 본격적인 전쟁이 개시되었다. 미국 외에도 태국, 대한민국, 필리핀, 호주, 뉴질랜드가 전투병을 파병하고, 다른 서방 자본 진영 국가들은 비 전투병 등을 파병했다.[42]

당시 대만도 한국을 통해 참전 의사를 미국에 전달한 바 있다. 장제스는 베트남전쟁을 통해 본토 일부를 수복하려는 상세한 계획까지 짰으나, 미국은 대만이 참전하면 중국도 참전할 것을 우려해 거부했다. 그러나 이미 중국은 베트남에 지속적으로 무기지원을 하고 있었다. 다만 뒤에서 지원만 했을 뿐 직접 병력을 파견하지는 않았다. 선을 넘으면 자기들도 병력을 내보내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미국이 그 말을 지키자 자기들도 병력을 내보내지는 않았다.[43]

한편 중국과 소련을 위시한 공산권 국가들은 무기 원조[44]나 유격대 등으로 병력을 투입하게 된다.[45]
베트콩+북베트남(+소련, 중국, 북한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
VS
미국+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대한민국, 태국, 호주, 필리핀, 뉴질랜드 및 기타 연합군(제1세계)
쉽게 이야기하자면 이런 구도의 대결이었다. 우리가 흔히 베트콩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은 북베트남 정규군이 아닌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N.L.F.)과 기타 저항 세력들이다.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지키고 있는 지역에 베트콩의 기습+북베트남군의 공격이 벌어지는 양상이었다. 한편 남베트남 측은 제네바 협정에서 협약한 '1956년 남북 통합 총선'의 이행을 거부했다. 그 이유는 북베트남이 앞에서는 평화 공세를 하면서도 뒤에서는 남베트남을 해방시킨다는 미명 아래 남베트남에서 테러를 일으키고 폭력 투쟁을 선전, 선동했기 때문이다. 또한 호치민 루트를 통해 군수 물자와 베트콩을 계속해서 남파하고 있었다. 이렇게 겉과 속이 다른 화전양면전술을 구사하는 북베트남을 믿고 함께 총선을 할 수 없다고 남베트남은 판단한 것이다. 그리고 말이 총선이지 승패가 이미 결정된 선거에 뛰어들어서 패배할 바보가 어디 있는지? 총선을 하면 북베트남 측이 승리할 것이 거의 확실했다. 심지어 전쟁 발발 전까지 남베트남의 지도부는 "설마 전쟁이 일어나지는 않겠지" 하며 방심했다.

완고한 반공주의자였던 티우 대통령조차도 "지금 우리 정규군 병력이 58만입니다. 또 미국과의 방위 조약이 시퍼렇게 살아있고 북베트남도 북폭으로 거덜이 난 상태인데 저들이 침략할 힘이 남아 있겠습니까?"라는 발언을 하는 등 사태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의 머리 속에서는 북베트남은 경제가 부실하고 식량과 물자가 부족하므로 조만간 붕괴할 체제에 불과했던 것이다. 실상은 1963년 CIA의 사주를 받은 쿠데타 이후 티우와 다른 남베트남 장군들이 권력투쟁을 하는 동안 그 혼란을 이용해 베트콩이 남베트남 농촌에서 정치적으로 큰 지분을 차지한 지 10년이 되어가는 시점이었다. 평화협정 체결 이후에도 베트콩과의 전투로 매달 1,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북베트남군 주력은 DMZ 너머와 캄보디아-라오스 국경 너머에서 웅크리고 있었다.

한편 티우의 말에 맞는 말도 있는데, 북베트남 자체가 경제적으로 부실하고 식량과 물자가 부족하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도 그렇지만 예로부터 베트남에서 물자가 풍족한 곳은 남부지역이었다. 그렇기에 남베트남이 물자는 북베트남보다 풍부했다. 전장이 된 남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북베트남 역시 전쟁이 계속될수록 점점 궁핍해져 갔고 1975년 미군이 철수할 때쯤엔 진짜 그야말로 한계까지 온 상황이었다. 즉 누가 먼저 지쳐서 나가떨어지느냐의 데스매치였던 셈이다.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이긴 이유는 더 효율적이게 전쟁을 해서 그렇지 남베트남이 북베트남보다 가난하거나 무기가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니다.

7.1. 한국군 파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한국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대한민국도 전투 병력을 파병하게 된다.

대한민국 국군육군수도보병사단 맹호 부대와 제9보병사단 백마 부대, 그리고 대한민국 해병대 제2여단 청룡 부대가 주축이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소속 요원들도 일부 파견되었으며, 해군 UDT/SEAL도 그 당시 UDT였던 이름을 가지고 파병 되었다.

8. 전개

1965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쟁은 미 공군의 1966년 6월 29일의 하노이, 하이퐁 유류고 폭격으로 크게 확산된다. 7월 17일에 북베트남은 전 국민과 군대에 비상 동원령을 선포했고, 중국은 각종 전쟁 물자와 무기, 후방 기지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물론 1966년 1월에 중국, 소련 등 공산권 국가들에게 지원을 요청했기에 비공식적으로는 지원이 이루어져 있었지만 이 때부터 엄청난 물자와 장비가 전달되기 시작한다.

8월에는 남베트남 주둔 미군이 30여만 명으로 엄청나게 늘어나 있었으나, 미국은 10월에 발표한 참전 7개국 정상 회담 공동 성명 발표를 통해 전쟁의 조기 종결을 계획하고 있었다.

1967년 11월 3일부터 23일까지 베트남의 중부 고원 지대인 꼰뚬성에 있는 닥토에서 미군과 북베트남군 그리고 베트콩 사이의 교전이 벌어졌다. 당시 미군은 캄보디아 국경 지대에 있는 꼰뚬성의 닥토라는 곳에서 적의 병력,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채 화력과 기동력만을 믿고, 익숙지 않은 지형에서 작전을 펼쳤고 북베트남군은 거의 연대가 궤멸되었다. 미군은 우수한 화력을 동원하여 베트콩과 북베트남군 1,600명 이상을 사살했다. 20일 간의 전투에서 미군 또한 350명 이상 전사하고 헬기 40대를 잃었다. 닥토 전투 또한 이아드랑 전투에서처럼 미군이 우위를 점했지만 적잖은 사상자를 내고 끝이 났다.

9. 남베트남과 연합군의 패전 이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베트남/패망 원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남베트남에 대한 부적절한 개입

남베트남에서 실제로 지도자 위치에 오른 사람들은 하나같이 심각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고, 반드시 누군가의 견제가 필요했다. 남베트남의 민주주의 발달 미진으로 인해 내부 견제가 불가능한 만큼 지도자가 폭주할 때는 미국이 적극적으로 견제할 필요성도 있었는데 미국의 조치는 부적절한 일이 많았다.

1954년에 베트남국 총리, 1955년에는 공화국 대통령이 된 응오딘지엠은 여러 사람의 기대를 저버리고 1955년 후반기부터 독재자로 각성했다. 레꽝빈 같은 극심한 반정부 성향을 가진 종교파 군벌들을 적대하는 건 어쩔 수 없었을지 모르나, 이들도 엄연히 베트남 서부에서 나름의 세력을 가지고 베트민을 막아내던 인물들이니만큼 이들의 세력을 동맹 종교파 세력인 혁명위 인물들의 휘하로 편입시키려는 시도라도 했어야 하는데, 응오딘지엠은 그러기는커녕 동맹 종교파인 혁명위조차 권력 장악을 위해 쓸어버리기 시작했다.

수십 년간 남베트남 남서부에서 반공주의의 요새가 되었던 세력들이 친정부 반정부 세력 가리지 않고 쓸려나가면서 남서부는 베트콩의 자동문이 되어버렸다. 1963년의 틱광둑의 소신공양 사건으로 대표되는 불교계 대규모 탄압은 1963년에 갑자기 빵 하고 터진 것이 아니다. 이미 1955~1956년에 있던 종교파 종교, 즉 호아하오교와 까오다이교에 대한 탄압이 불교 쪽까지 확대된 결과물일 뿐이다.

종교파 숙청 이후로 응오딘지엠의 업적이 아예 없던 것은 아니다. 부패와 매춘을 금지했으며 경제성장을 이끌어 행정 부분에선 나름 성과를 내세울 만한 지도자였다. 그 증거로 응오딘지엠 재임 4년 만에 쌀 생산량은 200만 톤 넘게 늘고 고무농원은 거의 1,000개 가까이 늘었으며, 대단위의 유리공장과 직물공장이 남베트남에 들어섰다. 수산물 수출량도 크게 늘었다. 80만에 달하는 베트남 사람들의 존재로 경제가 위축되기는커녕 오히려 성장했다는 소리인데 이거 생각보다 대단한 일이다.

응오딘지엠이 베트남 남부에서 이런 성공을 일구고 있는 동안 호치민은 중공 고문단의 말만 듣고 유혈과 폭력이 난무하는 중공식 엉터리 '대약진 운동'을 시행했다가 정권이 결딴날 뻔 했다. 참다못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고, 이는 정규군 사단까지 동원한 초강경 진압으로 마무리된다. 이 때문에 호치민은 자아비판을 했고 반중성향을 가지기 시작한다.[46]

문제는 응오딘지엠은 군사 부분에선 문외한이나 다름없었고, 이게 문제가 되어 베트남군의 막장화에 일익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공산당과 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토지개혁에 미진하고, 남베트남군의 쿠데타를 우려해 장교 인사를 능력 위주로 하기보다는 친구와 친족, 가톨릭 교도들로만 도배했다.

그가 이런 것에 이유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가톨릭 공동체는 베트남 공화국에서 가장 對베트콩 조직화가 잘 되어 있었다.(뉴욕타임스 기사, 번역) 그러나 애초에 종교 자체가 공산주의와는 상극이었으니만큼 가톨릭이 아니라 다른 종교들도 반공 성향이 매우 강했다. 종교파의 양대 구성원인 까오다이, 호아하오교는 55년까지만 해도 훗날 베트콩의 침투로가 되는 남서부 지역에서 공산주의자들을 가장 강력하게 막아내던 세력이었기에, 무슨 종교든 간에 제대로 된 무장투쟁 조직화가 되어 있기만 하다면 반 베트콩 투쟁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두 종교 모두 지엠의 극심한 탄압에 그 여력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즉 가톨릭이 가장 잘 반공조직화된 종교였던 건 원래 그랬던 게 아니라 응오딘지엠이 나머지 반공 성향 종교들의 조직력을 박살내버린 결과물에 불과하다. 정규군을 다룰 때조차 군사적인 무능함은 여실히 드러나서, 베트콩과의 전투에서 사상자를 지나치게 많이 낸 장교들은 승진시키지 않는 등(작전이 성공적이었어도!) 책상물림 독재자의 전형적인 행태를 보여주었다.

즉, 남베트남 패망의 근원인 베트콩의 준동은 50넌대 중반에 이미 뿌리가 잡힌 것이다. 당장 반공주의 세력의 핵심 중 하나였던 까오다이교의 근거지였던 떠이닌 성이 60년대 중반 이후로는 베트콩이 드나드는 통로로 전락한 것만 봐도 이게 얼마나 심각한 실책이었나가 잘 드러난다.

이렇듯 응오딘지엠은 남베트남 패망의 근원을 만든 독재자가 맞았고, 미국도 이런 판단에 따라 1963년 쿠데타를 지원해 지엠 정권을 무너트렸으나, 역설적이게도 지엠이 무너진 이후로 남베트남은 오히려 더 깊은 수렁의 패배에 빠지게 된다.

그 이유는 바로 이미 응오딘지엠 외에는 제대로 된 반공주의 지도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1955년 초반 응오딘지엠의 대체재로 주목받던 찐민테는 배후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암살자에게 당해 사망했고, 바로 몇 개월 뒤 남은 종교파 지도자들은 권력 장악의 야망을 드러낸 응오딘지엠에게 숙청당해 체포당하거나 캄보디아로 도망쳤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지엠을 전혀 제재하거나 항의 한번 안 했고, 숙청당한 종교파 지도자들이 전부 캄보디아로 도망간 걸 보면 미국 쪽으로 망명시키지도 않은 모양이다.

즉 미국은 55년에 대체자들이 아직 존재할 때는 아무것도 안 해놓고, 8년 뒤 지엠 체제가 막장에 이르자 뒤늦게 대체재를 찾아 헤맨 것이다. 물론 제대로 된 인물이 남아있을 리가 없었다.

응오딘지엠 축출 이후 2년 만인 1965년 남베트남은 사실상 캄보디아나 아프가니스탄의 친소 공산정권과 유사한, 외국의 개입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는 무력한 괴뢰국이나 다름없는 상태에 진입했다. 추가로 미국은 남베트남의 고위 관료들이나 고위 군인들이 고분고분하게 굴지 않으면 막대한 뇌물을 제공해 부패시켰고, 이는 남베트남 정부의 전반적인 능력 저하와 남베트남 사회의 부패 풍조 만연, 그리고 무엇보다도 심각한 민심 이반을 유발해 패망에 일조했다.

전장에서의 전투만큼 후방에서의 정치가 중요했던 베트남 전쟁의 특수성을 생각한다면 미국 케네디 행정부의 응오딘지엠 제거는 자폭이나 다름없었다. 응오딘지엠 정권은 분명 문제가 많았으나 최소한 응오딘지엠 치하 남베트남은 괜찮은 치안과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를 갖춘 그런대로 살 만한 나라였다.

미국이 만든 실책은 몇 가지 더 있는데, 그중 하나는 전면 개입 결정 이후 베트남 공화국군을 철저히 불신해 미군기지 경비 같은 임무만 주고 전투 임무는 미군 주도 연합군이 떠맡도록 한 것이다. 남의 땅에서 남의 전쟁을 전적으로 하는데 미국민과 미군의 사기가 오를 리가 없었고, 이는 미국 내 반전 여론 확대로 이어져 베트남전 패전으로 이어진다.

미국의 오만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미군은 북베트남군이 보급로로 이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무차별적으로 폭격했고, 사용된 폭탄의 양은 태평양 전쟁 당시 쓴 폭탄의 양보다도 몇 배는 많다. 그래도 호치민 루트가 폐쇄되지 않자 국경을 넘어 라오스와 캄보디아에 미군과 남베트남군을 보내서 침공하기까지 했다.(물론 교전대상은 라오스군이나 캄보디아군이 아니라 라오스, 캄보디아 내의 북베트남군과 두 국가들의 공산반군들[47]이었다)이었다. 특히 미군이 캄보디아에 퍼부은 폭격으로 인해 20만 명의 캄보디아인들이 죽었고, 이 때문에 캄보디아에서는 반미 여론이 높아져 크메르 루주 같은 공산주의 세력이 크게 힘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건 소련의 아프간 침공과 동급으로 심각한 일로 라오스와 캄보디아 둘 다 비동맹 중립주의 노선을 추구하는 약소 중립국이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폭격 일지를 조작하고 언론을 통제해 자국민에게까지 이 사실을 숨겼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이 사실이 드러나자 미국민의 반전여론은 말 그대로 불타올랐고, 이는 남베트남의 패망으로 이어진다.

남베트남뿐만 아니라 라오스와 캄보디아도 북베트남과 중국이 이를 계기로 자국 내 공산주의자들을 본격적으로 지원하면서 공산화를 피할 수 없었고, 캄보디아의 경우에는 인류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대학살인 킬링 필드까지 겪어야 했다. 물론 라오스는 몰라도 베트남 전쟁 끝나고 캄보디아는 태국과 북베트남에 불신을 사고 특히나 친소정책을 펼친 북베트남에 배신 때려버렸다.

9.2. 호치민 루트구찌 땅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치민 루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찌 땅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군의 화력이 워낙 압도적이었던 까닭에 무리없이 상황이 종료될 거라고 미국 정치인들은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반대로 돌아갔다. 미 국방부는 전차와 비행기로 밀어붙이는 재래식 전쟁에는 익숙했으나 베트남에서의 게릴라전은 경험해보지 못했던 것이다.

국력상 북베트남보다 훨씬 우월했던 일본 제국을 정글전에서 떡실신시켰던 미군이 베트남에서는 유독 고전하는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베트남 전쟁과 태평양 전쟁이 치러진 장소만 비슷할 뿐 모든 상황이 달랐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다. 일단 일본군은 북베트남, 베트콩과 같은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는 군대가 아니라 미국과 같은 정규전을 수행한 군대였기에 베트남전과는 흐름이 전혀 달랐다. 그리고 일본군은 멀리 떨어진 일본 열도에서 배로 보급을 실어날라야 했기 때문에 미군이 제해권과 제공권을 차지한 이후로는 보급을 하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지만, 북베트남은 육로를 통해 중공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급을 계속 받을 수 있었다.

미군은 북베트남이야 신명나게 폭격을 해댔지만, 중국과 충돌할 것을 우려하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지대까지는 폭격하지 못했다. 북베트남 측에선 구찌 땅굴이라는 땅굴을 교묘히 이용하여 보급로를 숨겼던 데다 우거진 정글에서 정찰하고 표적을 식별하는 건 21세기 현재의 기술력으로도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북베트남군 역시 전투기나 대공포로 계속 반격을 한 탓에 폭격 효율이 쓰레기 수준이었다. 상황이 이러니 미군이 뭔 짓을 해도 북베트남군의 보급을 끊을래야 끊을 수가 없었다. 한국전에서 한 번 데였던 중국을 경계해 북베트남 본토로 진공할 수도 없었다. 아시아의 쌀농사 문화권의 인구밀도야 말할 것도 없고, AK 정도의 군수물자는 중공이 공급해 주니, 결국 베트남 인구 전체와 개인화기로 딱콩딱콩 싸워대는 전쟁이었다.

즉 거대한 나무의 뿌리를 냅두고 잎사귀를 하나하나 따서 말려 죽이는 꼴인데, 나무가 메말라 죽는 것보다 사람이 지치는 게 빨랐다. 그 나무에 비료를 주고 관리해주는 정원사(공산권)까지 붙어있었으니. 물이 틀어진 수도꼭지를 잠그는 대신 흘러나오는 물만 주구장창 닦는 모양새인 것이다.

정글은 녹색 사막이라 불릴 정도로 인구부양력이 매우 낮으니 시가지와 개간지를 점령하고 버티면, 정글 게릴라들은 닥돌하고 죽든가 굶어 죽든가 시한부 생명이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은 앞서 말했듯 미군이 적의 보급을 끊는 게 불가능했는데, 이 상태에서 베트콩들이 이미 태평양 전쟁에서 그 위력이 입증된 땅굴전술까지 이용하기 시작하자 미군은 끊임없이 피해가 누적되면서도 적의 화력을 유의미한 수준까지 줄이지 못했다. 그 땅굴 전술 중 가장 유명한 땅굴이 구찌터널이다.

구찌터널이 있는 지방의 흙은 처음에는 부드러워서 호미로도 쉽게 파낼 수 있지만 비 오는 날에는 흙이 굳어버리는데 전차가 지나간 자리에도 베트콩 지하기지는 무너지지 않았다. 지하기지가 있음을 안 미군은 입구를 찾기 위해 독일산 군견들도 동원했지만 되레 베트콩은 고춧가루를 여기저기 뿌리거나 미군들의 물품으로 후각을 잃게 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어떻게 입구를 찾아도 베트콩 지하기지의 입구는 체격이 작은 베트콩이 겨우 들어갈 수 있는 크기였기 때문에, 덩치 큰 대부분의 미군은 들어가지 못했다. 게다가 모양이 똑같은 가짜 출입구도 많아서 정확한 입구를 찾는 것도 어려웠다. 미군은 체격이 작은 병사들을 뽑아 땅굴쥐라고 불리는 땅굴 전담 특수부대를 동원하는 것으로 대응했으나, 베트콩은 교묘한 위장입구를 만들어 전갈이나 독사를 풀어놓거나 부비트랩에 개똥을 발라놓는 방식으로 맞대응했다. 베트콩 지하기지는 통로도 너무 좁아서 고작 권총 정도나 쓸 수 있었기 때문에 미군의 장점이었던 중화기가 무용지물이 되었고 땅굴쥐 특수부대의 소지품이래봐야 랜턴, 칼, 권총이 전부였다. 이런 상황이니 어떻게 정확한 입구를 찾아 터널 안에 들어가도 베트콩을 만나면 대응 방법이 없이 죽어야만 했다. 반면 한국군은 땅굴을 무서워하기는커녕 최루탄으로 대응했는데, 최루탄을 뿌려놓고 입구에서 기다리다가 못 참고 베트콩이 나오면 사살했다. 굳이 기어들어갈 필요 없이 침착하게 대응하면 된다는 것.

전투가 정글에서 펼쳐지는 탓에 전차 등 중장비는 제대로 활용할 수가 없고, 보병이 홀로 정글 속으로 들어가야 했다. 미군은 사단급 이상 대규모 작전에 익숙했는데 베트남의 정글에선 대규모 작전이 어려웠고 결국 중대급 이하, 소대단위 편제로 소규모 작전을 가장 많이 수행하게 되었다. 문제는 소규모 작전에선 즉각적인 포병화력이나 항공화력의 지원이 어렵다는 것이다. 베트콩은 땅굴 등을 통해서 자신들이 싸우고 싶을 때 나타나고 불리할 때는 숨어버리는 새로운 형태의 적이었다.
사실 땅굴 전술은 이미 일본군이 태평양 전쟁 말기에 써서 미군에게 가공할 만한 피해를 강요한 전술이었지만, 이 때 일본군은 제해권을 몽땅 빼앗겨 섬에 고립된 채 보급이 끊긴 상태에서 싸웠기 때문에 추가 보급이 없어서 전투가 진행되면 될수록 일본군의 화력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래서 이 정글의 나뭇잎, 풀들을 모두 없애기 위해서 사용한 농약이 현재 사용이 금지된 그 유명한 고엽제다. 미군이 고엽제와 폭탄으로 융단폭격을 해도 지하 3층 규모의 터널의 2층까지만 파괴가 되어 실효를 거두진 못했다. 결국 미군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구찌 터널의 규모조차 알 수 없었다. 나중에 알려진 바로는 총연장 230km에 수만 명에 달하는 베트콩들이 이 지하 터널 안에서 숙식을 해결했다는 것이었다.

이 새로운 전장과 새로운 형태의 전투 덕분에 미군 역시 새로운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방탄복을 입고 M16 소총을 든 미군이 UH-1 헬리콥터를 타고 정글로 들어가서 잘 보이지도 않는 적과 싸우는 전형적인 베트남 전쟁의 장면이 계속 펼쳐졌다.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은 몰래 캄보디아라오스 등지의 정글을 통과하는 도로를 만들어 북베트남이 베트콩을 지원할 수 있는 길을 만들었는데 이를 미국에서는 <호치민 루트>라고 불렀다. 당시 미국과 중국, 소련 등은 주변 국가인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중립으로 두고, 오로지 전쟁은 남베트남에 한정한다는 협약을 맺고 있었기에 이를 막을 수 없었다. 물론 암묵적으로 미국 특수부대가 양 국가에 있는 호치민 루트를 타격하고, 어마어마한 공군 폭격을 감행했으나 효과는 미미했고[48], 호치민 루트는 전쟁 내내 건재했다.

게다가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와 라오스의 파테트라오 등의 공산 반군이 호치민 루트 형성을 지원하고, 이들 두 국가의 정부는 이를 막을 능력이 전혀 없었다.

캄보디아의 노로돔 시아누크는 베트콩들이 땅굴을 파고 호치민 루트를 만드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눈감아주었다. 이에 불만을 가진 미국이 캄보디아의 군부에 공작을 벌여 시아누크 국왕을 쫓아내는 쿠데타를 일으킨다. 그러자 쫓겨난 시아누크가 선동하여 폴 포트의 크메르 루주 같은 공산계 게릴라가 준동해[49] 캄보디아의 정국은 더 혼란에 빠져버려 호찌민 루트를 막는 것은 더 어려워져 버렸다.(그 뒤 크메르 루주는 시아누크의 일가를 학살하며 통수를 친다)

라오스는 미군 병력의 직접적인 침공을 당하지는 않았지만 남베트남군이 람손 719 작전(Lam son 719)을 발동해 라오스 영내로 쳐들어갈 때 미군이 적극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에 거기서 거기였다.

남베트남이라도 정신줄을 잡고 있었냐면 절대 아니었다. 남베트남군은 아무짝에 쓸모가 없다는 말이 딱 맞았는데 한두 개 사단급 제대를 제외하면 사실상 있으나마나한 수준이었고, 그저 미국이 다 해주겠지 하는 안일한 정신으로 아무것도 하는 게 없었다.

물론 변호의 여지는 있다. 전쟁은 잘 몰랐을지언정 그나마 유능하고 강력한 초대 지도자였던 지엠 대통령은 미국의 사주를 받은 쿠데타로 황천으로 떠나고, 뒤따른 혼란으로 기회를 잡은 베트콩들은 광범위한 농촌에서 설치며 장병들의 가족들을 살해하고 고문하는 판인데 대부분의 장군들은 권력다툼에만 바쁜 상태에서 누가 제대로 싸우겠는가? 이는 미국이 남베트남군을 크게 불신해 적극적인 전투임무 대신 미군기지 경비 같은 임무만 맡기면서 더 악화된다.

미군은 대체로 남베트남군을 불신했고, 정말로 군인다운 일부를 제외하고는 푸대접했다. 더 막장은 미국에서 지원받은 무기들이 암시장에서 떠돌다가 북베트남군/베트콩의 손에 들어가는 일도 벌어졌다는 것. 정부군에게 빼앗거나 전장에 유기된 미국제 무기를 사용하는 베트콩의 존재는 미군의 전면적 개입 이전에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베트남화가 이뤄진 전쟁 말기까지 남베트남군은 꾸준히 미군 사상자와 거의 동일한 수치의 사상자를 냈다. 베트콩이나 북베트남군이 지형전술에 무지했던 미군과 약체인 남베트남군만 공격하기도 했고, 어쨌든 베트남 땅에서 벌어진 베트남인들의 전쟁이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베트민들은 사정이 다른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싸우기 때문에 베트콩과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군과 미군보다 더 골칫거리였다.

9.3. 북진 금지

아무리 남베트남이 막장 중의 상막장이고 힘든 전투환경이라지만 군사력이 세계 1위인 미국이 압도적인 전력 차의 북베트남을 못 이길 이유는 전혀 없었다. 그러나 미군의 교전 대상은 북베트남이 아닌 남베트남 내의 베트콩 세력이었고, 미군의 신분 역시 <남베트남 정부의 요청에 의한 인도적 원조군>이라는 애매한 신분이었으며 "북베트남을 직접 공격하면 소련이나 중국이 끼어들어 제3차 세계 대전이 벌어짐"[50]이라는 입장이었던지라 무슨 일이 있어도 북베트남 영토로 지상군이 진입하지 못하게 하던 상황이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자면 방어는 하되 공격은 하지 말라는 소리다. 공격이 되어야 상대방의 근원[51]을 부술 텐데 그랬다간 일이 커지니 그럴 수가 없었다. 그래서 롤링썬더 작전 등의 북폭이라 불리는 항공 공세 작전을 수 차례 했지만 북베트남을 결정적으로 쓸어버리지는 못했다.

반면 북베트남은 수십 년이 걸려도 남베트남을 어떻게든 무력으로 합병할 목표를 세운 상태였기에 미군은 무슨 짓을 해도 이길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린 것이다. 만약 북베트남이 혼자 상술한 목표를 세웠다면 어느 날 국력이 모두 소진되어 역관광을 당했겠지만 북베트남은 중국, 더 나아가서 실제로 미국이란 강력한 항공전력을 보유한 나라와의 전쟁 수행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소련의 적극적인 군사 원조를 받았다. 더구나 북베트남의 북부 영토는 중국과 맞닿아 있었기 때문에 오폭 시 중국을 폭격하게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북부 국경 지대는 애초에 폭격 불가. 이래서야 중국 국경을 통해서 들어오는 물자 지원을 끊을 수가 없다. 그 외에 하이퐁 등 북베트남의 주요 항구에 대규모로 기뢰를 살포했고, 이 자체는 효과를 보긴 했지만 전쟁의 전체 판도를 바꿀 수준은 아니었다. 즉 폭격을 통해 북베트남의 전쟁 의지를 근본적으로 무력화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애초에 베트남전 자체가 남베트남 정부에 대항하는 공산 반군 토벌이 목적이었지 북베트남을 지우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남베트남 정부가 무능했기에 민중들이 게릴라전을 하는 상황에서 북진을 한다고 해서 베트남에서 공산 반군이 사라지는 결과가 곧장 나오진 않으며, 북진을 해서 북베트남을 지운다 하더라도 주변에 공산주의 및 3세계 국가들이 그대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 아무리 미군이라 할지라도 넓디 넓은 베트남 국경을 무한정 무기한 틀어막지도 못하기 때문에 남베트남 정부가 제정신을 차리고 알아서 잘 하지 못하는 한 그냥 미국-아프간전의 미리보기가 될 뿐 어차피 북진을 한다고 해서 승리할 수도 없는 전쟁이었다. 아프간전이 북진을 못 해서 진 게 아니듯 말이다.

9.4. 수렁

처음부터 이 전쟁은 미 육군이 북위 17도선을 넘어서 북베트남으로 진군하기 전에는 승전으로 끝나는 것이 불가능했고 사실 북베트남으로 진군해도 못 이기는 전쟁이었다. 호치민 루트의 존재, 남베트남의 막장 상황, 북베트남으로 진입 금지 등 여러 가지 제약이 걸린 상황에서 미국은 북베트남군 주력 부대의 전쟁 수행 능력도 무력화시키지 못하고 끌려다니기만 했다.

남은 것은 강화 협정. 더 이상 피해를 감당하지 못하게 된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에 나오게 유도하는 것이다. 혹은 북베트남 사람들이 전쟁의 피해로 인해 북베트남 정권에 대한 불만을 품고, 이것이 반전 여론으로 이어져서 내부 분열로 인해 전쟁을 관두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그마저도 실패했다. 이것은 미군이 패배한 가장 결정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북베트남의 전쟁 의지를 꺾어놓을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호치민의 발언처럼 북베트남의 적화 통일에 대한 의지는 확고했고, 전면 침공이 아닌 간헐적인 공중 폭격만으로 북베트남 정권 수뇌부들의 전쟁 수행 의지를 꺾기는 힘들었다. 폭격만으로 북베트남의 전쟁 의지를 꺾으려면 태평양 전쟁 당시 도쿄 대공습 수준으로 북베트남을 불태우고, 갈아 엎어버리는 방법 밖에 없었는데 소련제 무기로 촘촘히 구축된 북베트남의 방공 전력은 미군에게는 커다란 부담이었다. 소련은 미 공군과는 무슨 짓을 해도 공군과 전투기 생산을 통한 전면전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은 일찌감치 알고 있었다. 그렇기에 소련은 방공용 지대공 미사일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방공망의 감지/요격 능력이 미국보다 더 발전하게 된다. 이 발전된 방공망이 도배됐다는 것은 미 공군 역시도 만만찮게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미국은 이렇게 뻔히 보이는 막대한 피해를 무릅쓸 이유가 없었다. 무엇보다 그런 대학살을 벌일 명분이 없었다. 이미 전쟁의 정당성을 잃은 미국이 북베트남을 정말로 갈아엎었다간 친미 우방국들조차 등을 돌릴게 뻔했다. 미국 국내의 반전 여론은 말할 것도 없다.

게다가 북베트남의 내부 통제력 또한 남베트남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했다. 미군은 특수부대를 이용해서 북베트남 내의 반공 세력이나 소수 민족 세력을 포섭, 북베트남 정부에 대한 반(反) 정부 게릴라 활동을 시도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전쟁은 북베트남의 지속적인 지령과 지원을 받은 베트콩들의 일방적인 게릴라전으로 흘러갔고, 미군은 이길 수 없는 전쟁에서 질식되어간다.

9.5. 사기 저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미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북베트남의 구정 공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정 공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68년,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이 설 연휴 동안의 관습적 휴전 기간에 미리 잠입한 병력을 통해 남베트남 주요 대도시에 동시 다발적인 선제 공격을 감행한 사건이다. 베트남어로는 Sự kiện Tết Mậu Thân, 영어로 Tet Offensive이기 때문에 테트 공세로도 알려져 있다.

구정 대공세는 베트남 전쟁의 운명을 가른 사건이었다. 베트콩들은 남베트남의 주요 기관들을 공격했으나 끝내 실패했고, 도리어 처참하게 대패를 당했다. 그러나 주베트남 미국 대사관 1층이 베트콩에게 공격당하고 점령당하는 모습이 TV를 통해 미국에도 생중계가 되었다. 그래서 미 지상군이 베트남에 상륙한 시점부터 '압도적으로 이기고 있다.'라는 언론의 보도가 거짓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미국인들에게 심한 정신적 충격을 주었다.

즉 군사적으로는 그동안 보존했던 게릴라 전력들을 요새화된 거점들에 꼬라박는 대패였지만, 정치적으로는 대사관에 발 한짝 담그는 사진 한 장 건진 것으로 대승했다.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반전 여론이 고조되었다. 구정 공세 이전인 1967년 12월까지 베트남 전쟁에서 전사한 미군은 대략 20,000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미국 기자들은 확인도 없이 즉각 송고를 해버렸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훗날 걸프 전쟁 때 자국 내 언론인들을 전쟁 지역에 철저히 출입 금지한 것도 거짓 여론 때문이다. 단 미라이 학살은 구정 공세와 달리 송고 전 검증을 했다.

물론 미 지상군이 베트남에 상륙했던 1965년 시점부터 일부 학생들과 시민들이 주도한 베트남 전쟁 반전 운동이 있긴 했다. 그러나 전쟁이 점차 수렁텅이에 빠지고 1968년 구정 공세 당시의 여러 장면들이 방송을 통해 전파되자 반전 운동이 격화됐다. 자세한 내용은 구정 공세 문서 참고. 북베트남군은 이 당시 후에 대학살을 자행한 바 있다.

11. 케산 전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산 전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정 공세 기간 중 최대 격전지.

11.1. 케산 전투와 구정 대공세를 포괄한 배경 및 영향

케산 공세는 대놓고 디엔비엔푸를 흉내낸 것에 알 수 있듯이 미군에 그 공포를 심어주는 것이 목표였고 성공했다. 실제로 미국의 매스컴들은 구정 공세로 불타는 대사관만큼이나 포위된 케산이 제2의 디엔비엔푸가 될 것인가를 두고 논쟁을 벌였으며 게릴라전이나 벌이던 북베트남군이 이제는 미군을 포위 섬멸하는 시도를 할 정도로 나오게 된 것에 대한 공포를 드러내게 되었다. 결국 대통령은 "핵이야기는 하지 말아달라"고 사령관에게 부탁하고 사령관인 웨스티 모얼랜드는 케산과 디엔비엔푸는 다르다고 해명하느라 진땀을 빼게 된다.

그리고 이는 구정 공세와 같은 맥락에 있었다. 애초에 구정 공세와 케산 전투는 모두 전술적으로는 실패한 전투라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왜 같은 시기에 시도되었는가에 대한 해답은 시기에 있다. 1968년. 이는 바로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였다. 북베트남은 미국의 존슨 행정부를 엿먹이기 위해서 그리고 반전 운동을 강화하기 위한 전투를 벌인 것이다. 보응우옌잡이 말한 "우리는 전투에는 몇 번 진 적이 있지만 전쟁에는 단 한 번도 진 적이 없다"라는 말이 바로 이것이다. 북베트남군은 전쟁과 정치를 동시에 실행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미국 내 언론과 여론 그리고 남베트남의 여론은 완벽한 기습을 당한다.미국은 당시 "전쟁은 이제 막바지로 치닫고 있으며 우리의 승리가 확실하다."라고 선전을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불타는 미국 대사관과 포위된 케산 요새는 대단히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사상자도 급증하여 2월 18일 주월 미군사령부는 전체 전쟁 기간 동안 주간 피해로는 최대인 542명 전사, 2,547명 부상을 공포했다.

여기에는 명분 문제도 포함되는데 북베트남 입장에서야 이건 독립과 통일 전쟁이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개막장 남베트남을 도와주는 방어 전쟁이었던 것이 컸다. 이 때문에 기존 베트남 전쟁 찬성 측마저도 구정 공세 기간에 20% 가량이 반대로 돌아서는 등 전쟁 혐오와 반전은 미국 전체를 거세게 몰아갔다.

그리고 린든 존슨이 대통령 재선 불출마[52]와 함께 북폭의 중단을 선언하고 북베트남 측에 협상을 요구하면서 베트남 전쟁은 지루한 협상과 전쟁의 마지막 진창으로 넘어가게 된다.

구정 공세 시기 1달간의 공격 기간 동안 북베트남군과 베트콩 30,000명 이상이 죽었던 데에 비해 미군 2,000명이 사망했고 3,0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나왔다. 참고로 1968년 기간 동안 전사한 미군은 총 16,000명이 넘는다. 이는 1965~1967년까지의 미군 사상자 숫자와 거의 맞먹는 수준이다.[53]

12. 남베트남의 패배와 북베트남의 승리

12.1. 반미반전(反美反戰)

미국 내에서 반전 여론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이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게 되었고, 결국 1969년 1월 대통령에 취임한 직후 남베트남에서의 단계적인 철군을 발표했다. 게다가 반전 여론과 경제 인플레이션 및 재정 적자로 인해 아시아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을 대폭적으로 감축시키겠다는 요지의 "닉슨 독트린"이 발표된다.

닉슨 독트린으로 인해 아시아의 군사적/정치적 상황은 급변하게 된다. 남베트남은 말할 것도 없이 한국과 북한에서도 긴장이 흐르게 되어 각각 강력한 독재 체제를 구축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또한 미국은 중국과 대립하는 노선에서 선회하여 친중적인 노선으로 바뀌게 된다.(핑퐁 외교)[54]

1969년 9월 2일에는 북베트남의 초대 주석이자 베트남 독립의 아버지였던 호찌민이 지병인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하지만 호찌민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레주언, 똔득탕, 반띠엔중, 보응우옌잡 등 그의 뒤를 이은 북베트남의 2세대 지도부와 생전 호찌민을 따르던 북베트남군의 장군들도 전쟁을 계속 수행하면서 베트남 전쟁은 호찌민 사후에도 이어졌다.

구정 공세 이후 미국 내에서 반전 운동이 격화되었고, 이는 리처드 닉슨이 대통령이 되고 난 뒤에도 지속되었다. 1969년에는 미군이 저지른 민간인 학살 사건인 미라이 학살의 진상의 밝혀지고, 1970년 5월 4일 닉슨 정부의 캄보디아 침공에 반발하여 생긴 미국 오하이오 켄트 주립대학교 시위에서 주방위군의 발포로 인하여 4명이 죽고 9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일어나 미국 국내의 반전 여론을 더 격화시켰다.

12.2. 파리 강화 협정

미군은 1969년부터 순차적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1971년 말이 되자 지상 전투 부대는 대부분 떠났으며, 1972년 3월 북베트남군의 춘계 대공세가 일어날 때 미국은 지상군 재파병이 아닌 공군과 해군의 항공력을 재소집하여 대응하고, 지상군은 그대로 철수시켰다. 부활절 공세 당시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중국과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전차와 장갑차 수백대를 동원하여 남베트남 전역에서 공격을 감행했지만 미군의 공군력에 밀리고 말았다.

1972년 닉슨이 재선에 성공하고 단계적인 철군은 계속 이어진다. 곱게 철군하기 싫었던 닉슨 정부는 1972년 12월 18일부터 29일까지 11일 동안 하노이와 하이퐁을 비롯한 북베트남의 대도시에 또 한 번의 대규모 폭격을 감행했다.

1973년 1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미국은 파리 강화 협정을 체결하고, 미국은 남베트남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된다.[55] 그래서 헨리 키신저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다.

한국군도 1972년 안케패스 지역에서 대규모의 전투를 치른 것을 마지막으로 1973년 3월 남베트남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1972년 당시에는 남베트남에 주둔하던 한국군의 숫자가 미군보다 많았다.

파리평화협정이 체결된 후 영국, 일본, 서독, 프랑스 등 상당수 제1세계 국가들은 앞다투어 북베트남과 수교를 맺었다.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났으니 북베트남의 외교관계를 수립하는데 미국과 남베트남의 눈치를 볼 필요가 더 이상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 때 미국은 체면치레를 위해서 핵 위협을 했다. 이 과정에서 나온 표현이 바로 출구전략으로, 핵 위협을 통해서 덜 쪽팔리는(...) 모양새를 만든 것. 물론 소련도 핵을 가진 상황이었고, 전쟁을 끝내려는 마당에 핵전쟁을 벌이기는 싫었으므로 일단 위협만 하고 당연히 사용하지는 않았다.

12.3. 1973년 미군 철수 이후의 베트남

무주공산(無主空山). 미군이 없어도 남베트남의 표면적인 군사력은 굉장히 강력했으나, 그 강력한 군사력의 태반은 작동 불능 상태였고, 쿠데타까지 준비가 되어가는 남베트남은 북베트남에게 있어서 빈 땅이나 마찬가지였다. 북베트남은 앞에서는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뒤에서는 남베트남을 재차 침공할 준비를 했다. 소련과 공산권으로부터 Mi-8 무장헬기, BMP-1 보병전투차, ZSU-23-4 쉴카 자주대공포, S-125 지대공 미사일 등과, 보병장비로 탠덤탄두 장착형 RPG-7V 대전차 로켓포, RPK, PK 경기관총 등의 신무기까지 잔뜩 공급받은 북베트남군은, 침공 준비를 마치고 1975년 1월 시험삼아 푹룽성(福隆省)을 공격하여 점령 한 뒤 1975년 3월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을 대대적으로 침공한다.

미국은 이왕 도와준 놈인데 그냥 손 빼기는 좀 찝찝했는지 철수하면서 남베트남에게 많은 수의 무기를 공여했다. 남베트남이 그거 갖고 잘 싸우라는 거였는데... 1975년에 북베트남군이 쳐들어 오자 대부분은 제대로 저항도 못해보고 박살나버렸다.

결국, 남베트남군은 대패했고 북베트남군은 공여한 미군 무기를 노획하여 남베트남군을 역공하는 사태까지 갔다.# 훗날 노획된 미군 무기는 북베트남이 역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에서 잘 써먹었다.

사실 미국이 무기는 줬지만 이 무기들의 유지를 위한 예산 비용을 주지 않았다. 그 결과 남베트남군은 일상적인 전투에도 지장을 받을 지경이었다. 일례로 미군 철수 전에는 전투 한번에 100발을 쏘던 포대가 단 3발만을 쏠 수 있었다. 특히 유지 보수에 민감한 공군의 타격이 커서 전투기는 많았지만 부품과 기름, 탄약이 없어서 제대로 출격할 수 없었다. 급기야 C-130 수송기에서 폐유 드럼통과 폭탄을 함께 투하할 지경이었다.

게다가 본래 공산주의자로서 군 내에 위장 잠입해 있던 F-5 전투기 조종사가[56] 남베트남 총통부 청사에 폭탄을 떨구고 북베트남에 귀순하기도 했다. 조종사들이 출격을 위해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그래서인지 남베트남이 멸망할 때가 닥치자 태국이나 말레이시아까지 날아가 망명한 조종사들이 수십명이다. 공군참모총장이자 전 부통령 응우옌까오끼의 탈출 명령이 있었다고 한다. 귀중한 조종사와 전투기를 공산주의자에게 넘겨줄 수 없다고 생각했다든가.

해군의 상당수 역시 남베트남이 멸망하기 직전 필리핀으로 도망쳤다. 남베트남 해군 함선들은 필리핀 해군에게 양도되었다.

보병들은 미군을 따라서 싸운 경험이 남아있었는지 공군 지원 없이는 한 발도 못 움직인다는 식으로 행동했다. 1975년 3월 초에야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은 더이상 지탱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고 전국에 흩어진 군대를 재배치해서 좀 더 버텨보려고 시도했으나 이게 잘못되면서 오히려 패망을 앞당기는 자충수가 된다.

남베트남 국민들은 쿠데타며 정권싸움에 질렸는지 북베트남군이 진격해 오는 것을 오히려 환영했다. 1975년 3월 18일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남베트남군의 주요 거점지인 부온마투옷을 점령했고, 남베트남군의 주력 부대가 위치한 동부 해안 지대로 공세를 퍼부을 수 있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의회에 9억 7,200만 달러의 남베트남 지원 예산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의회는 더 이상의 예산 지원은 용납되지 않는다고 거부했다. 물론 남베트남군이 무능력했던 면도 있긴 했으나 그 밖에 지휘 체계의 붕괴와 전략, 전술적인 문제도 상당히 컸다.

보급과 병참이 여의치 않았던 데다 북베트남군의 대공세에 남베트남의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 내린 무모한 철수 작전으로 인해 피난민들과 군이 뒤섞이는 대혼란에 빠지면서 일개 야전군이 북베트남군의 공격에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궤멸되어버렸다. 이 철수 작전의 문제점은 대규모 철수작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령관은 그 자리에 없었고 사령관 대리는 막 진급해서 별을 단 여단급 지휘관에 불과했다는 것이었다. 여기에 더해 보안을 유지한답시고 철수 작전 자체가 부대장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도 않았다.(...)

이 재배치를 틈타서 호찌민 루트로 우회해서 진격한 북베트남군에 의해 이후 1, 2군단이 통째로 붕괴되고, 북부 해안 지역과 중부 고원지대가 넘어가면서 남베트남은 막장으로 치닫게 된다. 결국 1975년 3월 25일 응우옌 왕조의 고도 후에가, 29일에는 중부에 고립된 남베트남군 최대의 기지 겸 도시인 다낭이 함락되고 남베트남군은 궤멸당한다.

그리고 후에와 다낭이 함락된 지 고작 며칠 후인 4월 1일 꾸이년나짱 등 중부 해안 지대까지 함락당하면서 남베트남 영토의 60%가 북베트남에게 넘어가 버린다.
이런 상황에서도 수도 사이공에서는 정치 투쟁과 쿠데타 음모가 펼쳐지고 있었다.

12.4. 적화통일과 기나긴 전쟁의 종식

파일:external/i.telegraph.co.uk/April-30-1975-tank_1626541i.jpg
<rowcolor=white>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의 대통령궁으로 진입하는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콩)의 T-54B 전차[57]
그 와중에도 레민다오[58] 준장이 지휘하는 5,000명 남짓의 18사단은 소수의 증원 병력으로[59] 사이공 북동쪽 60km 지점에 있는 소도시 쑤언록에서 1개 군단, 45,000명 규모의 북베트남군의 공세를 4월 9일부터 21일까지 무려 보름 동안 막아내는 저력을 보였다. 이 전투는 사실상 이 전쟁 마지막 국면에서 벌어진 유일한 정규전이었다. 당시 북베트남군을 지휘하던 반띠엔중 장군은 "내 인생에서 가장 힘든 전투"라고 회고할 정도였다. 그래서 사이공에서는 축제 분위기가 되살아났다.

하지만 북베트남군은 병력을 7개 사단으로 늘려서[60] 2차 공세를 감행했다. 주변 지역부터 제압당해 보급로가 끊기고, 포위당한 18사단은 결국 3군단 사령부의 명령을 받아 21일 부로 쑤언록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1개 사단이 아무리 분투한들 이미 기울어진 전세를 되돌릴 수는 없었고, 이 전투는 남베트남군이 불태운 마지막 불꽃 이상은 되지 못했다. 18사단은 이후 사이공 동부 방어선에 배치되어 끝까지 싸우다가 사이공이 함락되던 날 항복하고, 사단장 레민다오 준장은 생포되어서 포로가 된다.

쑤언록이 함락된 4월 21일에는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이 하야하고 곧바로 남베트남을 탈출한다. 이후에 4월 30일에는 결국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까지 함락되었다. 미국이 영국과 프랑스, 중국과 소련까지 동원해가며 맺었던 파리 강화 협정은 휴지 조각이 되어 버렸다.

전쟁의 막바지에는 공산화가 코앞인 남베트남에서 탈출하려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미국을 비롯한 대한민국 등 제1세계에서는 베트남 전쟁의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프리퀀트 윈드 작전을 입안했다. 남베트남을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경우에 대비하여 세운 작전의 일환이다. 흔히 프리퀀트 윈드 하면 당일 새벽 미국 대사관 철수 작전을 떠올리지만 이것은 최종 탈출 작전인 옵션 4이며 프리퀀트 윈드 작전은 옵션 1~4로 구성되었다.

옵션 1은 떤선녓 공군 기지 및 남베트남의 다른 공항을 통해서 민항기로 공중 수송하는 것이었다.

옵션 2: 군용기로 공중 수송.

옵션 3: 사이공 항만을 통해서 해상 수송.

옵션 4: 최종 계획으로서 헬리콥터로 공중 수송.

일단 작전이 수립되자 비행기편 및 선박편을 통해 자국민들을 남베트남 밖으로 피난시키고 있었으며, 한국 역시 베트남에 있던 한국인들을 데려오기 위해 대한민국 해군 LST 2척을 파견했다. 이들 LST들은 공식적으로는 소개 목적이 아니라 구호품 전달 목적으로 출항했다. 그래서 도착하여 구호품 전달식도 거하게 치르고 사진도 찍었다.

그런데 상황이 악화되자 해군 본부에서는 다 내던져도 LST 선박이라도 탈출시키라고 한 시간 단위로 전보를 보냈다. 그러나 LST 함대 사령관의 독단으로 교민 철수 작전을 지시한다. 문제는 교민들 상당수가 돈을 벌기 위해 왔던 불법체류자였다는 것. 그런데 남베트남 측에서 한국 대사관에 뜻밖의 제안을 하는데 남베트남의 VIP 500명을 수송해주면 비자 검사 안 하고 한국인들을 보내주겠다는 것이다.

결국 동의하고 수송 작전을 시작한다. 한국 교민들은 웬만큼 다 태웠는데 남베트남의 VIP는 가족을 제외하고 본인만 150명밖에 안 왔다. 상황이 너무 급박하여 한밤중에 그냥 출발했는데 먼저 출발한 수송선은 한밤중에 불을 전부 켜두고, 베트남인들을 전부 위에 올려 "너희 나라 사람들이니 죽일 테면 죽여라!" 하는 식으로 북베트남군들이 장악한 수로를 탈출하여 나왔고, 3시간뒤에 출발한 2번째 수송선은 반대로 불을 다 끄고 플래시 하나로 물길을 보면서 탈출했다. 남베트남 측에서는 VIP를 다 안 태웠다고 정선하라! 안 그러면 나포하겠다! 하며 협박하는 상황이었고, 출항 후 북베트남 해군 YTL이 위협적인 기동을 하며 다가오자 중기관총을 사격해 쫓아내는 등 위험한 상황이 이어졌다. 이들이 출발한 항구는 다음날 폭격당했다. 그러나 대사관 직원 15명은 본국의 훈령을 어기고 탈출을 거부하여 남았다.

그러나 긴 전쟁 기간 동안 나름대로 베트남 사회에서 자리를 잡은 민간인들은 자신의 재산을 놓고 떠나기를 주저했고, 설상가상으로 4월 28일 떤선녓 공군 기지가 폭격당한 후에는 비행기편을 통한 탈출이 불가능해져 버렸다. 주베트남 미국 대사 그레이엄 마틴은 비상 시 미국 대사관 직원 및 미국인 그리고 호주, 영국, 태국, 싱가포르, 프랑스 등을 비롯한 동맹 국가 시민들을 탈출시키기 위한 프리퀀트 윈드 옵션 4를 요청하고, 이것이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마지막 군비 지출이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igon-hubert-van-es.jpg
미국 국제 개발청 직원 숙소 옥상 LZ로 몰려드는 사람들.
미국 대사관으로 흔히 잘못 알려진 사진이다.[61][62]

4월 29일 오전 11시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최종 단계인 옵션 4가 발동, 떤선녓 공항 내 DAO 및 미 대사관의 LZ(Landing Zone) 등 사전에 선정된 LZ를 통해 미국인과 동맹국가 시민의 탈출이 개시된다. 29일 저녁까지 사전 탈출 대상자로 지정된 5,000명의 사람이 전원 탈출을 완료하고 DAO를 비롯한 시내의 LZ가 폐쇄되어 마지막 탈출구는 이제 미국 대사관 옥상만이 남았다. 미국 대사관으로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하려는 미국인들과 주로 유산 계층이나 남베트남에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 베트남인 및 소수의 일반 베트남인들이 몰려들어 아비규환을 이루었다.[63] 말 그대로 소리없는 아우성 그 자체다.

4월 30일 새벽 5시 헬기편으로 주베트남 미국 대사 그레이엄 마틴을 포함한 2,100여 명의 피난민이 탈출했고, 2시간 후 대사관을 경비하던 미 해병대 병력 11명 역시 대사관에 걸려 있던 성조기를 내려 챙기고 탈출 헬기에 오르며 주베트남 미군의 베트남 전쟁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종료와 함께 그 종지부를 찍는다. 남베트남의 붕괴 당시 프리퀀트 윈드 작전을 포함한 미국의 철수 작전, 그리고 자발적으로 탈출에 성공한 남베트남 국민은 총 13만 8869명이었다.

이 작전 중 주베트남 미군은 총 78대의 헬기를 동원했는데 남베트남 육해공군 조종사들도 헬기나 경비행기 등을 몰고 베트남 앞바다의 미 해군 함대로 날아오며 계속 피란민들이 몰려들었다. 미 해군은 이들 항공기들을 계속 받아 줬는데, 나중엔 착함할 자리가 모자라 바다에 헬기를 버리기까지 했다. 개중엔 남베트남군 치누크 조종사들이 가족 등을 태우고 바다로 탈출하던 중 발견한 미 해군 함정에 접근했는데, 치누크의 크기에 비해 착함할 공간이 작아 사람들을 헬기 갑판에 뛰어내리게 한 다음 조종사는 치누크를 바로 옆 바다에 불시착시키고 탈출해 구조된 경우도 있었다. 고정익기들은 모두 착수 후 구조되는 식으로 탈출했다. 물론 민간에 구조된 민간인 대다수는 배를 이용해 바다로 탈출한 사람들이었다.
파일:사이공 함락.jpg
<rowcolor=white> 사이공 대통령 관저를 점령한 북베트남군들
그리고 4월 30일 정오경 북베트남군이 사이공 대통령궁에 진입해 금성홍기를 게양하고 즈엉반민 대통령으로부터 항복을 받으면서 수도 사이공이 함락되었다. 부온마투옷이 함락되면서 남베트남 몰락의 포문을 연지 겨우 55일 만이었다.

수도 사이공이 함락될 무렵 껀터 등 메콩강 삼각주 일대에서는 남베트남군 4군단이 아직 살아남아 저항을 이어가고 있었다. 4군단 사령관 응우옌콰남 소장과 부사령관 레반흥 준장은 사이공과 연계해 게릴라전을 벌여 북베트남군에게 피해를 입힌 후 메콩강 삼각주 만이라도 간수할 수 있도록 휴전협상을 이끌어내려 했으나 사이공이 함락되었으며 북베트남군에게 항복하고 무장을 해제하라는 즈엉반민 대통령의 명이 전해지자 부대를 해산한 후 자결했다. 2군단장 팜반푸[64] 소장, 제5사단장 레응우옌비 준장, 제7사단장 쩐반하이 준장 역시 사이공 함락 소식을 전해듣고 부대를 해산한 후 자결했다.

그리고 5월 3일까지 북베트남이 남베트남 전역의 장악을 완료하면서 기나긴 전쟁은 종결된다. 북베트남군과 북베트남의 지도부들은 최소 1976년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던 전쟁이 고작 4개월 만에 끝나버리자 놀랐다.

그리하여 남베트남에서는 베트콩이 정권을 잡고 이듬해인 1976년 북베트남과의 통일을 선언하고 통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비극적인 예상대로 또는 야심찬 의도와는 반대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절반이 적화되었다. 캄보디아와 라오스마저 적화되어 버린 것이다. 의외로 쿠데타가 밥 먹듯이 일어나던 태국이 적화되는 일은 없었다. 단, 태국의 경우는 원래 막장 국가급은 아니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태국은 라마 9세라는 강력한 왕을 중심으로 단결이 잘 되어있는 왕국이었고 지금은 아니지만 196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태국은 한국보다 잘 살았다. 미국이 악몽스럽게 생각했던 인도의 공산화도 발생하지 않았다.[65] 인도는 친 소련이지만 미국과도 무난한 관계를 가졌고 반중적인 입장이 된다.

미군은 베트남에서는 철수했다. 그러나 1년 뒤 북한이 일으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때는 함모 전단을 끌고 와서 위력을 과시한다.[66]

대만도 마찬가지로 대한민국보단 막장도가 덜했지만 중국이 대만을 무력점령을 할 경우 다음 표적은 한국 일본 필리핀등 마음놓고 침공하고 해상을 드나들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은 무조건 위력을 과시한다. 이 당시 탈출하지 못한 남한 교민 100여명과 중앙정보부 출신 이대용 공사 등 주베트남 한국 대사관 직원들과 대사관으로 피신해 와 있던 교포 등은 굶주려가며 북한으로 납치당할 두려움에 시달렸는데, 종전 직후엔 북베트남 측도 정신이 없다 보니 대사관 직원들을 그냥 방치해 두고 있었다.

대사관 밖으로 나가면 사로잡힐 것이란 공포 때문에 대사관 안의 식량이 소진되어도 섣불리 식량을 사러 가지 못하고 있었는데, 한 직원이 "베트남 사람들은 프랑스인들한테 하도 당해서, 지금도 프랑스인들을 무서워 한다. 트럭에 프랑스 국기를 꽂고 다니면 아무도 손을 못 댈 것이다."라는 제안을 했고, 실제로 프랑스 국기를 단 트럭이 지나가자 아무도 시비를 걸지 않고 순순히 비켜 주어, 무사히 식량을 구매해 돌아오는 데 성공했다는 일화도 있다. 이 와중에 주베트남 일본대사관에 한국으로 전신을 보내 줄 것을 일본대사관 문 밖에서 일본 직원에게 쪽지를 건네며 부탁해 본국과 간간히 연락하는 등 조금씩 버티다, 사태가 좀 수습된 뒤 한국 대사관 직원들이 아직 남아 있다는 보고를 받은 북베트남 당국이 이들을 전부 구금했다.

공산 베트남은 남한 교민들의 대부분을 조건 없이 석방했지만 북한측의 요구에 따라 이대용 주베트남 공사 등 대사관 직원들을 생포하여 5년 동안 억류했다. 남한 정부는 경제 원조 등을 조건으로 내걸며 이대용 공사 일행을 석방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철저한 반공노선을 취하던 당시 유신정부가 적화통일의 수괴인 북베트남에 경제원조를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자 코미디였기에 한국 입장에서도 여간 곤란한 게 아니었다. 억류자를 돈 주고 풀려나게 하는 건 말로는 간단하지만 국가 대 국가의 외교적 맥락에서는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당연히 공산 베트남은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이유로 수락하지 않았다. 1979년에 중국-베트남 전쟁이 터지고 북한은 중공 편을 들어서 북한과 공산 베트남의 관계도 악화되었고,[67] 북한은 이대용 공사 일행에게 사상적인 전향 및 월북을 강요했다. 이대용 공사 일행은 북한측의 협박, 회유를 완강히 거절했다.

공산 베트남 측은 남한 정부에게 얼마간의 경제 원조를 받는 조건으로 포로를 석방한다. 이대용 공사 일행은 1980년이 되어서야 석방되어 한국으로 귀국했다.

13. 전후

베트남 전쟁은 세계사적으로 중대한 분기점이 되었다. 전쟁 이전까지는 서유럽에서도 사민주의적 복지 체제를 구가하고 있었고 금본위제고정환율제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이 시작된 이후 점차 환율이 널뛰기 시작하고, 결국 오일 쇼크신자유주의 체제가 도래하게 된다.

외교적으로는 냉전을 점차 해소하는 데탕트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된다. 여러 모로 현대사를 이루는 가장 핵심적 근간이 된 사건이라고 평가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13.1. 미국에 끼친 영향

파일:End_Vietnam_War.gif
일단 종전 소식을 들은 미군들은 당장은 기뻐했으나 이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다. 고국으로 귀환한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대중들의 싸늘한 눈초리와 비난, 그리고 경제적인 어려움과 PTSD뿐이었다.[68]
<rowcolor=white> 지미 헨드릭스우드스탁 페스티벌에서 연주한 미국 국가.[69][70]
I had a brother at Khe Sahn
케산 전투에 전우가 있었지
Fighting off the Viet Cong
베트콩과 전투 중이었어
They're still there; he's all gone
그들은 살아남았지만 그는 전사했어.
He had a woman he loved in Saigon
사이공에 걔가 사랑하던 여자가 있었어
I got a picture of him in her arms, now
지금은 그녀의 품안에 안겨 찍힌 걔의 사진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야.
- 미국 가수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Born in the U.S.A.' 가사 중에서
1964년 베트남 개입 이후 1975년 4월 30일 전쟁 종식까지 베트남 및 기타 인도차이나 일대의 전쟁에서 전사, 실종되거나 부상이 악화되어 얼마 후 사망한 미군은 공식적으로 58,315명이다. 이외 당시에는 생존했으나 부상이 악화되고 오랜 시간이 지나 사망하여[71] 집계가 안 됐거나 심한 부상을 입은 군인까지 합치면 참전병 300만여 명의 15분의 1인 20만 명에 달한다. 게다가 이 전쟁으로 인해 전사자 및 유족처리, 미국 사회에 다수의 상이병사, 고엽제 후유증, 베트남에서 돌아온 군인들의 사회 부적응 등으로 인적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물론 전쟁이 일어난 시대가 1970년이고, 그 이전의 다른 전쟁들과 비교해보면 미군이 입은 피해가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니다. 미군이 베트남에 있던 9년 동안 미군 5만 8천 315명이 전사했는데 이는 미국 입장에서 1년 동안 12만 6천 명이 전사한 제1차 세계 대전 그리고 4년 동안 40만 7천 300명이 전사한 제2차 세계 대전[72]에 비하면 훨씬 적은 숫자이다. 또한 3년간 3만 6천 574명이 전사한 6.25 전쟁과 비교해봐도 약 11년 동안 5만 8천 315명이 죽은 베트남 전쟁 때보다 미군 사망율이 더 높은 걸 알 수 있다.(다만 베트남 전쟁의 경우 6.25 전쟁과는 다르게 일정한 전선없이 싸운 전쟁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후 테러와의 전쟁에서는 20여년 동안 도합 8천에 가까운 미군과 기타 연합군이 전사했지만 투입한 병력 자체가 베트남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었고 적인 탈레반과 이라크 반군은 개전 초기를 제외하면 북베트남군 정도의 공세도 하지 못했으므로 동일선상에서 비교하기 어렵다.

하지만 당시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황금기가 종료되고 불경기가 시작된 참이었는데[73] 이 때 베트남에서 전쟁까지 하느라 엄청난 돈을 부은 데다[74], 오일 쇼크, 워터게이트 사건 등이 겹쳐 지독한 정치, 경제위기를 겪고 있었고 사회적으로는 염세주의적인 경향이 뚜렷해졌으며 마약이 확산되고 있었다. 1990년대 초반 소련 붕괴 전 까지 미국의 암흑기라 부르게 된 계기가 사실상 베트남 전쟁에 있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여지껏 전쟁에서 져 본적 없었던 미국의 첫 패배, 그것도 소련 같은 강대국이 아닌 기껏 베트남 같은 동남아시아의 자그마한 약소국 하나를 제대로 이기지 못하고 패배했다는 점에서 미국으로서 매우 굴욕적이었다. 결국 얻은 것은 없고 정치·경제의 위기 및 불안정한 사회 등 잃은 것만 있는 최악의 경험을 한 것이다. 베트남 전쟁에 해군 조종사로 참전했다가 잡혀 고문 끝에 두 팔을 다쳐 후유증으로 두 팔을 높이 들지 못했던 미국의 상원의원 존 매케인2000년에 왜 미국이 졌는지 열불난다는 연설을 했다가 베트남 측의 비웃음을 받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종전 소식을 듣고 환호하며 귀국했던 미군들은, 징병제로 인해 병력의 태반이 강제로 군인이 된 새파랗게 어린 청년들이었음에도 국민들에게 살인자라는 소리를 듣는 등 비참한 현실을 마주했고, PTSD 등에 의해 마약을 복용하는 사례도 있게 되면서 미국 사회는 한동안 진통을 겪었다. 당시 베트남 전쟁 귀환자를 욕하는 단어로 Babykiller(아기살인마)라는 신조어까지 있을 정도였다.

이때 참전했던 상당수의 장병들이 사회부적격자로 전락하거나 아니면 범죄자로 타락하는 등의 비극을 겪었다. 사회적 비난도 비난이지만 당시 미국 경제도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개판이 되기 시작했고 당연히 보훈예산에 대한 투자도 줄었는데 그 여파를 베트남 참전용사들이 정면으로 얻어맞았다. 참전용사들에 대한 사회적 냉대도 심각했으나 그보다는 애초에 줄 일자리와 줄 복지예산이 없었다. 물론 대부분은 악착같이 재적응에 성공하여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지만 정신질환을 겪고 사는 사람도 있는 등[75] 참으로 여러모로 미국에게 있어서는 괴로웠던 전쟁이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lbj-vietnam-recording-xl-e1392919685884.jpg
<rowcolor=white> 1968년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
자신의 사위이자 미국 해병대 중대장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찰스 로브 대위의 전황 음성기록을 듣고 괴로워하는 장면이다.[76]

이런 상황을 잘 표현한 작품중 하나가 영화 람보이다. 베트남 전쟁 참전 후 귀국한 람보가 겪는 PTSD와 여러 사건들과 더불어 람보의 동료는 고엽제 후유증으로 죽었다. 게다가 람보 외에도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만화와 영화들 때문에 지금도 당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병들은 고통을 겪을 것이다.

당시 좌익계열 인사들에게 미국은 악의 축으로 찍히고, 냉전이 끝난 1990년대를 넘어서야 그런 인식이 좀 잠잠해진다. 1980년대 당시 유시민거꾸로 읽는 세계사에서 골리앗을 구원한 현대의 다윗으로 표현했고, 리영희는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서 패배할 것을 예견하기도 했다.

세계적 반미, 좌익 진영에서 한동안 북베트남은 이렇게 미국을 무찌른 아이돌 대접까지 받았다. 68혁명이 끝나고 당시 부상한 신좌파 세력이 역풍을 맞으며 한동안 후에 학살을 비롯한 북베트남 측의 전쟁 범죄를 조명하고 오히려 미국과 남베트남 측에 명분을 주려는 수정주의적 동향도 한동안 유행하긴 했으나 여전히 주류적 평가는 북베트남 측의 명분을 어느 정도 보장하거나, 아니면 차라리 아예 북베트남 얘기는 안하고 전쟁을 마치 남베트남, 미국, 남베트남 내 베트콩만 치른 양 묘사하는 동향이 일반적이다. 어쨌든 전쟁의 기원을 따지자면, 미국의 대규모 지상군 파병으로 인해 흔한 냉전기 탈식민지 국가 안의 정치적 소요사태가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 전쟁에서 이긴 베트남도 상당히 고무되어 자신들을 세계 공산주의 전선의 최전방으로 인식하고 소련과 중국도 유약하다고 질타하면서 무아마르 카다피김일성이 그랬던 것처럼 세계 각국의 혁명운동을 지원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에 나섰으나 베트남 전쟁으로 입은 심각한 피해, 그리고 공산주의 경제정책의 처참한 실패로 인해 내부적 불만이 너무 증가함에 따라 공격적 행보를 중단하고 도이모이 정책을 실시함으로 유연해지게 된다. 하지만 1991년 소련의 붕괴에 반발하면서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세계 공산주의자들이 연합하여 소련을 지키자고 호소하는가 하면, 덩샤오핑에 제2의 코민테른 창설을 제의하는 등 세계 공산주의 혁명에 대해 상당히 나중에도 미련을 보였다. 물론 소련과 중국 모두 베트남의 제안은 씹어버렸다.

게다가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은 상당히 막장이었는데 윌리엄 캘리급의 막장도 훈련병 시절의 성적만 괜찮으면 GTG를 통해 장교로 임관시킨 탓에 위관급 장교들의 질적 수준이 완전히 개판이었고 이 때문에 프래깅이 상당히 많이 일어났지만 부대원이 짜고 전사라고 주장해서 증거를 찾을 수 없어 수사가 불가능했다. 전쟁에서 패배하기까지 한 미국은 결국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로 전환했다. 그리고 이후 모병제로 병력 충원이 부족할 것을 대비해 매브니 제도를 도입, 실시했다. 탈레반과 전쟁할 때는 정규군이 아닌 공군과 특수부대 위주로 대응했다.

13.2. 한국에 끼친 영향

"...국론이 통일되지 않고 국민의 총화 단결이 되어 있지 않았다, 정치 불안과 혼란이 계속되고 있었다, 즉 집안 싸움만 하다가 패전을 당한 것입니다. 이러한 예는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읍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점을 특별히 "타산지석"으로 삼고 또 교훈으로 명심해야 될 줄 압니다. 그러면 인도지나 반도 사태가 한반도 및 우리의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치겠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인도지나 반도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지금 쓰고 있는 "인민 해방 전쟁"이나 "폭나 혁명 전략"이라는 것은 우리 나라의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쓰고 있는 소위 "남조선 해방"이니 "남조선 혁명 전략"이니 하는 것과 똑같은 아세아 국제 공산주의 전략의 일환이고 또 그 공동 전선이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 전문 보기 ]
(중략)

따라서 가정 호전적이고 악명높은 북한 공산 집단이 오늘의 인도지나 사태를 보고 무엇을 생각하고 있겠는가 하는 것을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하겠읍니다. 아마도 지금 그들은 어떤 흉계와 음모를 꾸미고 있을 것입니다. 해방 후 지난 30년 동안 그들은 이것만을 연구해 왔고 이러한 음모만을 꾸며 왔던 그들이기 때문에 오늘의 인도지나 사태와 정세를 보고 가만히 있을리가 만무합니다. 아마도 그들은 크게 용기를 얻고 고무가 되었을 것입니다.

우리 한반도에서도 소위 "인민 해방 전쟁"이니 "남조선 혁명"이니 하는 것이 성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김일성은 북경에 가서 "남조선 혁명"을 위해서는 전쟁도 불사할 것이고 전쟁이 나면 성공할 수 있는 모든 준비가 다 되어 있다"고 호언장담을 했읍니다. 이것은 우리에 대한 지극히 도전적인 말 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읍니다.

"10월유신"에 의해 유신 헌법이 제정됨으로써 헌법이 바뀌었읍니다만은 만약에 유신 헌법이 생기지 않고 구(舊) 헌법대로 한다면 금년 봄이 대통령 선거와 국회 의원 선거를 하는 해 입니다. 아마 지금쯤 대통령 선거를 할 것이고 다음 달에 가서는 국회 의원 선거가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도 잘 알시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선거의 해라는 것은 한마디로 우리의 국력이 가장 약화되는 시기입니다.

선거 때만 되면 사회 혼란, 정국 불안, 행정의 공백을 가져 옵니다. 선거 때 뿐 아니라 선거 전 6개월 혹은 1년 전부터 선거 바람이 불어 사회가 시끄럽고 혼란하고 또 행정의 공백을 거듭하는 양상을 띄다가 선거 때만 되면 이것이 절정에 도달해서 그야말로 나라의 기틀이 흔들릴 정도로 시끄러워 지는 것이 우리나라의 선거 풍조입니다.

(중략)

우리나라는 이처럼 매 4년마다 하는 선거를 중심으로 전후 1년 내지 2년 동안 여러가지 사회 혼란, 정치 불안, 행정 공백으로 국력이 가장 약화되는 시기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아마도 북한 공산주의자들은 지난 71년도의 선거를 보고 이와 같은 시기에다가 "타이밍"을 맞춘 것일 것입니다.

(중략)

그들이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도중에 뜻밖에도 그들로 하여금 크게 용기와 자신을 얻게하고 고무시켜준 큰 사건이 일어났는데 그것이 바로 인도지나 사태인 것입니다. 그들은 인도지나 사태를 보고 이 시기가 "남조선 혁명"의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여하한 적의 공격도 능히 이를 저지하고 격멸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 여러분들은 믿어 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내가 이 자리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만약에 이런 사태가 일어났을 때 여기에 대처할 수 있는 굳건한 결의와 각오와 반드시 이겨야 되고 또 이길 수 있다는 필승의 신념이 우리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가슴 속에 확실히 서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중략)

우리는 이런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국민 여러분들은 잘 아셔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힘을 가지고도 왜 우리가 나라를 지키지 못하겠는가, 지키지 못할 이유가 하나도 없읍니다. 만약에 있다면 우리들의 각오와 결의에 달려있읍니다. 따라서 앞으로 국민 여러분들은 정부와 군을 믿어 주시기 바라고 또 우리 정부는 슬기롭고 용감한 국민 여러분을 믿고 우리가 일치단결해서 필승의 신념을 가지고 의연한 자세로써 모든 사태에 대처해 나가야 하겠읍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제가끔 자기가 맡은 직책과 일에 대해서 보다더 충실하고 책임있게 해나가야 하겠읍니다. 이것만이 국난 극복을 위해 우리 국민들이 가져야 할 자세요 또 우리들이 나갈길이라고 나는 확신합니다.

국민 여러분들의 행운과 건투를 빕니다."

- 박정희 대통령, 대한뉴스 <[특보] 박 대통령 특별 담화> 보도 중 일부, 1975.04.29
한국의 참전은 비록 장병들의 엄청난 희생을 치르긴 했지만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낸 에너지였다. 손톱깎이 하나 만들 수 없었던[77] 나라, 문화생활보다 단 1개의 감자가 더 중요하던 나라가 몇 년만에 일약 공업국가가 됐다. 당시의 세계적으로 가장 컸던 이슈는 단연 베트남 전쟁이었고, 한국군의 대게릴라전법, 대민 심리전, 용맹성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완전히 다른 이미지로 바꾸어 놓았다. 런던타임스는 "한국군이 베트남 전역을 맡았거나 한국군의 전술을 채택했다면 벌써 승리로 끝났을 것" 이라는 논평을 했다.#

지금은 IMF가 돈줄을 쥐고 있지만, 당시에는 서방 11개국 금융클럽이 쥐고 있었다. 11개국은 10억 달러 외자도입 요청을 단호하게 거절하는 등, 한국의 발전가능성에 대해 매우 냉소적으로 평가했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 이후 한반도의 공산화를 두려워했던 미국이, 한국의 경제발전을 통한 동북아시아에서의 민주진영 확대 및 추가적인 반공 세력 견제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이는 곧 11개국을 움직여 한국의 경제지원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1966년 가을에 서울을 찾은 11개국은 초기의 입장과는 달리 "베트남 전쟁을 보니까 한국은 희망이 있는 나라더라."라고 주장하며, 실질적으로 반공산화를 위한 민주 자본진영 지원정책을 결정하게 되었고, 대한국경제협력단을 만들어 1967년~1971년에 27억 달러의 차관을 공여했다. 군수품을 제조해 수출하는 기업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국제규격에 맞는 생산할 능력이 없어 난항을 겪었지만, 차츰 국제규격에 걸맞은 제조능력을 키워나가게 되어 납품하게 되었다. 이외에 현지에 도로, 항만 등의 시설을 짓는 인력들도 진출했다.

이러한 결과로, 베트남전에 대한 특수는, 1966년 6,049만 달러, 1967년 1억 3,479만 달러, 1968년 1억 6,500만 달러에 이르는데, 이 해 수출액의 36%를 차지했다. 1964년 수출 1억 달러를 달성, 1970년에 수출 10억 달러를 달성하는데 이는 파병 특수가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1966년부터 1972년까지 6년간 베트남에 주둔한 대한민국 국군과 연관된 국내 송금액은 8억 7,250만 달러에 달했다. 이 중 수출·군납·건설·용역·기술자가 송금한 돈이 6억 9,427만 달러였고, 한국 군인이 송금한 돈이 1억 7,830만 달러였다.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1969년에 베트남으로 송출한 인력이 1만 5,500명이었고, 진출 기업도 79개 업체에 달했다. 당시 현대건설·한진상사·대우실업·금성전자를 비롯한 국내기업들이 군수물자 납품과 용역사업을 통해 베트남전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78]

이는 전쟁에 따른 눈에 보이는 직접적인 이득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부수적 소득이 쏟아져 들어오는데 미국의 후원과 한국군의 활약, 베트남 전쟁특수가 일궈낸 "신인도"에 따라 외국자본이 물밀 듯 들어왔다. 1965년~72년의 외자 도입액은 32억 8,820만 달러로 폭증했다.

이런 경제 발전과 맞물려서 한국군의 현대화도 이루어졌다. 베트남 전쟁 초기만 해도 한국군의 장비는 6.25 전쟁 당시와 별 다를 바 없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참전 후 장비 개선의 필요성이 커지고 미국으로부터 신형 장비를 대량으로 원조받거나 구매하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독자 기술로 만든 국산 장비의 개발의 필요성 또한 커져서 국방과학연구소를 설립하고 국산 장비를 연구,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큰 의미가 없었던 전투식량도 이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한편,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도 끝내 패망한 남베트남의 말로는 대한민국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불과 6.25 전쟁을 겪은 지 30년이 채 안 된 상황에서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적화통일한 것이 마치 데자뷰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특히 전쟁 재발시, 공군을 투입해 도와주겠다는 리처드 닉슨 행정부의 약속도, 이후 들어선 제럴드 포드 행정부 당시의 의회와 여론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베트남의 원인인 무능과 국론분열을 이유를 들어 남베트남의 패망 이후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이 거의 사라졌고, 긴급조치 9호 발령에도 별 저항이 없었다.[79] 한국 현대사에서 북한에 대한 공포심과 증오심이 가장 극에 달했던 때가 바로 남베트남의 패망 직후였다.

비록 1950년에서 1953년까지 남북이 3년 동안 6.25 전쟁을 벌여 수많은 사상자를 내기는 했으나, 그 이후에도 남북의 평화통일을 외치는 조봉암이 대통령 선거에서 많은 지지를 얻었고 이승만 정부4.19 혁명으로 무너진 직후 한국의 대학생들이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를 외치며 북한 대학생들과 판문점에서 만나 평화통일을 논의하겠다고 하는 사건이 발생했을 만큼 남베트남 패망 전까진 그래도 한반도 평화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이 국민들 사이에서 꽤나 많았었다. 심지어 박정희 정부가 남북한의 평화 공존과 통일을 명시한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자 많은 국민들이 지지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1975년 남베트남이 패망하자, 한반도의 평화 분위기는 순식간에 사라져버렸고, 대신 북한에 대한 맹목적인 증오심과 공포심이 한국 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한다. 분명 한국군은 북베트남과 베트콩에게 있어 매우 위협적인 존재였음은 부정할 수 없다. 구정공세 이후 유일하게 선전했던 전투 지역은 맹호부대안케패스 지역밖에 없었다. 나머지는 대치 소강 상태였던 것에 반해 한국군만 유일하게 성과를 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경보병, 즉, 알보병 위주의 파병과 적은 규모에서 명확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한국이 얻은 뜻밖의 성과가 더 있는데, 바로 주한미군 주둔 협정인 한미행정협정, 이른바 소파(SOFA)의 체결이다. 1967년 2월 9일에 발효된 소파는 주한미군 범죄에 대한 재판관할권이 형식적으로나마 한국에 넘어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 소파는 미국이 그냥 맺어준 것이 아니라 베트남 전쟁에 한국이 군대를 보내 미군을 도와 함께 싸우는 대가로 맺어준 것이었다. 그러니까 만약 베트남 전쟁에 한국이 군대를 보내지 않았다면, 미국은 소파를 체결해주지 않았을 것이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소파에도 불공평한 내용들은 있으나, 그래도 미군을 한국에서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없는 차이가 크다. 즉 아예 소파가 없었던 때보다는 훨씬 낫다. 실제로 미군 범죄에 관련된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그나마 소파가 체결되고 나서 미군 범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소파가 체결되기 전에는 지금보다 주한미군 범죄가 훨씬 심했고 도저히 통제불능이었다고 한다.[80] 1960년대만 해도 주한미군들이 저지르는 범죄로 인해 죽거나 다치는 한국 국민들이 훨씬 많았다.[81][82]

참전으로 인한 부작용도 분명 있었다. 유신헌법군인 및 군무원, 경찰공무원에 대한 이중배상금지 규정(현행 9차 헌법 29조 2항)이 들어가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바로 베트남 전쟁이다. 원래 전쟁이 빨리 끝나서 사상자가 많지 않을 줄 알았는데 전쟁이 처절하게 진행되면서 전사, 실종자만 5,000명을 넘어가자 참전 전사자 유족 보상금만 해도 엄청난 규모가 되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군인이나 경찰에게 원래 관행대로 거액을 보상하면[83] 경제개발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었기에, 사법 파동까지 일어났다. 이는, 결국 헌법에 이중배상금지 규정을 넣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3.3. 일본에 끼친 영향

일본은 파병하는 대신[84] 전쟁물자를 지원했다. 베트남 전쟁 기간동안 일본은 막대한 군수물자를 팔아 10억 달러를 벌었는데 파병하지 않고도 오히려 한국보다 더 큰 돈을 벌어들이며 최후의 승자에 가까운 국가가 되었다.

한국 교민들이 베트남에 정착한 것처럼 일부 일본인들도 남베트남에 정착하여 사업을 했는데, 이들도 남베트남이 패망한 후에는 일본으로 돌아오느라 상당히 고생을 했다. 이중에서 1953년에 황해에서 조업하던 중 중공에 억류되어 1년 동안 상하이에서 수용소 신세를 졌고 석방 후에는 한국 해경에 이승만 라인 침범 혐의로 체포되어 2년 8개월간 억류되었던 타케하라 시게루(竹原繁)의 사례가 유명한데 베트남에서 어업지도를 하며 살았으나 종전 후 1979년 4월 21일에 자신의 배에 무려 527명을 태워서 일본으로 탈출하여 대단한 유명인사가 되었다.

13.3.1. 일본 자위대의 베트남 전쟁 참전 설


자위대가 베트남전에 파견된 적은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국내에서는 자위대가 베트남전에 참전했다는 얼토당토 않은 루머가 21세기에도 끊임없이 돌고 있는데, 코바야시 모토후미가 집필한 단편 "강철의 규칙(鋼の掟)" 에 의하면 쇼와 40년대, 즉 1965년 부터 일본 내에서 자위대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고 하며, 자위대의 일부 현역 자위관들이 직접 이러한 어이없는 루머를 앞장서서 퍼트리고 다니기도 하는 모양이다.

루머의 형태는 61식 전차74식 전차가 미군에게 실전 테스트 위탁 형식으로 넘어가 전투에 투입되었다는 루머, 소수의 자위대원들이 비밀리에 베트남에 파견되어 참전했다는 루머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후자인 "소수 자위대원 비밀 파견설" 에 따르면 베트남 전쟁에 비밀리에 참전했다는 설이 있는 자위대 부대들 중 가장 대표적인 부대는, 홋카이도의 북부방면대 북부방면혼성단(北部方面混成団) 예하 동계전 전문부대동계전기교육대(冬季戦技教育隊) 라고 한다.

겨울에 눈이 쌩쌩 내리는 곳에 주둔하면서 동계전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교육하는 부대가, 엄청나게 덥고 습한 국가에서 일어난 전쟁에 참전 했다는 이 일본판 월남 스키부대 같은 황당한 설은 자위대의 정규군화를 주장하는 몇몇 일본 보수 우익 꼴통들이 진실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데,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위에서 언급한 단편만화 "강철의 규칙" 을 집필한 코바야시 모토후미 본인부터가 이 어처구니 없는 일본 자위대 베트남 전쟁 참전설을 진지하게 사실이라고 믿고 있다. 2007년 3월에 코바야시가 직접 본인의 믹시 계정에 공개한 "강철의 규칙" 의 대사문들을 보면 그야말로 정신이 아득해질 정도로 온갖 헛소리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13.3.1.1. 일본의 남베트남 지원 시도
실제로 일본 자위대가 베트남에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일본은 미군의 베트남 철수 당시 남베트남을 도와주려고 시도했었다. 당시 미국과 베트콩이랑 협정맺고 베트남에서 철수하는 중이었다. 이에 일본은 남베트남이 공산화되면 자신들도 위험해지거나 미국에게 버려질까봐 두려워했다.[85] 그래서 일본에서 외무성 동남아 1과장 미와 카즈스케를 베트남에 파견하려고 시도했다. 그러자 미국에서 일본에게 가지말라고 말했다. 그래도 일본이 가려고 하자 헨리 키신저가 일본에게 이런말을 했다.
하노이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대로 해도 좋다. 그러나 미국은 베트남에 폭격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으니 조심하라.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는데 왜 베트남에 폭격을 하는지 의문을 가질수 있겠는데 일본인들이 베트남에 들어가면 표적 공격하겠다는 뜻이다.

쉽게 요약하면 니들이 베트남에 들어가는 건 상관안하는데 니네가 들어갈때 쯤이면 미군이 베트남을 폭격할 거니까 알아서 잘 피해다녀라고 사실상 일본에게 일본 외교관들이 베트남 가면 죽여버리겠다고 경고한 것이다. 그래서 결국 일본도 남베트남에 가지 않았다.

13.4. 고엽제 문제

베트콩과 북베트남군들의 주요 전투 패턴은 정글을 이용한 게릴라전이었다. 미군은 밀림 지역을 쓸어버리기 위하여 에이전트 오렌지 같은 고엽제들을 항공 작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살포하는 고엽 작전을 벌였고 이 고엽제들은 본래 목적이었던 베트남의 산림과 농업까지 황폐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다이옥신 등의 성분이 포함된 강력한 독성으로 전쟁에 참여한 군인들이나 베트남 민간인들에게 다음 세대까지 지금까지도 감당하기 힘든 고통과 엄청난 후유증을 야기시키기도 했다. 참전 군인이자 고엽제 피해자의 증언에 따르면 날이 덥고 해가 뜨거운데도 어디선가 물방울이 날라와 시원했다고. 비인 줄 알고 주변의 병사들도 상의를 벗거나 심지어 갈증 탓에 입을 벌려 받아 마시기까지 하셨다고 한다. 아마도 스콜(열대성 소나기)이 여우비처럼 오는 것인지 알고 그런 듯하다.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사망자와 수백 만 명의 피해자를 만들어 냈으며, 2009년 기준으로 베트남 정부 통계에 의하면 1년에 5만 명의 기형아가 태어났을 정도로 피해가 극심하다.

미군, 한국군, 남베트남군, 북베트남군, 베트콩, 베트남과 라오스 캄보디아 민간인까지 고엽제 피해는 국적을 가리지 않는다.

13.5. 자연에 끼친 악영향

오래 지속된 전쟁으로 인도차이나호랑이 같은 고양이과 맹수들이 전사자의 시체를 먹어 인육 맛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미군과 베트콩을 습격하는 빈도가 증가했다.[86] 이 때문에 베트콩은 호랑이를 잡기 위해 함정을 설치했고 미군은 아예 중화기를 동원해 호랑이들을 사냥했다. 그 결과, 인도차이나호랑이는 베트남에서 절멸하다시피 했다. 현재 베트남 정부에서 호랑이 복원 운동을 펼칠 정도다.

13.6. 문화유산 소실

베트남 후에시에서는 응우옌 왕조의 궁궐인 후에 황궁 일대에서 베트콩과 치열한 전투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궁의 대부분이 폭격을 맞고 궁내전각 중 70%가 소실되었다. 또한 왕조 시대에 남겨진 여러 역사적 기록물들이 사라졌다.

13.7. 한 장의 사진

북베트남의 구정 공세 당시 사진가 에디 애덤스(Eddie Adams)가 사이공에서 찍은 사진이 있다.

바로 "General[87] Nguyen Ngoc Loan executing a Viet Cong prisoner in Saigon". 일명 '사이공식 처형'이라고 알려진 사진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guyen.jpg
시가전 중 사로잡힌 베트콩으로 추정되었던 인물 응우옌반램(Nguyễn Văn Lem)을 남베트남 경찰서장 응우옌응옥로안(Nguyễn Ngọc Loan)이 즉시 자신의 권총으로 사살한다. 이는 당시 경찰서장과 같이 있던 AP통신 사진작가 에디 애덤스와 NBC 취재팀이 그 현장을 취재했다. 즉, 응옥 로안은 치안 유지 정부 소속의 경찰서장으로서 민간인 복장을 하고 있던 용의자를 즉결 처형한 것.[88] 포로의 인도적 대우는 제네바 조약에 의하면 적군이라고 인식될 수 있는 표식이나 제복을 입은 자가 대상인데 해당 인물은 민간인 복장을 입었으므로 제네바 조약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문제는 저게 마땅한 심문과정이나 절차도 없이 진행된 즉결처분이라는 것. 이 때문에 처음에는 아무나 생각없이 처형했다는 냉혹한 인물로 응옥 로안이 욕을 많이 먹었고 그 다음에는 처형 대상자가 극악무도한 인물이다라는 식으로 알려져서 응옥 로안을 재평가했다. 좀 자세한 내용은 구정공세 문서 참고.

구정 공세는 전술적으로는 북베트남의 완벽한 실패였다. 남베트남군만이라도 단독 북진했다면 중공군이 개입하지 않는 한 북진 통일이 가능했을 정도로 북베트남군 주력 부대와 베트콩의 병력 손실은 심각했다.

그러나 '터널 끝의 빛이 보입니다.'라며 전황의 호전을 선언한 린든 B. 존슨 당시 대통령의 연설 직후 사이공 미국 대사관이 베트콩에게 공격을 허용받아 불타는 광경을 뉴스로 보게 된 미국의 국내 반전 여론은 다시 심각하게 점화되었다.(구정 공세 시기 19명의 베트콩이 사이공 미 대사관 1층을 7시간 동안 점령했었다.)그 움직임을 절정에 올린것이 당시 남베트남 정권의 비도덕성과 전쟁 범죄를 표현하는(것으로 미국 사회에 비추어진) 이 사진이었다.

미국 행정부는 구정 공세 이후 불타오르는 회의주의와 반전주의 여론 때문에 병력 증원에 큰 차질을 빚었고, 결국 미적거리는 사이에 큰 피해를 입었던 북베트남은 기사회생할 시간을 갖게 되었다.

13.8. 전쟁 범죄/민간인 학살

  • 베트콩, 북베트남
    • 전쟁 초기 촌락 지배 과정에서 벌어진 테러와 처형
    • 후에 대학살 사건
  • 남베트남
    • 고자이 마을 학살 사건(?) : 원래 한국군 맹호부대의 짓으로 알려졌다가 남베트남 레인저 부대가 저질렀을 수도 있었던 사건으로 바뀌었는데 단지 고자이 마을에 살았던 살아남은 학살 피해자들의 벽화로만 알려져 있는 사건이라 가해자가 불분명하다. 하지만 벽화에 그려진 가해 군인들의 모습으로 보아 남베트남 레인저 부대일 가능성이 있다.
    • 응오딘지엠 정권의 백색 테러
  • 미국: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미군전쟁범죄를 참고.
  • 한국 - 베트남 전쟁/한국군/논란
    • 김종수 소위 학살 사건
    • 퐁니 퐁녓 학살
    • 주로 꽝남ㆍ꽝응아이ㆍ빈딘성 등에 한국군 학살 관련 위령비와 증오비가 있다. 기타 하미 마을 학살 사건, 빈호아 학살 사건, 빈타이 학살 사건 등에 대해서는 조사가 더 필요하다.
  • 호주
    • 의외로 얘기가 되지 않았으나, 호주군에 의한 전쟁범죄도 존재했다.

1999년 한겨레 21의 보도 이후 파베트남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논란은 한국 사회에서 첨예한 쟁점이 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1992년 한국-베트남 수교 당시 베트남 측에서 과거사는 묻지 않겠다고 했으며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 당시 민간인 피해에 대해서 사과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도 베트남전과 관련하여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는 딱히 미국, 한국의 사과를 원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사과를 하면 불편해한다. 이정우 전 대통령 정책 기획 운영장은 외교부로부터 김대중 전 대통령이 베트남 정부에게 사과성 발언을 했다가 회의장 분위기가 어색해졌다라고 전해들었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도 원래 민간인 학살에 대해 공개적이고 명확한 사과를 전하려고 했으나 베트남 정부에서 동족상잔 등의 내부 문제가 부각되는 것에 난색을 표해 유감을 표명함으로 수위를 낮추었다고 한다.

이유는 베트콩이나 월맹군들도 마을에 들어가서 주민들에게 공포감을 심어주기 위해 그들에게 동조하지 않거나 세금을 내지 않는 촌장이나 공무원, 경찰들 및 그 가족 - 어린 아이 포함 - 까지 벌목도로 목이나 팔다리를 잘라 죽이고, 폭탄으로 죽이고를 밥먹듯이 했기 때문. 길 옆에 숨어 있거나 대놓고 검문소를 차려 놓고 지나가는 차량이나 사람들을 정지시킨 후 세금을 요구하고 안내면 죽여버리는 일이 흔했다. 심지어 세금을 냈는데 얼마 못가서 또 다른 베트콩들이 나와 세금을 걷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또, 다른 마을들에 베트남 정부나, 국군, 미군에게 동조하면 이렇게 된다는 경고를 하기 위해 본보기로 이유 없이 마을 하나를 몰살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암시장에서 구하거나 노획한 미국제 무기를 사용하여 양민학살을 벌인 후 일부러 흘려놓고 국군이나 미군이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과거 이승만ㆍ박정희 시절 좌익이나 인민군에 의한 학살 내용들이 의도적으로 과장되거나, 심지어 한국군이 한 것까지도 좌익이 한 것 처럼 포장되었듯이, 베트남 전쟁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예를 들어 당시 일본인 기자였던 가츠이치 혼다는 사이공의 미군 총정보국에서 나온 “베트콩의 테러활동”이라는 제목의 주간 보고서를 조사했었는데, 베트콩의 테러는 사이공의 ‘정보통제’에 의해 일반의 조사로부터 사실상 은폐되고 있으며, 살인사건이나 테러가 결코 베트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곧 드러났다고 얘기했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국의 뉴스들은 국민 보도연맹 학살에 대해선 전혀 보도하지 않으면서, 인민군이나 좌익이한 학살은 대대적으로 반공주의를 선전하기 위해 보도했는데, 마찬가지로 베트남 전쟁 시기 미국의 반공 언론들도 그러했다.

1970년 10월 북베트남의 포탄이 안호아에 있는 한 고아원에 떨어진 적이 있었는데, 그런 사건이 일어나자 ABC의 조지 왓슨(Geroge Watson)은 겁에 질려 “아무도 이 학살에 대비하지 못했다. 이것은 북베트남인이 안호아에서 저지른 비이성적인 살인이다”라는 논평을 했는데, 민간인 사상자는 압도적으로 미군의 화력에 의해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이 지적한 책임 소재는 7/10의 비율로 북베트남군에게 전가됐다. 쉽게말해, 남베트남군이 오발 및 사고로 민간인을 죽이면, 사이공 당국이나 미국의 극우언론 및 주류언론들은 이를 베트콩의 테러로 왜곡해서 보도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런 맥락무시와 의도적인 여론조작이 있었다는 점도 어느 정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거기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민간인을 전혀 가리지 않는 미군의 폭격과 고엽제 살포 그리고 생존하는 모든 것을 사살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던 자유사격지대 등에서 벌어진 전반적인 전쟁범죄 행위를 생각해보면, 베트남 전쟁 당시의 민간인 피해는 당연히 연합국의 전쟁 수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당장 베트남에 투하한 네이팜탄만 해도 거의 37만 톤인데, 이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이 투하한 네이팜탄에 최소 10배 이상이나 되는 양이다. 한국전쟁 당시 네이팜탄이 얼마나 많은 민간인 희생을 초래했는지를 본다면, 월맹군의 학살 때문에 베트남의 국가 존립의 문제가 생긴다는 것은 근거가 매우 빈약한 주장이다.

2023년 2월 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68단독 박진수 부장판사는 응우옌 티탄 씨(64)가 한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단5110659) 법원이 베트남 민간인 사살 관련 우리 정부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판결]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韓 정부 배상책임 첫 인정

13.9. 전후 숙청 및 보트 피플

북베트남의 전쟁 수행을 지원했던 베트콩과 간첩, 좌파 인사들이 전쟁 이후에 대대적으로 숙청당했다는 글이 있고, 많은 커뮤니티에서도 돌아다니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오해와 편견 항목과 베트남 공화국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절반의 사실이다. 흔히 토사구팽을 당했다는 식으로 묘사되지만, 정확히는 전쟁 후 남파된 북베트남군과 자생적 반정부주의자(소위 민족주의자)의 세력싸움에서 민족주의자들이 밀려난 것. 여기서 북베트남의 강력한 재교육 정책에 항의했던 민족주의 계열 인사들이 재교육 캠프에 수용되었다. 반항하지 않은 이들은 요직에서 밀려나는 선에서 그쳤다. 대신 강하게 반항한 인사들에게는 재교육 캠프행을 때렸다.

북베트남에서 내려온 이들은 토사구팽식으로 숙청되지 않았고, 몇몇 인사는 뒤에도 요직에 올랐다. 대표적으로 응우옌흐우토는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지도자를 역임했다가, 전쟁 후 통일 베트남에서 국가주석(1981~1982)까지 지냈고, 부주석도 지내다가(사실상 명예직) 1996년에 사망했다.

여러 목적으로 재판없이 즉결 처형된 사람은 약 6만 5천명 ~ 10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베트콩 정권이 들어선 뒤 남베트남 정부 관련 인사, 고위 포로, 고위층을 학살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베트남이 적화 통일되기까지 대략 1년의 기간 동안 남베트남의 반공주의자들과 기업인, 화교들과 태국인들, 남베트남 정권의 군인, 경찰, 기타 공무원들은 종전 후 많은 숫자가 망명을 하거나 보트피플이 되어 베트남을 탈출했다. 이후 통일된 베트남은 오랜기간 빈국을 벗어나지 못한다.

쉽게 말해 숙청도 하기 전에 많은 사람들이 이미 사라진 상황. 물론 재판없는 즉결 처형'만' 6만 5천에서 10만인데 2차 대전 당시 일본 나가사키 원자폭탄 사망자수가 3만 9천에서 8만명 사이인 것을 비교해보면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즉결 처형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보트 피플이 탈출하는 과정에서 질병이나 기근 혹은 해적 등으로 인해 많은 숫자가 사망해 간접적으로 숙청이 자행되었다.

그리고 남베트남의 군인, 경찰, 공무원, 교사 등은 사상 개조라는 미명 아래에 재교육 캠프로 끌려갔다.

사실 베트남 전쟁 이후 숙청에 대한 논지는 정치적인 성향에 따라서 제각각인데 확실한 것은 남베트남 관련 인사[90]의 재교육 캠프는 분명히 있었고 이 중 10만 명은 가혹한 처사를 받았다. 거기에서의 대접은 전혀 좋은 편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사진을 보면 목에 나무 형틀을 쓴 십수명 전체의 양 발이 길다란 하나의 나무형틀에 고정된 채로 전혀 움직이지도 못 하는 고문을 당하며 수감되어 있을 정도다.

이런 재교육 캠프에서 갖은 학대를 받은 사람 중에 대한민국 공사 이대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중앙정보부 소속 무관이었고 예비역 장성이었기 때문에 외교 특권을 박탈당하고 천신만고 끝에 간신히 귀환한다. 이 사람이 당했던 이야기를 본다면 공산 베트남에서 인권 탄압이 없었다거나 살 만했다는 말은 거짓이다. 여기에 수용된 사람은 약 100만 명 정도라고 한다.

대숙청 이후 공산 베트남을 탈출하려는 대규모 보트 피플이 발생했다. 그 수는 어림잡아 80만 명이나 되었다. 특히 보트 피플이 폭발적으로 늘어난것은 1978년 이후로 종전된 지 3년이 지난 뒤였다.

정치인, 관료 같은 상류층들은 미국이 철수한 1973년부터 남베트남이 패망하는 1975년까지 진작에 남베트남을 빠져나갔고 1978년까지 남아있던 사람들은 교사, 의사, 상인 같은 중산층 사람들이었다. 보트 피플의 또다른 경우는 1979년 2월~3월까지 진행된 중국-베트남 전쟁의 여파로 탄압을 받을 위기에 있었던 중국계 화교들도 적지 않았다.

대규모 보트 피플이 상당 기간 이어졌던 것은 단순히 보복이 두려워서라기보다는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나서도 캄보디아와 중국과의 전쟁이 10여년 넘게 이어졌기 때문에 전후 복구에 쓸 돈을 전쟁으로 써야했던 판인지라 전후 복구가 지지부진하여 한 동안 경제 상황이 영 좋지 않았기 때문인 영향도 컸다.

일부에서는 당시 공장에 나가서 일을 해봐야 푼돈이나 받을 뿐이고 물가 상승 문제도 심각했던지라 공장에서 일을 해서 먹고 살아봐야 생활에 여러 가지 애로 사항이 있었기에 목숨을 걸고 배타고 외국으로 돈을 벌려고 나갔던 이들도 많았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바다에 오직 작은 목선에 의지해 누군가가 살려주기를 기대하며 일가족을 모두 태운 채로 바다를 떠돌던 사람들을 대부분의 나라에서 받아주기를 거절했기에 해적에게 당하거나 바다에서 굶어 죽어간 사람이 많았기에 현대 인류역사상 최악의 비극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구조한 베트남 난민의 증언에서도 나오는 얘기다.

한편으로 육로로 탈출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랜드 피플이라고 부르며 지금도 후손들이 국경지대인 톤레삽 호수 위의 더러운 물 위에서 살고 있으며 주로 관광객에게 구걸하며 연명하고 있다. 이들은 베트남에서도 인정하지 않는 존재라 국적도 없는 존재들이다.

의외로 공산 베트남에서는 이들의 탈출을 적극적으로 막을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는데 당장 전쟁 때문에 전후 복구가 지지부진해서 먹여살리기 빠듯했던데다가 크메르 루주와는 달라야한다는 인식도 있었기 때문이다.

남한에서는 초기에는 남베트남 패망의 교훈으로 이적 행위를 때려잡자거나 우익은 부패하지 말자라는 걸 모토로 했고 한국보다 우익이 개판인 남베트남은 망해도 싸지만 한국은 든든하다는 걸 강조했다.

북한의 반응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갈리는데, 전통적인 분석은 남베트남의 패망,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공산화에 고무된 김일성이 자기도 적화통일을 할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판단해서 소련과 중국에게 지원을 요청하며 주접을 떨었다는 것이지만[91][92] 반대로 미국이 베트남 대신에 한국의 개입을 강화하고 더 많은 미군을 배치할까봐 우려하여 중국 및 소련과의 동맹 강화로 대응하려 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소련은 김일성의 입국조차 거절해버렸으며 중국은 성의있게 나왔지만 1976년에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이 발생하면서 중국 측이 열받아서 관계가 다시 경색되었다.

김일성이 이후 했던 연설인 "전쟁이 벌어지면 잃을 것은 철조망이요. 얻을 것은 조국 통일이다"라는 말은 남조선과 미제놈들을 선제 공격하자는 말이 아니라 미제가 전쟁을 일으키면 그에 맞서 싸울 것임을 천명하는 것이다.[93]

1980년대 전두환 정권 때 발생한 학생 운동이나 5.18 민주화운동 등에 대한 흑색 선전으로서 남베트남의 막장화와 베트콩들에 대한 공포감을 부풀린 측면도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이대용 공사의 수기를 드라마로 만든 '사이공 억류기'가 김무생 주연으로 출시되었다. 일명 한국판 킬링필드.[94]

1980년대 월남 수용소라는 애먼 제목으로 출간된 고백 수기가 있는데 이 책은 남베트남의 전직 학생 운동 지도자가 통일된 공산 베트남에서 고생하는 이야기다.

사실 절반 정도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사이공의 티우 정권에 대한 투쟁을 얼마나 잘했으며 절반 정도는 무식하고 말 안 통하는 북쪽 북베트남 동지들에 대한 비난, 나머지 절반은 북베트남을 비난한 죄목으로 체포되었을 때의 일이다.[95]

현재 베트남 내에서도 베트남 전쟁에 대한 평가는 지역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다. 사람들의 착각과 달리 중, 소의 참전을 우려한 미국은 북베트남에 공격하지 않고 주로 남베트남의 방어만을 했기 때문에 남부의 경우 직접적인 전장이 되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에 따라서 평가가 엇갈리는데 반해서 북부에서는 혼란 상태에 빠진 남베트남을 해방시키기 위한 전쟁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평가다. 물론 현재는 남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잘 살기 때문에 남부 지역이 북부 지역에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우월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다.

13.10. 공산권의 개입


전쟁 당시엔 극비였지만 소련이 붕괴되거나 통일 베트남 정권이 자국을 도와준 제2세계 국가들의 업적을 칭송하면서 그 정체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먼저 소련군은 최소 3000여명의 전투 병력을 파견했다. 주로 SA-2 지대공 미사일이나 대공포 운용 요원들이었으며 이들은 북베트남군의 대공무기 운용을 위한 교육까지 담당했다. 또한 비밀작전을 수행중이던 MACV-SOG에 의해서 스페츠나츠 대원들이 개입했을 정황을 포착하기도 했다. 1968년, 당시 대원이었던 존 스트라이커 메이어가 집필한 회고록에 의하면 라디오 채널을 전환하던 도중 라디오에서 러시아어가 들렸다고 하며 몇달 뒤, DMZ에서의 작전에서도 러시아어를 들었다고 한다. 미군을 공격하는 적군 중에 푸른 눈의 백인 인종을 지닌 적이 포착되었다는 소문도 있었다고 한다. # 이외에도 미국이 CIA 요원들을 파견했듯이 소련도 KGB 요원들을 파견해 정보 수집을 했다고 한다.

북한군MiG-21 조종사들을 파견해 미공군과 싸우며 북베트남군을 지원했다. 최소 14명의 북한군이 전사했으며 베트남은 이들을 위한 묘를 만들어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이외에도 북한군 공작원들도 파견되어 주베트남 한국군을 상대로 심리전과 정보전을 했다고 한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전쟁기간을 통틀어 중국후근부대라는 명칭으로 고사포 부대와 공병부대를 중심으로 연인원 32만 명의 전투병력을 북베트남에 파견했고 중국도 이를 공식 인정했다.#[96] 주로 '자원봉사'라는 명목으로 북베트남 내부 지원 부대로 편제되어 공병과 고사포 부대 등의 전투병력으로 활용되었으며 전쟁 중, 중국군 최소 1,100명이 전사했다고 한다. 총기와 야포,트럭,탄약과 포탄,의약품 등 군수물자와 치약과 비누 등의 생필품 역시 대대적으로 지원되어 총합 200억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중국-베트남 전쟁으로 양측은 군사적 경쟁 상태가 된다. 캄보디아 침공이 초래한 중국-베트남 전쟁이라는 관계 파탄 전에도 베트콩을 중국이 직접 지원하려고 시도하는 등 중국이 먼저 내정간섭과 훈수를 남발했던지라 어느 정도 예고된 바였다.

자유진영에서는 스웨덴이 북베트남을 지지, 지원했다. 이 탓에 스웨덴 총리 올로프 팔메 총리가 암살당했을 때 CIA가 배후에 있다는 추측이 강하게 나오는 원인이 되었다. 한 나라의 총리가 시내 한복판에서 권총으로 암살당하는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는데도 범인이 잡히지 않았던 것도 한 몫 했다.[97][98]

14. 베트남 전쟁의 교훈

대한민국에서는 장병 정신 교육 및 예비군 훈련에서도 남베트남의 패망을 예로 들면서 남한의 상황과 접목시켜 안보 교육을 하는 경우가 많다. 채명신 장군이 쓴 회고록 <베트남 전쟁과 나>에서도 베트남 전쟁이 언급된다.

남베트남의 군사력은 규모나 미국이 지원해준 무기면에서 보았을 때 북베트남보다 압도적으로 우월했다. 경제력 또한 북베트남보다 좀 더 앞서긴 했다. 그러나 남베트남의 대선 후보가 간첩이었고 남베트남 정치인들은 답이 없는 부정 부패를 일삼았고, 심지어 남베트남의 국무총리도 간첩이었고 북베트군이 쳐들어오자 남베트남 주민들이 환호했고 더 한심한 것은 남베트남의 군인마저 싸우기는커녕 도리어 북베트군에게 문을 열어주었고 북베트군은 하루가 머다하고 남침용 땅굴을 굴착했고 파리 강화 협정 이후에 북베트남군이 재차 침공했다. 그래서 남베트남은 패망했다. 그 이후 공산 베트남에서는 대량 숙청, 보트피플이 다반사가 되었다.

제 아무리 최신식 무기를 압도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해도 부패하면 멸망을 보는 사례다.[99] 무엇보다도 돈을 지원하는 것은 서유럽 같은 데서는 통했으나 남베트남은 여전히 부정부패가 판쳐서 지원금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미군을 주기적으로 보내지 않는 한 정권은 무너진다. 그래서 이적 행위는 언제나 어디서나 국가 안보에 치명적인 위협을 끼친다.[100]

1950년대 후반, 남베트남 정부와 북베트남 정권이 비슷한 시기에 수립되었다. 북베트남 정권은 토지 개혁 문제와 코민테른의 제재 때문에 남베트남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지 못했고 양측 모두 내정에 치중했던 시기였다.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 정부도 나름 토지 개혁을 하기 위해 농촌에 공무원들을 파견했다. 그러나 남베트남 정부 수립 이전에 이미 북베트남 치하에서 토지 재분배가 상당히 이루어졌다. 남베트남의 관료들은 께름칙하게 여기면서도 그 상태를 방치했다.

남베트남의 공무원들은 이미 농민들에게 분배된 토지를 몰수하여 지주에게 다시 돌려 주고 응오딘지엠 정권의 입맛대로 재처분 하려다가 지방 베트콩들에게 암살당하기도 했다.[101]

1960년대 중반, 북베트남 정권은 남반부 해방 전쟁을 선포하고 베트콩으로 하여금 무장 봉기를 허락했다. 얼마 되지도 않아 남베트남은 심장부에서 벌어진 동호이 전투에서 개박살나고 나라가 멸망하려는 것을 미군의 지상군 투입이 막아줬다. 그래서 그나마 10년 더 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응오딘지엠의 통치 하에서는 최소한의 자주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국정 운영을 했다. 그러나 응오딘지엠 이후 권력의 핵심 자체가 아수라장에 빠지는 동시에 전쟁 상황은 더욱 더 긴박해졌다. 북베트남 측과의 교섭 과정은 물론 갈수록 남베트남의 일반적인 통치 구조 또한 미국의 통제하에 넘어가며 남베트남은 역설적으로 응오딘지엠 축출 이후로는 종이 위의 정부가 되어 갔다.[102]

미국-베트남 전쟁,즉 전쟁의 2라운드였던 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워낙 유명하고 더 격렬했는지라 세계인들의 뇌리에서 자주 잊혀지는 사실이 하나 더 있다. 남베트남 정부의 무능과 남베트남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을 유발한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기도 하다. 이 전쟁은 6.25 전쟁처럼 전적으로 미소 양국에 의해 분단되고 건국된 두 정부끼리 치른 전쟁이 아니다. 영국과 중화민국이라는 두 군정 당사자가 각자의 점령지에서 정권을 수립한 뒤 양 정부 사이에서 전쟁이 발발한 것조차 아니라 식민주의적 야심을 버리지 못한 프랑스의 침략적 행보가 그 직접적인 기원이라는 것.

베트남 전쟁은 근본적으로 프랑스가 개입했던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연장선상에 있다. 영국/중화민국 당국이 철수한 후 베트남에서는 다시 프랑스군과 베트남 독립세력 전체와의 전쟁이 터졌는데, 46년~47년의 기간 동안 공산주의자들이 야욕을 드러내 민족주의/내셔널리즘 세력을 배신하고 내부총질을 가했고, 이에 프랑스는 입장을 재빨리 바꿔서 내셔널리즘 독립운동 세력에게 화해의 손길을 내민다. 베트남 전체를 군사력으로 장악하는 것은 이제 힘들게 되었으니 일단 더 이질적인 공산주의만 적으로 돌리자는 속셈이었다.

즉, 베트남 쪽의 협력자로써 반식민주의 성향이 강한 내서널리스트들을 아군으로 포섭한 이상, 베트남을 다시 장기적인 식민지로 만드는 건 어차피 불가능한 일이었다. 만약 49년에 프랑스가 베트남국을 깔끔하게 완전한 독립국으로 독립시켰다면 남베트남은 프랑스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 자주 반공국가로써 북베트남과 싸우는 게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프랑스는 식민주의 욕심을 못 버리고 베트남국의 주권을 제약해서 보호국화하는 치명적인 실책을 범했다. 이는 오히려 베트남 내셔널리스트들 사이에서 프랑스에 대한 반감만 커지는 데 일조했고, 식민통치 기간 동안 수도 없이 난립한 반공 독립운동 세력들이 베트남국 체제에 동화되는 걸 거절하면서 정권의 권위가 취약해지고 사회혼란과 부정부패가 창궐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이 틈을 타서 해외에 있던 응오딘지엠이 들어와 54년에 총리직을 맡게 되었고, 결국 그가 독재자로 각성해 다른 반공 내서널리스트 세력들을 숙청하면서 베트남 공화국은 막장국가화된다. 베트남 전쟁은 제한전이었기에 어차피 미군의 존재로 만회할 수 있을 국가 전체의 군사적인 우위보다는 각 지방 군 조직들의 연계가 더 중요했는데, 프랑스의 실책과 지엠 정권의 막장행각으로 이런 지방 군벌들이 체제에 포함되지 못하고 토벌당하거나 해산되면서 베트콩은 수월하게 베트남 공화국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게 되었다.

근본적으로, 베트남 공화국의 패배는 냉전 시기 CIA의 부적절한 남미 개입과 같은 교훈을 주고 있다. 어떤 나라에서 공산주의 정권을 막겠다고 독재정권을 지원해봤자 오히려 공산주의 및 반서방주의의 세력만 커질 뿐이라는 것이다. 베트남 공화국이 베트콩을 효과적으로 토벌할 능력을 상실한 것은 응오딘지엠이 스스로의 권력 강화를 위해 반정부 성향 군벌들과의 협상을 거부하고, 친정부 성향 군벌들의 정규군 편입을 막고 재정지원을 끊어 해산시킨 데 그 원인이 있다.

만약 미국이 이 짓거리를 적극적으로 막거나, 리엔민 같은 친정부 성향 군벌들에게 CIA 호주머니에서라도 돈을 꺼내줬더라면 베트콩의 세력이 그렇게 강해지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103] 하지만 미국은 반공/반식민주의 성향이라는 이유만으로 응오딘지엠만 믿고 다원적인 베트남 공화국 정치세력들이 하나하나 숙청되는 것에 손 놓고 있다가 결국 베트남 전쟁의 수렁에 끌려들어가고야 만다.

베트남 관광청 홈페이지에선 베트남 전쟁에 대해 '남베트남의 자유화'라 한다.

베트남 전쟁 끝나고 암흑기였던 그후 1983년 레이건 정부시절 그레나다 침공 공산정권 상대로 승리하면서 오랜만에 완전한 승리를 거뒀다.

약 46년 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도 미군이 철수하면서 제2의 사이공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104] 실제로 미군이 철수하자마자 대통령을 비롯한 아프간 정부 수뇌부는 탈출했고 우리나라도 현지 협력자들을 데리고 한국에 정착하도록 도와주는, 매우 유사한 상황이 되었다.

15. 전쟁 중 사용한 장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베트남 전쟁을 다룬 창작물

루이 암스트롱 - What a Wonderful World (1967) 롤링 스톤스 - Gimme Shelter (1969)

전쟁의 전반적인 전개 양상 때문에 대부분 베트남 전쟁을 다루는 경우 반전 성향을 띄며 전쟁의 허무함을 다루는 경우가 꽤 많은 편이다. 특히 미국이나 한국에서 이런 창작물들이 많이 나왔었다. 심지어 영원한 전쟁처럼 베트남 전쟁과 상관 없는 미래 전쟁을 배경으로 한 SF 소설도 작가가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 출신이라 이런 영향을 받아 비슷한 풍으로 쓰이곤 했다.

눈여겨볼 만한 점은, 2차 대전 때와 달리 흑인 인권이 한층 신장된 데다 징병제까지 겹쳐서 2차대전 시대를 다룬 창작물과 달리 비중 있는 흑인 인물이 나오는 경우가 잦다.[105]

16.1. 소설

16.2. 드라마

  • 머나먼 정글
  • 머나먼 쏭바강
  • 전쟁과 사랑 - 극 최후반부에 안재욱이 베트남에 파병가는 장면이 나온다. (베트남 현지 촬영이었다.) 전투장면에서 당시 신인이었던 정준호 등의 모습도 볼 수 있다.
  • 순풍산부인과 - 주인공 오지명이 군복무를 했던 젊은 시절에 베트남으로 파병을 갔다가 베트콩에 붙잡혀서 죽을뻔했다. 이 때 생명의 은인의 딸 취업청탁을 들어주려했으나, 허영란에 의해 그녀는 단 하루 만에 그만둔다.
  • 영웅시대 - 극 막판부에 세기그룹의 천태창(나한일 분) 등이, 베트남전쟁 중 베트남 현지에서 공사를 따내고 작업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단, 실제 현지촬영은 아니다.
  • 동조자
  • 작은 아씨들 - 원상아 아버지 원기선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서 장군 칭호를 받았다.

16.3. 영화

특히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은 1960년대를 상징하는 사건이기에 1960년대를 다루는 할리우드 작품이라면 거의 반드시 언급되거나 묘사된다. 대개 전쟁이 한 인격을 얼마나 철저하게 파괴시키는가에 대한 고찰이 담긴 내용이 많기 때문에 전쟁이 모든 것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지닌 사람들에게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명작들이 많다.

16.4. 뮤지컬

16.5. 만화

16.6. 게임

베트남 전쟁 관련 명작 영화들이 많은 것과 대조적으로 베트남 전쟁 게임은 성공한 것이 손에 꼽을 정도로 대부분 평이 좋지 않다. 그나마 평이 좋고 흥행한 것은 라이징 스톰 2와 블랙옵스 시리즈 정도. 하지만 블랙옵스 시리즈는 베트남 전쟁만이 아닌 냉전 전반을 다루기에 베트남 전쟁 게임이라고 하기는 무리가 있고 라이징 스톰은 처음에는 평이 좋지 않았으나 1년간의 패치로 겨우 평이 개선되었다.

16.7. 노래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 팝송 중에서도 전쟁과 관련된 이미지로 남아 있는 노래들이 제법 있다. 특히 Fortunate son, War, Paint it black 등의 노래로서 시니컬하거나 반전 성향을 띈 노래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16.8. 서적

미국에서 나온 베트남 전쟁 서적은 정말 많지만, 반면 한국에 출판된 베트남 전쟁 관련한 서적은 2차 세계 대전이나 6.25 전쟁 관련 서적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나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제목으로 다룬 국내 서적은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
  •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마이클 매클리어 지음/유경찬 옮김, 을유문화사 출간]
    캐나다 종군 기자인 마이클 매클리어가 쓴 베트남 전쟁 서적이다. 1981년 13부작 짜리 저자의 다큐멘터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1945년 미국의 OSS요원들이 베트남에 들어가 베트민 조직을 훈련시키는 과정부터 1946년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과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분단된 베트남과 응오딘지엠 정권의 부정부패상,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의 참전과 북폭, 베트콩의 게릴라전과 호치민 루트, 1968년 구정공세와 미국내에서 일어난 반전운동 호치민의 사망과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 그리고 1972년 크리스마스 폭격과 파리평화협정 1975년 남베트남 패망까지 약 30년전쟁을 서술한 책이다. 저자 마이클 매클리어는 수많은 사람들의 증언과 인터뷰를 통히여 이 책을 썻다. 베트남 전에 참전했던 일반 병사들과 장교들부터, 미국내에서 반전운동을 했던 반전운동가들, 응우옌 까오 끼와 같은 남베트남 지도자들 그리고 팜반동과 같은 북베트남 지도자들 까지 저자 마이클 매클리어는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 했기에 객관성이 보장된다.[151] 베트남 전쟁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전개양상을 아는데 있어서 매우 좋은 책이다.
  • 베트남 전쟁과 나 [채명신 지음/팔복원 출간]
    주베트남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이 직접 집필한 회고록이다. 나무위키에 서술된 내용중 많은 것이 이 책에 나온다. 채명신 장군의 주장에 따르면 "한국 내부에서 베트남 전쟁 참전을 비하하고 왜곡하는 이들에 맞서서 역사적 사실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알리기 위해서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그런 취지를 떠나서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채명신 장군이 보는 베트남 전쟁이란 어떤것인지 그리고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베트남 전쟁이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편향성이 강할 수밖에 없으며, 객관적인 역사서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는 추축국 참전 군인의 미화적 회고록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152]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조너선 닐 지음/정병선 옮김, 책갈피 출간]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과 서방세계에서 일어났던 반전 운동과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서술한 책이다. 반전운동에 참가했던 군인들과 대학생 지식인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베트남 전쟁에 반대했는지 알 수 있다. 다만 이 책은 현재 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153]의 사상을 교조적으로 따르기 때문에 그 점을 감안하고 볼 필요가 있다.[154] 그래도 베트남 전쟁 시기 남녀평등 문제와 인종문제 이후 미국의 중동개입 문제까지 심도있게 고찰한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미국과 서방세계에서 일어난 베트남 전 반전운동을 알기위해선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 전환시대의 논리 [리영희 지음/창작과 비평 출간]
    리영희가 쓴 책이다. 베트남 전쟁에 대해 아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2000년대 들어와서 출판된 전환시대의 논리의 분량은 대략 500페이지 정도 되는데 그중에 1/5은 베트남 전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내용은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는 19세기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부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까지의 내용을 다뤘고, 2부는 남북분단 이후 1975년 북베트남의 통일까지의 내용을 다뤘다. 반공주의라는 틀을 벗어나 국내 최초로 베트남 전쟁을 민족해방세력 대 제국주의 세력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했다. 물론 시대상 당연히 탄압되었지만 70년대~80년대 대학가에 활동하던 운동권의 필수도서였다.[155] 참고로 저자 리영희는 주로 미국 측 문서를 많이 인용했다.[156] 1974년에 나온 전환시대의 논리는 베트남 전쟁을 1부와 2부로 나누었는데, 1980년대 리영희 교수가 쓴 책 <베트남 전쟁>은 3부까지 확장했다. 전환시대의 논리 특성상 베트남 전쟁이 공산주의 진영의 승리로 끝나기 전에 나왔기에, 종결시점까지 다루지 못했다면, 전환시대의 논리 확장판인 <베트남 전쟁>은 종결시점과 베트남 전쟁에 관한 총평까지 총괄한다.
  • 베트남 100년 전쟁 [이장길 지음/도서출판 대한시청각 출간]
    베트남 전쟁 당시 1968년에는 맹호부대의 포로심문관으로서, 1972년에는 민심참모와 철군부대 지휘관으로서 참전했던 이장길씨가 저술한 책이다. 베트남의 역사와 필자가 심문했던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월맹군의 포로가 쓴 진술서, 그리고 베트남 전쟁당시 필자의 경험담, 나아가 베트남이 앞으로 나아가할 길에 대한 필자의 제안도 담고 있다. 필자가 참전 군인임에도 불구하고 리영희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전쟁을 반공주의적 시각이 아닌 민족해방전쟁으로 해석하고 있다.
  • 호찌민과 베트남 전쟁 [김태완(글)/주경훈(그림)/손영운(기획), 주니어김영사 출간]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생용 위인전이다. 2012년 12월 28일 초판을 발행했다. 어린이용 도서이긴 한데 호찌민에 대한 내용과 베트남 전쟁 관련한 내용이 굉장히 탄탄하다. 호찌민의 일대기와 베트남 전쟁 관련해서 있을 내용은 거의다 있다. 심지어 호치민의 최대 실책이라 할 수 있는 토지개혁도 응오딘지엠의 탄압과 더불어 이 책에서 균형있게 다루고 있고 베트남 전쟁에 대한 얘기도 어린이용 만화치고는 생각보다 탄탄하다. who? 시리즈에서 출간한 호찌민 위인전에 비해 역사에 대한 설명과 고증면에서 확실히 그러하다. 베트남 전쟁 관련한 정보를 얻고 싶은데 두꺼운 책이 부담스럽다면 입문격으로 읽어볼만한 책이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한겨레 출판 출간]
    6.25 전쟁의 저자이자 서울대 교수인 박태균 교수가 쓴 베트남 전쟁 관련 대중서적이다. 베트남 전쟁 한국군 파병 50주년이자 베트남 전쟁 종결 40주년인 2015년에 출간되었다. 한국군의 파병, 베트남 전쟁 민간인 학살, 한강의 기적에 감춰진 이야기, 미국의 패배한 이유, 베트남 전쟁 당시 참전했던 병사들의 기록을 비롯한 얘기들을 책에서 다뤘다. 조너선 닐의 '베트남 전쟁'처럼 베트남 전쟁의 본질을 분석한 책이다. 한국의 역사학자가 베트남전쟁을 전반적으로 다룬 책은 이 책이 유일하다.[157] 베트남전쟁의 한국군에 대해 이해하려면 매우 두꺼운 1차사료집을 파지 않는 한에는 이 책을 읽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다. 그리 두껍지도 않고 원래 신문 칼럼이었던지라 읽기도 제법 쉽다. [158]
  • 최고의 인재들 [데이비드 헐버스템 지음/송정은, 황지현 옮김, 글항아리 출간]
    6.25 전쟁을 분석한 서적으로 유명한 콜디스트 윈터(The Coldest Winter)를 집필한 저자 데이비드 헐버스템이 쓴 베트남 전쟁 관련 서적이다. 베트남 전쟁의 전개 양상을 다루기 보단 로버트 맥나마라, 맥조지 번디, 존 F. 케네디 그리고 린든 존슨과 같이 소위 미국 최고의 엘리트라 불리는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 베트남 전쟁에 개입했고, 최악의 실수를 지질렀는지를 철저하게 분석한 논픽션 걸작이다. 따라서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1960년부터 1965년까지의 내용이 대부분이고, 그들의 심리상황과 과거 이력 그리고 그 당시의 국제 정세가 베트남 전 개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내용이 핵심이다. 책을 읽다보면 소위 세계 최고의 엘리트라 불릴만한 사람들이, 우월주의와 오만감에 심취하여 베트남에 군대를 파견했던 그들의 행적을 보고만 있으면, 소름끼칠 정도...미국에게 있어서 '최악의 실수'라 불리는 베트남 전쟁을 미국 최고의 인재들이 어떻게 계획하고 왜 개입했는지를 알 수 있는 명저이긴 하지만, 1104 페이지라는 압도적인 분량이 읽는 이를 짓누를 것이다. 첫장부터 끝까지 정말 글 밖에 없다. 심지어 역자 마저도 '깨알 같은 글씨'라고 디스한다.
  • 나라를 빼앗긴 군대의 비망록-월남군, 그들의 이야기 [김만식 지음/중앙미디어 출간] 남베트남군만 다룬, 국내에서 보기 드문 책이다. 남베트남군의 역사와 편제, 구성, 패망 원인, 교훈 등을 다룬다. 한국군 중위가 작성했고 전쟁 당시 주베트남 한국 대사의 경험담 등을 참고했다. 응오딘지엠 정권의 경제 발전상 등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 숨겨진 전쟁 미국의 캄보디아 침공 [김주환 옮김, 도서출판 선인 출간] 1969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캄보디아 폭격과 이어진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캄보디아 침공을 다룬 책이다.
  • 빈딘성으로 가는 길 [전진성 지음/책세상 출간] 베트남 전쟁에서의 전반적 내용과 각종 민간인 학살, 후대 자손들이 이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 지를 나룬 책이다.

16.9. 다큐멘터리

  • PBS 베트남 전쟁
    2017년에 제작된 베트남 전쟁 다큐멘터리다. 총 10부작으로 제작되었고, 미군 참전용사, 남베트남군 참전용사, 북베트남군 참전용사, 베트콩 참전용사, 반전운동가 등 총 60명 이상이나 되는 사람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해 여러시각으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다만 에피소드 1편당 평균 1시간 30분이나 될 정도로 러닝타임이 길다. 심지어 2시간이나 되는 에피소드들도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 Vietnam American Holocaust
    영화 지옥의 묵시록 주인공으로 유명한 영화배우이자 감독인 마틴 쉰이 2008년에 제작한 베트남 전쟁 관련 다큐멘터리다. 총 90분 짜리 다큐멘터리로 200만에서 500만에 가까운 동남아시아인 사망자가 궁극적으로 미국의 책임임을 강력히 주장한다. 즉 미국의 무차별 폭격과 고엽제 살포, 네이팜 투하, 그리고 자유사격지대와 바디 카운트 방식 등의 전략을 동원한 군사작전으로 수백만의 양민이 죽었으며, 현재 이라크에서 이러한 인명살상 및 양민 학살이 일어난다는 것이 이 다큐멘터리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미국에서 만든 반미주의 성향의 베트남 전쟁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다.

17. 관련 문서

17.1. 문서가 작성된 전투 및 작전

17.2. 그 외

17.3. 둘러보기 틀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 1 Mk. III* (HT),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Owen Mk.I, L2A1 SMG, F1
권총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L2A1 LMG, M60
유탄발사기 M79, XM148, M203
대전차화기 L4, L6, M20, M72
화염방사기 M2A7-7
박격포 L16
폭발물 수류탄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냉병기 총검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트남 전쟁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40, M70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XM21, M21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 XM16E1, CAR-15, GAU-5, XM177E1, XM177E2, M16A1, T223
기관단총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스텐 Mk.IIS
산탄총 M12, M37, M520, M77E, M870, Auto-5, M11-48, M1100, M1200, M7188, SOW
권총 M1903, M1907, M1911A1, M1917, M1927, PPK, 브라우닝 하이파워, HDM, 루거 Mk.1, M15, Mk.I B, QSPR, Mk.22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6, M37, M73, Mk.23, M60, M134, HK21, HK23A1, M2HB
유탄발사기 M79, 차이나 레이크, X-1, XM148, XM174,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대전차화기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화염방사기 M2, M9, XM191
박격포 M2, M19, M29, M30, Mk.2, Mk.4
맨패즈 FIM-43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화학탄 M7A2, M14, M18, M25A2, M34
지뢰 M14, M16, M18A1
폭약 M1,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37, M183
냉병기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총검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 M551 셰리든
주력전차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 차륜장갑차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 소형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 자주곡사포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 M125, M106
대전차 자주포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베트남전 시기의 베트남 인민군 기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1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베트남 인민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24 채피FR, AMX-13C
중형전차 및 MBT T-34-85, T-54, T-55, 59식 전차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
APC BTR-40, BTR-50, BTR-60, BMP-1, 63식 장갑차, M3 하프트랙
자주대공포 BTR-40A, ZSU-57-2, ZSU-23-4 쉴카, Phòng không T-34M, Phòng không SU-76MM
자주포 M8 스콧FR, SU-76M, SU-100
※ 윗첨자FR: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이 유기하고 간 것을 수습.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현지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반자동소총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자동소총 StG44, M2 카빈
기관단총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권총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무반동포 M18
로켓발사기 PIAT, M9, M2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1] 1955년을 시작 시점으로 볼 경우[2] 미국의 개입을 시작 시점으로 볼 경우[3] 사실 호찌민은 1950년대 말 실권을 내려놓았고 레주언이 실권을 장악해 베트남 전쟁을 실질적으로 지휘했다.[4] 비록 이름뿐이지만 1972년까지는 최용건이 수령이고 김일성은 총리였다. 그러나 사회주의 헌법이 선포되면서 김일성이 수령으로 올라간다. 한마디로 최용건은 1972년까지만 지휘관인 셈이다.[5] 1968-1969년에 걸친,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주둔했던 주베트남 미군의 최대 병력으로 전쟁의 모든 기간 동안 파병된 미군의 연간 인원은 무려 280만명이다. 68년의 구정 공세 직후 웨스트모어랜드의 요청으로 주둔 병력의 한도를 70만 명으로 증가시키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반전 여론이 거세 실행되진 않았다.[6] 누계 38만 명[7] 1968년의 병력[8] 호찌민 루트를 통해 파견된 베트콩으로 위장한 북베트남군도 포함되어 있다.[9] 전투 손실 47,434명 포함[10] 출처: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230[11] 이중 북베트남 상공에서 파괴된 기체는 1,000대 이상[12] 출처: http://www.answers.com/Q/How_many_tanks_were_in_the_Vietnam_war[13] 베트남 측 추산이다. 또한 이 중 1/3은 비전투 손실이었다고 주장한다. 미국 측은 1964년부터 1974년까지 66만 6,000명에서 95만 765명이 전사했다고 추산한다.[14] North Korea fought in Vietnam War[15] 이것은 미군이 롤링썬더 작전을 하며 집계했던 통계다. 베트남 전쟁에서의 민간인 사망자는 보통 남북베트남을 아울러 200만으로 잡고 있다. 사망자 대부분이 폭격이나 고엽제 투하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폭력적인 미국의 세기와 좌파 세계사 참조)[16] 미군이 철수하기 시작한 시점까지만 치면 1973년까지다. 아직까지 전쟁의 시발점이 명확하지는 않으나 미국 국방부의 기록 중 베트남에서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고 기록한 것이 1955년 11월 1일이라 보통 베트남전의 시발점은 1955년으로 본다. 다만 미군이 투입된 본격적인 전쟁의 시작은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래서인지 미국 등지에서는 베트남 전쟁을 1960년대 말로 보는 시각도 많다.[17] 그런데 정작 미국을 비롯한 연합국은 북베트남에 투항한 적이 없다. 그저 남베트남에서 철군한 것이다. 강화 협정의 내용도 교전 중지, 주베트남 미군의 철수를 골자로 하는 것이다. 미군이 투항해서 북베트남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고 사죄한다는 것은 그 어디에도 없으며 그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리라는 건 북베트남도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미군은 전쟁의 전략적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고 북베트남은 달성했으므로 북베트남의 승전, 미국의 패전이라 보는 것이다. 즉, '패배(패전)'이라는 용어의 오남용으로부터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부분인데, 북베트남과 미국이 1:1로 전면전/열전을 벌인 후 미국이 패배했다는 개념이 아니다.[18] 이후 모래색 전투복을 입고 M16A4를 든 미군 병사가 M2 브래들리에서 내리고 중동의 시가지에서 이슬람 병사와 싸우는 이미지로 대표되는 걸프전 발발 전까지 '전쟁'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이미지가 대부분 이런 식으로 표현되었다.[19] 특히 이 베트남 전쟁은 미국의 참전 목적인 ‘자유민주주의 수호’라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당시 외신들이나 기자들에 의해 남베트남 정부의 부패와 추악한 이면이 드러나고 이에 대해 ‘부패하고 추악한 정부, 그것도 외국의 국가를 위해 우리의 친구, 형제들이 가서 싸워 죽는 게 이치에 합당한가?’란 의문이 들기 시작했으며 이를 부당하다고 여긴 당시의 젊은 세대들이 반기를 들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기성세대들은 ’공산주의가 얼마나 무서운 건지 모르는 철부지들‘이란 반응을 보이면서 세대갈등도 일었다.[20] 가령 현재 인기리에 판매중인 보잉보잉 787 드림라이너는 베트남 국적기인 베트남 항공의 주력 기체 가운데 하나이다.[21] 현재 미국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데 필리핀과 특히 경제적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베트남을 주목하고 있다.[22] 같은 사회주의권으로 분류되지만 중국-베트남 전쟁까지 치르는 등 중국-베트남 관계는 매우 좋지 않다.[23] 특히나 남중국해 문제로 인한 중국의 소위 ‘안하무인’격 외교 행태로 인해 해당 동남아시아 국가들 역시 군사력 증강에 적극 나서는 형편이다. 아울러 동남아시아 국가들간에도 앙숙인 경우가 많아 굳이 중국만이 이유가 아니어도 군사력 증상은 필요하다. 아울러 중국의 호전적인 정책으로 인해 대체 해외 생산지로 베트남이 각광받기 시작하는 부분도 한몫한다.[24] 심지어는 북베트남을 계승한 현재의 베트남은 자국민들에게 베트남 전쟁에 대해 승전의 역사로 교육해야 하기 때문에, 비록 상대적으로 대규모는 아니지만 분명히 이루어졌던 베트남 전쟁에 파견된 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들에 대해서도 공론화를 피하며, 대한민국이 조사 및 사죄와 배상의 뜻을 우회적으로 타진했음에도 오히려 베트남 정부가 이미 지나간 일이고 그 정도의 사과로 충분하다는 식의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며 은근슬쩍 넘어가는 게 현실이다.[25] 전쟁 당시 남베트남이나 구미 등지의 남베트남 피난민들은 그냥 베트남 전쟁이라고 불렀다.[26] 소련과 중국이 전투기와 막대한 방공무기를 제공했고, 중국은 대공포 부대를 보내 초기 북베트남 방공망을 지탱하기까지 했다.[27] 대만에서는 지금도 같은 용법으로 중국을 중공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1980년대 이전에는 중국을 공비라고 불렀다.[28] 두 영상 모두 라오스 내전캄보디아 내전을 포함하고 있다.[29]북베트남 측의 지속적인 선제공격에도 남베트남이 북진하지 않았는지는 후술.[30] 지식해적단의 영상.[31] 여기에서 알아야 할 것은 이때는 6.25 전쟁이 정전으로 마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라는 것이다. 더구나 6.25 전쟁은 종전도 아닌 정전으로 끝난 상태였기 때문에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땐 아시아에서의 공산주의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었는데 때마침 프랑스를 물리친 베트남이 등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예측은 베트남 전쟁으로 현실화되었긴 하지만, 도미노 이론을 보면 사실상 실패한 이론이다.오로지 캄보디아, 라오스만 적화되었다.[32] 마이클 매클리어가 쓴 <베트남 10000일의 전쟁>에 따르면, 이때 지원한 물량이 전차 1,400대, 비행기 340대, 정찰 보트 350대, 소총 24만 정에 탄약이 1,500만 발 등 사실상 사람 빼고는 미국이 전쟁했다고 봐도 좋을 정도이다. 이유야 물론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프랑스가 독자적으로 전쟁할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이다.[33] 다만 후일의 베트남도 미국을 상대로 한 전쟁은 식민지 해방 전쟁과 동급으로 여기진 않고, 남베트남 통일 전쟁의 일환으로 해석한 걸 보면 미국과 프랑스는 확실히 구분한 듯하다.[34] 사실 이 부분은 다소 좀 복잡하다. 자세한 건 호치민 문서 참조.[35] 사실, 공산주의가 현실에 정착하게 된 사건인 러시아 혁명이 어떻게 진행되었나를 보면 이후 세계 각지의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이처럼 폭력적이고 독재적인 성향을 띄는 것은 다소 일반적인 경향이다. 공산주의 체제를 유의미한 반발 없이 운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 애초에 권위주의적 체제에 반대한 공산주의자들이 '소아병' 취급 받았던 역사와 각지의 공산당들이 권위주의적 엘리트 계층으로 변질되었던 이유 중에 하나가 노동계급이 온전히 공산주의 체제에 동조할 것이라는 장담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36] 또한 프랑스 역시, 찬드라 보스의 부하들을 체포해서 재판에 넘겼던 영국 당국과는 달리 종전 이후로는 이러한 반공주의 독립운동가들에게는 좀 호의적으로 대했던 편이다.[37] 출처는 '나라를 빼앗긴 군대의 비망록-월남군, 그들의 이야기'라는 서적[38] 검소한 생활을 한 호치민도 양담배만큼은 매우 좋아했다.[39] 번외로 구찌유격대는 베트콩들이 거대 지하도시에서 만든 조직으로 미군 입장에선 베트남 게릴라 단체 중 무시무시한 존재였다.[40] 과거 응오딘지엠의 지지자였던 조셉 버팅어의 경우 책에서 2,500명의 남베트남군이 250명의 베트콩에게 패전했다고 썼다.[41] 물론 이아드랑 전투는 미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당시 미군은 LZ Albany 지역에서 최소 155명 이상의 전사자를 내는 패배를 겪기도 했다. 영화 위워 솔져스에서는 생략됐다.[42] 영국프랑스에게도 지원을 요청했으나, 영국은 인도네시아수카르노를 더 경계해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의 친영 국가들 방위에 집중하던 상황이었던지라 의장대 6명을 보낸 게 전부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크게 데인 프랑스는 샤를 드골 대통령이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을 직접 비판하기까지 했다.[43] 만약 중국도 참전했다면 3차대전으로 번졌을 확률도 있었다.[44] 이 때 소련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량으로 노획했던 독일제 무기를 뿌려주기도 했다. 북베트남군 및 베트콩이 뜬금 없이 독일제 화기인 MG34MP40을 들고 다닌게 이 때문이다.[45] 중국은 방공포 부대와 공병부대를 투입했다. 미군 개입 이후 정규 보병사단 투입도 제안된 적 있었지만 북베트남이 거절. 상술한 남베트남처럼 두 베트남 모두 중화권에 대해 알레르기가 극심했다.[46] 이정도로 차이가 난것은 애초에 호치민이 중국말만 믿고 병크를 터트린것도 크지만 그당시 남베트남은 미국의 무한 지원과 그당시 상당히 잘먹히던 개발독재이론등으로 상당한 성장을 거두었다.물론 개발독재는 나중가면 약발이 떨어지고 민주주의 체제로 변화되어야만 하는 사상이었지만 그당시에는 경제적으로는 효과가 있었다.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건 미국의 지원으로 이걸 잘써먹기도했다.물론 막판으로 갈수록 부패로 찌들어버리긴 했지만 말이다.[47] 파테트라오, 크메르 루주[48] 물론 도로를 파괴하는 등의 물리적 효과는 확실히 있었으나 북베트남인들의 끈질긴 복구작업이 반복되었다.[49] 시아누크의 오른팔이었던 론놀 장군이 미국이 자국에 융단폭격을 하는 것을 허락하자, 주민들이 크메르 루주를 지지하게 된다.[50] 실제로 소련은 베트남공화국군과 미군이 북위 17도선을 넘어가면 소련군이 개입하겠다는 선언을 하기도 했다. 반면 한반도의 경우 북한이 생떼피우고 대놓고 선제공격을 저질렀기 때문에 한국군만 넘되 미군이 38도선을 넘지 않는다면 소련과 중국이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실 1950년대 초반 한국군의 전력을 생각하면 그냥 넘어오지 말라는 이야기다.[51] 다만 북베트남을 정벌해도 여전히 무능한 통일 베트남의 내부 베트콩들에게 물자지원을 해주면서 내부 불만을 표출하게 해줄 수 있는 있는 중국과 소련이 존재하는 한 미국이 베트남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걸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핵심 적대 세력은 북베트남군이 아닌 남베트남 정부에 불만을 품은 '남베트남 내의 베트콩 세력'이다. 북진을 해서 북베트남을 밀어야 승리한다는 주장은 북베트남이 남베트남 내부의 베트콩 세력에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북진을 해서 밀어버리면 이걸 방지해서 이길 수 있다는 것인데 정작 통일을 시켜도 소련과 중국이 넓디 넓은 베트남 국경을 통해 통일 베트남 내부의 불만 세력에게 물자를 전달할 방법은 넘쳐나며 소련이 망하고 냉전이 끝나는 그날까지 대량의 미군이 베트콩과 전쟁을 벌여야 한다는 말이다. 즉 베트남 통일을 시킨다고 베트남전을 끝낼 수 없다는 것이다. 북베트남을 밀어서 지원세력을 없애버리는 방식으로 승리하려면 결국 중국과 소련도 밀어야 할 판이고 이는 위에 언급된 3차 대전이며 그렇기에 베트남전은 남베트남 정부가 무능한 이상 사실상 답이 없는 전쟁이었다. 즉 근시안적인 생각으로 보자면 베트남전의 근원이 북베트남이겠지만 더 나아가면 당연히 공산권 전체가 될 것이고 사실 진정한 근원은 민중 지지도가 매우 낮은 남베트남 정부가 될 것인데 같은 편에게 총을 들이댈 수는 없으니 베트남전의 승리는 불가능한 것이 된다.[52] 사실 로버트 케네디와 같은 강력한 경선 경쟁자들 때문에 경선 낙선 이야기가 많았다.[53] 출처는 윌리엄 J 듀이커의 호치민 평전 p811과 United States, Government (2010).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casualties of the Vietnam War".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10. Retrieved March 6, 2010., 베트남 전쟁 참전 시점부터 1967년 12월까지의 베트남 전 미군 전사자는 20,000명이다. 즉 1968년까지 미군은 38,000명이 전사한 셈이다. 그리고 소수병력만 남기고 철군하는 1972년을 제외하면 1971년까지 3년간 20,000명의 전사자를 더 냈다.[54] 꼭 그런 것만도 아닌 게 1970년 중국의 인공 위성 발사 성공으로 무기로서의 핵 개발이 완성되었기에 태도를 바꿨다는 견해도 있다.[55] 남베트남응우옌반티에우는 공산주의자들과의 협상은 없다며 파리 평화 협정을 강력하게 반대했으나, 결국 미국의 압박에 의해 마지 못해 서명하게 된다.[56] '응우옌타인쭝(Nguyễn Thành Trung)'이라는 조종사다.# 기사에는 구엔이라고 나와있으나 현행 외래어 표기법상으로는 응우옌이라고 표기하는 게 맞다.[57] 사진 속 844호 단차는 선두가 아닌 후속 차량이다. 선두였던 843호(같은 T-54B)와 390호(중국제 59식) 단차가 베트남 전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사진을 이야기하면서 한국의 일부 보수 논객들은 북한 주석궁에 한국군 탱크가 진군해야 진정한 남북통일이라고 이야기한다.[58] Lê Minh Đảo 1933~2020. 남베트남군의 몇 안되는 유능하고 청렴한 지휘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보통 사이공이 함락되기 직전에 자살했다느니 또는 행방불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전쟁이 끝난 뒤 북베트남군에 생포되어 16년 동안 복역했다가 석방되어 미국으로 망명했다.[59] 사이공 북부를 지키고 있던 5사단과 레인저 부대 일부가 헬기편으로 지원되었다.[60] 그동안 3일 정도 공세가 멈췄는데, 전(前) 남베트남 공군 사령관이자 부통령이었던 응우예까오끼는 자서전에서 이게 자기 지시로 투하한 데이지커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61] 이곳이 한국 대사관 직원들에게 배정된 시큐리티 포인트 3이었다. 한국 대사관 직원들은 시큐리티 포인트 3로 탈출하라는 미국 대사관의 지시를 받고 건물로 진입을 시도했지만 입구에서 한국인들을 태워 가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문을 안 열어 주었다. 결국 급박한 상황 속에 직원들은 그냥 조금 더 내려가면 있는 미국 대사관으로 강행했다. 하지만 조금 늦게 도착하여 문 두들기다가 실패한 이대용 공사 외 2명은 한국 대사관으로 돌아갔다. 이후 이들은 그대로 공산 베트남에 억류되어 기나긴 포로 생활을 한다. 아마도 너무나 혼란스러워 미국 대사관과 시큐리티 포인트3 사이에 연락이 실패한 듯 하다. 마지막으로 나타나 문을 열어 달라고 했다가 실패한 한국일보 특파원 안병찬 기자에 의하면 "만약 들어갔어도 내 차례가 와서 헬기를 탈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라고 했다.[62] 아래 나오는 영상에도 이 장면이 마치 그레이엄 대사의 탈출 장면처럼 나와있다.[63] 이 때 상황은 한국일보 특파원으로써 4월 30일 새벽 5시 마지막 헬기편으로 탈출한 안병찬 기자의 '사이공 최후의 표정 컬러로 찍어라'를 보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또한 1990년대 드라마인 머나먼 쏭바강에서도 사이공 함락 이후 주인공이 간신히 살아남아 탈출하는 과정을 아주 정확히 묘사해 놓았다.[64]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 프랑스군으로 참전했던 인물이다. 베트민군의 포로로 붙잡혔다가 제네바 협정 이후 월남하여 남베트남군 사령관이 됐다.[65] 오히려 인도는 인도 국민 회의당 등 비(非)공산 계열 정당들이 정치적 주도권을 쥐며 민주적 정체를 유지하던 나라였다.[66] 이쪽은 남베트남만큼 막장이 아니었고, 북한이 먼저 선을 넘었고, 중남미에는 온두라스를 선제공격한 엘살바도르에게 압박을 가했고 특히 칠레만큼은 아옌데가 사회주의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도록 미국이 마음놓고 개입할 수 있다.[67] 공산 베트남은 베트콩과 짝맞게 자력으로 통일을 했는데 북한은 미국이 베트남을 계속 붙잡아야 된다고 공산 베트남을 이용해 먹었다. 여러모로 북한은 소련과 중국에 적화통일 도와달라고 구걸하는 것도 모자라 뜬금없이 베트남에서 미군 철수를 반대했으니 북베트남 측에선 황당한 일이었고 바르샤바 조약기구는 물론 공산국가에서 좋게 볼 리가 없었다.[68] 당시 미국 경제도 1960년대까지 이어지던 황금기가 끝나고 불황으로 접어든 상황이었다.[69] 다소 시끄럽고 전장의 소음을 묘사한 기타 소리가 공포스럽게 들릴 수 있다.[70] 초반에는 정상적인 연주로 들리나, 후반부는 폭탄이 투하되는 소리, 폭격 소리, 사이렌 소리, 사람의 울음소리, 그리고 미군에서 추모곡으로 사용되는 '탭스'의 멜로디를 섞어 베트남 전쟁과 미국 정부를 풍자한 것이라고 알려졌다.[71] 특히 고엽제 피해자가 많았다.[72] 28만 7천 300명이 서부전선에서 12만 명이 태평양에서 사망.[73] 게다가 소련과의 핵전쟁이 불가능해진 뒤로 양측의 대결은 동시기의 남북한처럼 체제대결로 전환됐는데, 이 과정에서 엄청난 돈이 깨졌다.[74] 상기에 살짝 언급이 됐지만 베트남 전쟁 수행을 위한 달러화 추가 발행 때문에 당시 대통령인 리처드 닉슨은 1971년 의회의 동의 없이 기존 브레튼 우즈 체제를 깬 스미소니언 체제를 출범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질서라 할 수 있는 브레튼 우즈 체제는 '금 1온스=35달러'의 고정환율로 미국은 이 금본위제를 25년 간 지켜왔는데 이는 미국이 베트남 전쟁 전까지만 해도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의 통화수지 적자를 견디면서 미 달러화의 가치를 유지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으로 통화수지 적자가 가중되었고 동시에 미 달러화의 가치도 떨어지는 이른바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에 빠지게 되면서 '금 1온스=38.02달러'의 교환비율로 금본위제를 재조정하여 달러화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결국 누더기가 된 금본위제는 베트남 전쟁 종전 후인 1976년에 전격적으로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할 특별인출권 제도의 도입, 고정환율과 변동환율의 선택적 적용 등을 골자로 한 킹스턴 체제로 전환되기에 이른다. 자세한 설명은 국제통화기금(IMF) 문서 참고.[75] 물론 미군 출신 상당수가 다른 일자리가 없어서 전역후 빈곤층, 노숙자가 되는 사례는 베트남전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만 이 때는 투입된 병력도 많고, 전역자들에 대한 사회적인 배려도 부족하고, 경제가 막장 되면서 일자리도 없고 해서 노숙자 수도 유의미하게 급증한 것이다.[76] 이 사위는 전쟁에서 생환한 뒤 훗날 대통령을 역임했던 장인어른처럼 정계에 입문하여 버지니아 주에서 주지사, 상원의원을 지낸다. 존슨이 백악관에서 결혼식을 열어줄 정도로 사랑해 마지 않았던 사위라고 한다. 그러다가 장인이 숨진 뒤에도 계속해서 정치를 하다 2010년대에 정계에서 은퇴했다.[77] 아이러니하게도 현재는 한국산 손톱깎이가 세계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78]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낮은 이득이었다고 지적하는 바도 있다. 미군 1인당 파견 비용이 1만 3천 달러 수준, 필리핀 비(非) 전투원 1인당 파견 비용 7,000 달러, 한국군은 1인당 5,000 달러 수준이다. 베트남 파병으로 인한 한국의 이득(1965~1969)은 약 5억 5,000만 달러이며, 베트남에 파병하지 않은 일본의 이득보다는 적고, 대만의 이득보다는 약간 상회하는 정도다. 이것은 1970년 사이밍턴 청문회 때 포터 주한미국대사가 참전에 따른 한국의 경제적 이득을 설명한 대목이다. 즉, 전쟁에 참가하지 않던 일본이 한국보다 더 많은 금전적 대가를 베트남 전쟁에서 얻었다는 것이다.[79] 당시는 정부가 제시한 베트남 전쟁에 대한 시각과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아래 서적 문서에 있는 전환 시대 논리의 저자 리영희는 긴급조치 9호로 인하여 재판받고 형을 보냈다. 당시 운동권이었던 리영희가 저술한 <전환시대의 논리>는 베트남 전쟁을 제국주의 세력(미제) VS 민족 해방 세력(북베트남)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했다.[80] 출처: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3권/ 74쪽[81] 대표적인 예로 1962년 2월 24일 주한미군에 폭행당한 임산부가 낙태한 사건, 1962년 5월 16일 미군부대에 출입하던 양공주가 미군들에게 윤간당하고 머리를 깎인 사건, 1962년 5월 29일 미군 장교가 부대 안의 한국인 종업원을 모아놓고 절도 혐의자를 전신주에 거꾸로 매달아 가혹한 매질을 한 사건 등이 잇따라 일어나자, 1962년 6월 6일 고려대 학생 2천여 명이 이런 주한미군 범죄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출처: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2권/ 121~122쪽[82] 이건 미군이 자국 군인들의 대민범죄에 지나치게 관대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실 소파 체결 이후에도 미군은 자국 군인이나 군속 혹은 그 가족이 한국인에게 저지른 범죄가 살인, 강도상해, 강도강간, 아동 성범죄 같은 극악무도한 흉악범죄가 아니면 가능한 한국 법정에 넘기지 않고 어떻게든 법적절차를 질질 끌면서 자체적으로 피해 한국인에게 배상한 뒤 범죄자를 미국으로 신속하게 송환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물론 전과자로 등록되어 군대에서 추방당하고 이후 인생은 망하지만, 한국군인이나 한국 민간인, 일반 외국인이 같은 범죄를 저질렀다면 유죄가 확실한 이상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바로 감옥에 갔을 거라는 걸 생각하면 얼마나 봐줬는지 알 수 있다.[83] 군법에 의한 보상액은 엄청나게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다른 국가 보상 규정도 비슷한데, 대신 이 헌법에 다루는 대상을 제외하면 다른 방법으로 추가적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84] 정확히 말하면 문민경찰이라는 명목으로 어디까지나 전쟁이 끝난 다음에 평화유지 임무를 띈 목적으로 보내는 안을 검토한 적은 있지만, 그나마도 검토만 하고 말았다. 당연히 전범국이어서 평화헌법에 의해 전투병력은 파견하지도 못했다. 애초에 자위대는 군대로서 참전할 수가 없다. 그러나 1992년 국제평화협력법이 제정 되면서 UN의 평화유지군에 해당 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자위대 파견은 가능하게 되었다. (파견 이라고 칭하는 이유는 자위대는 군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비록 소규모 이긴 하지만 적지 않은 횟수의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 해 왔고, 남수단과 아이티 처럼 재건을 위한 비전투 파병의 경우 각각 370명, 1090명 규모에 달하는 자위대를 파견 했다.[85]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로 이때부터 박정희 정부에서 자주국방을 외치고 서서히 핵개발을 하기 시작했다.[86] 호랑이의 습격으로 인해 작전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87] 이 영어 때문에 응우옌 장군으로 알려졌다.[88] http://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35744.html[89] 공식적인 희생자가 대략 26,000명 정도며, 많게는 41,000명까지도 추산한다.[90] 당시 남베트남 인구 1900만명 중 학살이나 보트피플 대상자 100여만명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다시 미성년자 등을 제외한 성인의 숫자는 약 천만대 초반 정도다. 그 중 100만명이니 고위층이라고 할 수는 없다.[91] 적어도 당시 박정희는 김일성의 의도가 여기에 있다고 봤다.[92] 사실은 불가능하다. 김일성은 베트남처럼 자력으로 통일하지 않고 동맹국들을 이용해 먹으면서 적화통일을 하려고 했으니 생고집피우는 북한을 바르샤바 조약기구에서 좋게 볼 리가 없었다.[93] 사실 중소 분쟁도 어느 정도 정리되고 북한도 주체 사상으로 고립되어 있어 이전과 같은 원조가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노골적으로 도움을 거절당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94] 이대용 공사는 당시 한국 정부를 미국의 괴뢰 정권으로 인식하고 있던 공산권의 시각 때문에 더 가혹한 처우를 받았다고 한다. 쉽게 말하면 미제의 스파이 취급을 받은 것.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대용 공사는 당신 같은 고위직이 무사히 살아온걸 보면 변절했을 것이라는 의심을 받으며 곤욕을 치른다. 심지어 이수근(북한)이 간첩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월간 조선에 했다가 욕을 무척 먹었다.[95] 여담으로 저자는 외국에 아는 사람이 있다는 이유로 공산 베트남 당국의 출국 허가를 받아 미국에서 살았다.[96] 북베트남은 중국군 공병 부대는 허용했을지언정 반중성향이 여전히 남아있기에 중국군 정규군 병력을 17도선 전방에 투입하는 것을 결사 반대했다. 중국의 구정 공세 자제 요청에도 씹고 강행했을 정도.[97] 다만 팔메 총리의 암살 배후에 대해서는 팔메가 베트남 전쟁을 맹렬히 비판하고 북베트남 폭격을 나치의 학살과 비교하면서 거의 미국-스웨덴 관계를 단교 직전까지 만들어 척을 질 대로 진 린든 B.존슨 외에도 소련이 핵무장을 해서 전 세계가 위험해졌다면서 소련을 비난해댄 관계로 소련 KGB도 암살 용의선상에 올랐고, 사민주의자였던 팔메 총리가 강도 높은 부의 재분배를 진행하면서 스웨덴 극우 세력과 재벌들에게 공산주의자라면서 비난을 받고 있었던 관계로(스웨덴의 복지시스템의 기초는 팔메 총리가 전부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도 용의 선상에 올랐으며 아파르트헤이트를 평소에 강도높게 비난한 관계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보기관, 심지어 단순한 정신병자의 소행이라는 등 용의자가 한둘이 아니다.[98] 소련-아프간 전쟁은 공산진영에서는 중국이 미국을 통해서 무자헤딘을 지원했다.[99] 훗날 미국이 지원해줬던 무기들은 적화통일한 북베트남이 중국과 전쟁할 때 잘만 써먹었다.[100] 훗날 젤렌스키가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최측근도 압수수색하는 이유다.[101] 응오딘지엠이 실각한 이유가 이 짓거리를 하는 것을 미국과 남베트남 군부가 용납할 수 없어서였다. 농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할 판에 오히려 뻘짓을 반복하고 있으니 속이 터지지 않을 수가 있나.[102] 출처: J. Race, “War Comes to Long An”, from War Comes to Long An: Revolutionary Conflict in a Vietnamese Province, (Berkeley: 2010)[103] 그렇게까지 많은 지원이 필요한 것도 아니었다. 리엔민은 알아서 미국제 소총까지 복제할만큼 갖출 건 다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군인 월급+강철 수급만 제대로 해줬어도 역량 유지가 가능했다.[104] 베트남에서의 철수는 미군의 군사력이 한계가 도달했기 때문이고,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철수도 미군이 더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프간 및 탈레반 문제를 중국에 떠넘기려 한다는 기존 해석은 왕이와 탈레반의 회견, 급속도로 붕괴되는 아프간 정부군의 상황을 보았을 때 완벽하게 틀렸다.[105] 1960년대 흑인민권운동이 벌어지면서 1960년대 후반부터 그나마 20년전보다 나아졌기 때문이다.[106] 파베트남 장병이지만 거의 후방에서만 수사대에서 근무했던 작가의 경험을 살린 것인지 베트남 전쟁을 다룬 창작물 치고 흔하지 않은 정글에서 M16들고 뛰어다니는 내용이 아니라 다낭의 암시장을 중심으로한 도심 첩보물, 정보물에 가까운 작품이다. 그래서 주인공의 주무장도 흔치 않은 M2카빈의 공수부대형 개머리판이 장착된 모델을 사용한다.[107] 동 작가의 소설. R.Point에서 탑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결국 미군장교가 불도저로 밀어버리는 소설. 영화 알 포인트의 원작이다[108] 아래 후술된 영화가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미국의 역사학자 하워드 진이 대학에서 가르치던 학생들에게 읽기를 추천해주던 책이다.[109] 정확한 제목은 We Were Soldiers Once...and Young: Ia Drang - The Battle That Changed the War in Vietnam[110] 아래 후술된 영화 위 워 솔저스가 이 책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영화의 주인공인 할 무어 중령과 종군기자 조 갤로웨이가 이 책의 저자들이다.[111] 이 소설이 바로 영화 람보 1편의 원작 소설이다. 그래서 미국 본국에서는 영화 제목이 소설과 똑같이 First Blood 그대로다. 람보 1편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이후 PTSD로 인해 고생을 하고 있던 존 람보의 이야기이며, 영화와 다른 점은 PTSD가 제대로 터지는 바람에 자신에게 적대한 자들을 모조리 죽였고, 자신 또한 막바지에 자신과 마찰을 빚었던 티즐과 총격전 끝에 티즐도 죽이고, 자신도 결국엔 죽었다는 점이다.[112] 제33장 왕자 이야기가 이시기 릴리 에반스와 노동자 집안의 세베루스 스네이프의 이야기이다[113]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반전운동가가 된 론 코빅이 쓴 자서전을 영화화한 것.[114] 미국의 미덕이라 불리는 가치들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다루는 영화를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한 감독이다. 그리고 본인이 베트남전 참전용사다. 그가 감독한 또 하나의 작품인 월 스트리트는 자본주의의 병폐에 관한 내용의 지금의 상황에 대입해서 본다면 훌륭한 작품이다.[115]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페이크 다큐멘터리 영화다.[116] 가수 남진의 베트남 전쟁 경험담이 각색되어 들어가 있다. 실제로 남진은 해병대에 복무하던 중 베트남 전쟁에 파견되었는데 전쟁 과정에서 몇 차례 죽을 위기를 넘겼다고 한다. 영화에서 베트남에 사업하러 간 주인공 윤덕수와 친구 천달구가 남진을 만나고 현지 주민들을 구출하여 철수하는 장면으로 나온다. 여기서 윤덕수는 과거 6.25 전쟁 시절에 겪었던 자신의 어린 시절과 겹쳐 보이는 2번의 광경을 목격하게 되는 데 첫 번째는 어쩌다가 얻은 초콜릿을 다른 아이들에게 얻어맞은 끝에 뺏기고 우는 소년, 두번째는 전쟁의 위협에서 탈출하려던 마을 주민들을 베트콩이 습격하면서 생이별의 위기에 처한 한 남매다. 전자는 윤덕수가 초콜릿을 건네주자 그걸 받아들고 그냥 가나 싶더니 베트콩의 미군 건물 테러를 눈치채고 윤덕수에게 간접적으로 알려서 윤덕수의 목숨을 구하는 것으로 끝났고(그 소년은 결국 테러에 휘말려 사망) 후자는 남매를 구출하기 위해 강에 몸을 던졌다가 베트콩에 의해 총상을 입은 채 귀국하며 천달구는 자기가 구출한 현지 주민과 눈이 맞아 결혼까지에 이르게 된다. 참고로 윤덕수가 남진의 팬이 된 이유가 바로 이 때 남진이 자신을 구해주었기 때문.[117] 베트남 전쟁이 종결된 이후 베트남 전쟁 당시 이야기를 취재하고자 한 방송사에서 해병대 소속 에코 중대 사람들을 초청하여 취재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 취재하던 사람들이 당시 중대장이었던 램지 대위와 휘하 부대원들이 다시 만나게 되는데 휘하 부대원들이 램지 대위를 증오하고 있는 상태였다는 걸 알게 된다. 이유는 램지 대위가 자신들의 전우를 죽였다는 이유에서였다. 영화가 진행되면서 그 사건에 대한 내막이 밝혀지는데 에코 중대에 배치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램지 중대장이 시가지 작전 도중에 베트콩이 민간인을 보호하던 군종 장교를 살해한걸 보고 격분하여 그만 램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분노에 눈이 멀어버린 에코 중대원 일부가 민간인 속에 숨어든 베트콩을 죽이려고 민간인들까지 쏴서 학살을 저지르고 말았고 램지 대위가 이를 보고 연대장에게 군사재판 회부를 건의했으나 이게 거절 당했고, 이 때문에 해당 대원들과 사이가 틀어졌고 결국 이 대원들이 램지에게 항명하고 따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때 항명한 대원들이 향한 곳에 베트콩들이 매복 중이라는 급보를 듣고선 이들보고 빨리 돌아오라며 소리치나 듣질 않자 이들을 구하기 위해 포격 지원을 요청했는데 이게 베트콩이 아닌 항명한 대원들을 향해 포격이 떨어지고 만 것이었다. 그 때문에 당시 살아남은 대원인 지미 조, 텍스, 레드, 에릭 이 다섯은 램지가 일부러 대원들을 죽였다며 화를 내고, 램지는 좌표가 잘못된 것이라며 오해를 풀려고 했으나 결국엔 지미 조와 다른 대원 한 명이 총을 들고 죽이려 들면서 실제로 한쪽 어깨에 총을 맞고 말았고, 또 이를 말리려다 다른 대원 한 명도 총에 맞는 사고가 터지고 만다. 당시 중대장 옆에 있던 통신병인 텍스가 본인이 당시 명령을 듣던 중 혼란 통에 자신이 램지 대위가 말한 좌표인 0910를 0901로 순서를 잘못 전달했다는 걸 깨닫는다. 그 때문에 급히 램지를 죽이려던 전우들을 급히 말렸고, 이때 총을 든 대원 한 명이 텍스의 말에 놀라 자살을 하려다 램지에 의해 제지되었고,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어 다행히 다들 부상만 입고 끝나고 서로 간의 오해를 풀게 된다. 이후 당시 살아남은 대원들도 램지에게 자신들을 도와주려 했던 것에 감사를 표하며 끝나게 된다.[118] 작중에서 박근형이 연기하는 주인공은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로 지독한 PTSD를 앓고 있다.[119] 수애주연의 영화로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남편을 찾아 베트남으로 떠나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겪는 주인공의 수난과 역경, 그리고 남편 역시 동료들이 죽어가는 과정에서 미쳐버리는 모습을 표현한 점에서 고증은 몰라도 한국에 나온 베트남전 배경 작품 중에 가장 완성도가 괜찮다고 평가받는 작품이다.[120] 척 노리스 주연의 B급 액션물. 3편 오프닝이 사이공 함락 씬인데, 의외로 당시 상황을 잘 그려냈다.[121] 앞부분에 디엔비엔푸 전투가 묘사된다.[122] 원제는 First Blood로 전술 된 데로 소설을 원작을 영화화한 것이다. 베트남 전쟁 중의 람보 활약에 관한 내용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고 1편부터 5편까지 전부 베트남 전쟁에 관한 내용이라고 아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람보는 1편부터 베트남 전쟁 종전 후 미국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고 있고 3편은 아프가니스탄, 4편은 미얀마에서 싸우는 내용이다. 즉 람보 시리즈에는 1, 3, 4, 5편에는 베트남이 거의 나오지도 않는다. 특히 람보 1편은 베트남 인들을 죽이는 내용이라는 고정관념과는 다르게 베트남 전쟁으로 사회 부적응자가 된 참전용사의 이야기로 오히려 반전 영화에 좀 더 가깝다.[123] 베트남에서 실종(나중에 불에 타 죽은 것으로 밝혀짐)된 애인을 그리워해서 타락해가는 여교수의 심리를 그렸다.[124] 자세히는 다루지 않지만 초반 오프닝에서 등장하며 울버린의 형인 빅터가 막나감에 있어서 최정점에 이르렀기에 총살을 당하는 계기로 이어진다.[125] 베트남 전쟁에 뮤턴트들만으로 이루어진 비밀부대가 참전한 것으로 묘사되며 미스틱은 자신의 동족들을 탈출시키기 위해 사이공 미군기지에 잠입한다. 또한 중반에 미국의 패전 이후 파리에서 열린 평화 협정이 주요 무대이자 분기점이 된다.[126] 이쪽도 장르는 액션, 로맨스. 다만 감독인 감독이 베트남 출신이어서 그런지 사이공의 함락 직전을 다루고 있지만 첩혈가두와 다르게 그다지 헬게이트로 묘사되지는 않는다. 남베트남 패망 직전인 1975년으로 설정한 것은 당시 중국 반환 직전에 놓여있던 홍콩의 사회적 불안심리를 빗댄 것이란 해석이 많다.[127] 여기서는 초월적 존재인 닥터 맨해튼 덕분에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한다. 일종의 대체역사인 셈. 극중 베트남에서 코미디언과 닥터 맨해튼 사이에 있던 일이, 닥터 맨해튼의 중후반 행적의 복선이 된다.[128] 베트남 전쟁을 최초로 극의 주제에 넣은 작품, 참전용사가 전쟁 후유증으로 고뇌하다 창녀를 만나서 치유해간다는 영화이다. 국내 촬영 베트남 전쟁은 완전히 동네 뒷산 병정놀이.[129] 베트남 소녀를 강간한 부대 동료들을 고발한 주인공이 도리어 왕따당하고 동료들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는 스토리. 마이클 J. 폭스 주연. 참고로 감독은 이라크 전쟁에서의 강간 사건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었다.[130] 홍콩 느와르 장르로 당시 남베트남의 헬게이트스러운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131] 작중의 배경 시점이 베트남 전쟁이 끝난 1973년으로 그려진다.[132] 가상의 전쟁인 델타전으로 언급되지만 베트남전을 모티프로 했다.[133] 극우 성향이 강한 미국의 유명한 배우 존 웨인이 주연을 맡았다. 영화 내용도 미국이 백전백승한다는 전형적인 할리우드 영화다.[134] 베트남 참전했던 흑인들의 사회 부적응과 붕괴상을 보여줌, 백인 위주의 전쟁관에서 벗어남. 너무나 현실적이라 청불.[135] 종군기자 닐 시핸이 쓴 존 폴 밴의 전기인 '밝게 빛나는 거짓말(The Bright Shining Lie)'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 영화 중에서 유일하게 압박 전투를 다루고 있으며, 1962년부터 1972까지 미군사고문단으로 참전했던 존 폴 밴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영화다.[136] Bobbie Ann Mason의 원작 소설을 노만 쥬이슨 감독이 영화화. 브루스 윌리스와 에밀리 로이드가 주연한 영화로 베트남 전쟁의 후일담 영화[137] 영화판은 배경이 현대로 변경되었기에 배경은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바뀌었고, 토니를 납치한 세력은 텐 링즈라는 가상의 조직으로 대체되었다.[138] 베트남전 참전용사인 화실 취재팀장의 아버지(작중에서는 주인공 성찬의 아버지)의 실제 이야기로, 당시 소속부대원들이 향수병으로 힘들어하던 중 계속 먼 곳만 응시하고 있거나 미군 레이션을 계속 거부하고, 전투가 한창일 때 교전 규범을 무시하고 돌격을 하는 등 유달리 상태가 심각했던 막내 부대원 김모 일병을 기운 차리게 해주고자 취재팀장의 아버지가 옆 미군 부대와의 연줄로 보급품 일부와 양배추를 물물교환해서 아쉬운 대로 양배추 김치를 담궈 부대원들 모두가 맛있게 먹고 향수병이 싹 나았다는 이야기.[139]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디엔비엔푸 전투를 주제로 하고 있다. 이 게임을 만든 베트남 측 게임회사는 조만간 베트남 전쟁을 주제로 신작을 제작하고 있는 중이다. 페이스북 페이지[140] 1편은 그나마 전쟁의 참상을 구현한 스토리와 연출로 호평받았는데, 2편에서 뜬금없이 게임을 좀비 호러물로 바꿔버림으로써 망했다. 어색한 타격감이나 납득 안가는 스토리는 덤이다. 참고로 2편 제작사가 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 빼고 다른 게임들은 내는 족족 말아먹기로 유명한 리벨리온이다.[141] 베트남 전쟁의 미군을 모티브로 한 진영.[스포일러] 정확하게는 러셀 애들러에 의해 에게 심어진 거짓 기억이다.[143] 빌드 엔진으로 만든 베트남 전쟁을 다룬 FPS. 특이한점은 난이도가 어렵다. 1998년 발매작으로 듀크 뉴켐 3D 분위기가 큰데 탄창이라든지 무기라든지 여러 면에서 그대로 듀크 뉴켐 게임 것을 그대로 썼다. 평은 그다지 안 좋아 역시 흥행도 실패했다.[144] 베트남 전쟁을 다룬 전투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게임 시스템상 공중 급유가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지도가 약간 작게 묘사되어 있으나 그 당시 미군 조종사들의 고충을 어느 정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실제로 그 당시 참전했던 분들도 이 게임을 가끔 하신다고 한다. 어떤 분은 자신이 실전에서 가져온 건 카메라 영상과 F-100 켐페인 화면을 영상 편집해서 올리기도 하셨다.#[145] 동유럽 게임 개발사 프테로돈에서 제작한 FPS게임으로 싱글플레이어와 코옵으로써 가장 베트남 전쟁을 잘 구현했다는 게임이라는 평을 들었을 정도다. 베트공의 터널 기지에 침투하는 임무는 폐쇄 공포증을 느끼게 할 정도였다. 다만 속편은 망했다.[146] 과거 유명 배틀필드 모드 제작자가 만든 1인개발게임[147] 베트남 전쟁에서 운 나쁘게 추락한 F-14 톰캣 조종사가 20년만에 탈출해서 고국으로 돌아가는 여정을 다룬 게임이다. 오프닝에 20년만이라고 나오며 20년후라 Mi-24 하인드 헬기가 등장한다.[148] 미국 록밴드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의 곡.[149] 미국 언더그라운드 래퍼 R.A. the Rugged Man과 Jedi Mimd Trick 소속의 래퍼 Vinnie Paz가 피쳐링한 곡. 실제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John H. Thorbun 하사의 이야기를 아들인 R.A. the Rugged Man이 본인의 벌스에 담았다. 스토리텔링, 리릭시즘이 굉장히 뛰어난 곡으로 힙합 팬이면서 영어가 된다면 한번 검색해 들어보자. 동명의 영화가 있다. 아마 거기서 제목을 따온듯.[150] 콩 스컬아일랜드 헬기 씬에서도 흘러나온다.[151] 저자는 호치민 장례식에도 참가했었고, 1972년 라인 베커 작전 당시 미군의 감행한 하노이 공습을 직접 겪어본 경험이 있다.[152] 그럼에도 위에서 언급되었듯, 나무위키의 베트남 전쟁 항목의 많은 서술이 이 회고록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153] 대한민국에도 그 계열의 단체인 노동자 연대가 있다[154] 구공산권 체제를 사회주의로 보지 않고 국가자본주의로 규정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는 트로츠키와 제4인터내셔널이 정의한 '타락한 노동자 국가'라는 관점과도 다르다.[155] 다만 이 책은 중국혁명을 다루는 파트에서 문화대혁명을 매우 미화했기에 그부분은 매우 걸러볼 필요가 있다. 자세한 건 리영희 비판 목록을 참고. 그리고 베트남전쟁을 다루는 관점에 관한 비판도 있다.[156] 전환시대의 논리 초반부에 진실의 승리라는 대목을 다루면서 대니얼 엘스버그의 펜타곤 페이퍼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다.[157] 물론 이 문단을 봐도 알겠지만, 한국어로 출간된 외국 역사학자의 베트남 전쟁 개론서도 거의 없다.[158] 참고로 나무위키의 베트남 전쟁 항목은 이 책의 관점과 상반되는 부분이 많다. 그래서 객관적인 관점을 위해서는 읽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