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02:54:43

미국

미합중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US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리'라는 뜻의 영어 단어에 대한 내용은 어스 문서
1.2번 문단을
부분을
, 미국의 항공모함 설계안에 대한 내용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정승환의 팬클럽명에 대한 내용은 US(정승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USA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USA(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5년 1월 20일 출범 예정에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한 내용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b133e>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엉클 샘 · 충성의 맹세 · 컬럼비아 · 흰머리수리 · 아메리카들소
역사역사 전반 · 13개 식민지 · 미국 독립 전쟁 · 골드 러시 · 서부개척시대 · 아메리카 연합국 · 남북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광란의 20년대 · 대공황 ·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태평양 전쟁 · 진주만 공습) · 냉전 · 9.11 테러
정치합중국 · 백악관 · 캠프 데이비드 · 건국의 아버지들 · 미국 독립선언서 · 미국 국회의사당 · 헌법 · 정치 · 연방정부 · 연방 행정각부 · 의회 (미국 상원 · 미국 하원) · 정당 · 행정구역 ( · 해외영토 · 도시 목록 · 주요 도시 · 주요 도시권) · 대통령 (명단) · 부통령 · 하원의장 · 지정 생존자
치안과 사법사법 전반 · 대법원 · 법무부 (법무장관) · 미국의 경찰제도 (군사화) · 보안관 · SWAT · USMS (연방보안관) · 텍사스 레인저 · DEA · ATF · 국적법 · 금주법 · FBI · ADX 플로렌스 교도소 · 사형제도 · 총기규제 논란 · 마피아 · 갱스터
선거대선 (역대 대선) · 선거인단 · 중간선거
경제경제 (월 스트리트 ·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대륙간거래소 · CME 그룹 · 실리콘밸리 · 러스트 벨트) · 주가 지수 · 미국기업 시가총액 25위 · 미국의 10대 은행 · 대기업 · 미국제 · 달러 (연방준비제도) · 취업 · 근로기준법 · USMCA · 블랙 프라이데이
국방미합중국 국방부 (펜타곤)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MP · MAA · SF · CID · NCIS · AFOSI · CGIS · 미 육군 교정사령부 · 미군 · 편제 · 계급 · 역사 · 훈장 · 명예 훈장 · 퍼플 하트
문제점 · 감축 · 군가 · 인사명령 · 교육훈련 · 징병제(폐지) · 민주주의/밈 · 미군 vs 소련군 · 미군 vs 러시아군 · NATO군 vs 러시아군
장비 (제2차 세계 대전) · 군복 · 군장 · 물량 · 전투식량 · MRE · CCAR · 새뮤얼 콜트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존 브라우닝 · 유진 스토너 (AR-15 · AR-18 · AR-10 · M16 VS AK-47 · M4A1 vs HK416) · M72 LAW · 리볼버 . SAA · 레밍턴 롤링블럭 · 헨리 소총 · 윈체스터 M1866 · 콜트 · M4 셔먼 · M26 퍼싱 · M1 에이브람스 · M2 브래들리 · M270 MLRS · M142 HIMARS · F-86 · 스텔스기 · F-22 · B-29 · B-36 · B-52 · AH-1 · AH-64 · 핵실험/미국 (맨해튼 계획 · 트리니티 실험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 팻 맨 · 리틀 보이 · 비키니 섬 핵실험 · 네바다 핵실험장) · 핵가방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해안경비대 · 우주군 · 주방위군 · 합동참모본부 · 통합전투사령부 · USSOCOM · 해외 주둔 미군 (주한미군 · 주일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행정협정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람슈타인 공군기지) · AREA 51 · NATO · NORAD (산타 추적)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영미권 · 상임이사국 · G7 · G20 · Quad · IPEF · G2 · AUKUS · JUSCANZ · TIAR · 미소관계 · 미러관계 · 미영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미독관계 · 미국-캐나다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미국-뉴질랜드 관계 · 미일관계 · 한미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파이브 아이즈 · 미중러관계 · 대미관계 · 미국 제국주의 · 친미 · 미빠 · 반미 · 냉전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신냉전 · ESTA · G-CNMI ETA · 사전입국심사
교통아메리칸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항공 · 사우스웨스트 항공 · Trusted Traveler Programs (TSA PreCheck · 글로벌 엔트리 · NEXUS · SENTRI · FAST) · 교통 · 운전 · 신호등 · 주간고속도로 · 철도 (암트랙 · 아셀라 · 브라이트라인 · 텍사스 센트럴 철도 · 유니온 퍼시픽 · 캔자스 시티 서던 · BNSF · CSX · 노퍽 서던 · 그랜드 트렁크 · 마일 트레인 · 커뮤터 레일) · 그레이하운드 · 스쿨버스 · 차량 번호판 · 금문교 · 베이 브릿지 · 브루클린 대교 · 맨해튼교 · 윌리엄스버그 다리
문화문화 전반 · 스미스소니언 재단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 MoMA · 아메리카 원주민 · 개신교 (청교도 · 침례교) · 가톨릭 · 유대교 · 스포츠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 NASCAR · 인디카 시리즈 · 미국 그랑프리 · 마이애미 그랑프리 ·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 조깅) · 관광 (하와이 · 사이판 · ) · 세계유산 · 자유의 여신상 · 러시모어 산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타임스 스퀘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디즈니 파크 · 미키 마우스 · 스타워즈 시리즈 · 마블 시리즈 · · 브로드웨이 · 영화 (할리우드) · 미국 영웅주의 · 드라마 · 방송 · 만화 (슈퍼히어로물) · 애니메이션 · EGOT (에미상 · 그래미 어워드 · 아카데미 시상식 · 토니상) · 골든글로브 시상식 · 요리 · 서부극 (카우보이 · 로데오) · 코카콜라 (월드 오브 코카콜라) · 맥도날드 · iPhone · 인터넷 · 히피 · 로우라이더 · 힙합 · 팝 음악
언어영어 · 미국식 영어 · 미국 흑인 영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 라틴 문자
교육교육전반 · 대학입시 · TOEIC · TOEFL · SAT · ACT · GED · AP · GRE · 아이비 리그 · Big Three · ETS · 칼리지 보드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Common Application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IXL
지리스톤 마운틴 · 그랜드 캐니언
기타아메리칸 드림 · 생활정보 (사회보장번호 · 공휴일/미국 · 미국 단위계) · 급식 · 비자 · 미국인 · 시민권 · 영주권 · 미국 사회의 문제점 · 미국 쇠퇴론 · 마천루 (뉴욕의 마천루) · 천조국 · 'MURICA · OK Boomer
}}}}}}}}} ||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장.svg
국기[1] 국장
E pluribus unum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 (1776–)
In God We Trust
우리는 신을 믿는다 (1956–)[2][3]
상징
국가 The Star-Spangled Banner[4]
국화 장미
국목 참나무
국수 아메리카들소
국조 흰머리수리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독립 전쟁 발발[5] 1775년 4월 19일
독립 선언 1776년 7월 4일[6]
영국의 독립 승인 1783년 9월 3일
정부 수립 1789년 4월 30일
남부의 연방 탈퇴[7] 1860년 12월 20일
남북 전쟁 발발 1861년 4월 12일
재통일 1865년 5월 13일
}}}}}}}}}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워싱턴 D.C.[8][9]
최대도시 뉴욕
면적 9,833,520km² | 세계 3위
내수면 비율 4.66%
접경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멕시코|]][[틀:국기|]][[틀:국기|]]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 인구 345,922,478명(2024년) | 세계 3위[10]
민족
구성
백인 71%[11]
히스패닉/라티노 18.7%[12]
흑인 12.4%
아시아계 6.0%[13]
혼혈 4.1%
아메리카 원주민 0.9%
기타 0.5%
인구밀도 35.1명/km² (2024년)[14]
출산율 1.62명 #
공용어 미국식 영어(사실상)
공용 문자 라틴 문자
종교 그리스도교 66% (개신교 43%, 가톨릭 20%, 정교회 1%, 몰몬교 2%), 무종교 26%, 유대교 2%, 이슬람 1%, 힌두교 1%, 불교 1% (2019년)
군대 미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단계 1특별구 50
행정 관할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북마리아나 제도 · 아메리칸사모아 · 푸에르토리코
군소 제도 나배사섬 · 미드웨이섬 · 베이커섬 · 웨이크섬 · 자르비스섬 · 존스턴 환초 · 킹먼 암초 · 팔미라 환초 · 하울랜드섬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체제 민주주의, 연방제, 민주공화제, 양당제, 대통령제, 양원제, 문민통제
민주주의 지수 7.85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29위)
정부
요인
대통령
(국가원수)
(정부수반)
조 바이든[15]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부통령
(상원의장)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당선인
J. D. 밴스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
연방
대법원장
존 로버츠
여당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 GDP $28.86조(2024년 IMF 기준) / 세계 1위
1인당 GDP $85,473(2024년 IMF 기준) / 세계 6위
GDP
(PPP)
전체 GDP $28.86조[PPP] / 세계 2위
1인당 GDP $85,672[PPP] / 세계 8위
국부 $126조 3,400억 / 세계 1위(2020년)
수출입액 수출 $1조 4,103억(2017년) / 세계 2위
수입 $2조 1,426억(2017년) / 세계 1위
외환보유고 $1,437억 2,585만(2011년 5월)[18]
신용 등급 무디스 Aaa
S&P AA+
Fitch AA+
통화 미국 달러($)
국가 예산 1년 세입 $3조 6,940억(2020년)
1년 세출 $6조 9,120억(2020년)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19][20] UTC-5[21], UTC-6[22], UTC-7[23], UTC-8[24], UTC-9[25], UTC-10[26]
도량형 미국 단위계[27]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 수교 현황 대한민국[28]
1949년 3월 25일 (대한민국)[29]
북한
미수교[30]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
무비자 입국 기간 양국 모두 90일[31] }}}}}}}}}
주한대사관·총영사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한미국대사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88
주부산미국영사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993번길 612 }}}}}}}}}
ccTLD
.us .gov[32] .edu[33] .mil[34]
국가 코드
840, USA, US[35]
국제 전화 코드
+1[36]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왼쪽[37]
여행경보
경보없음 하와이 주
여행유의 하와이 주 제외 전 지역
위치
파일:미국 위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자연 환경
4.1. 육지4.2. 해양4.3. 기후4.4. 생태
5. 인문 환경
5.1. 인구5.2. 출산율
5.2.1. 출산율 하락
5.3. 인종5.4. 언어5.5. 종교5.6. 교통5.7. 인문지리
6. 행정구역7. 정치8. 외교9. 경제10. 사회
10.1. 사회 문제10.2. 일반적 특징10.3. 국민 정서10.4. 치안10.5. 평균소득 및 빈부격차10.6. 비만
10.6.1. 환경적 요인10.6.2. 식습관
10.7. 자동차10.8. 총기 소지
11. 문화12. 군사13. 창작물
13.1. 미국을 모티브로 한 것들13.2. 미국 출신 캐릭터
14. 여담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USA),[38] 약칭 미국(, United States, US, America)[39]북아메리카태평양[40] 지역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이다.

미국은 50개의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도워싱턴 D.C.와 326개의 인디언 보호구역(Indian reservation)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본토의 48개 주는 북쪽에는 캐나다와 남쪽으로는 멕시코를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하와이주가 위치한 태평양을 접하며 알래스카주베링 해협을 사이로 러시아를 마주 보고, 동쪽으로는 대서양을 접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카리브해에 3개, 태평양에 11개의 해외영토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영토와 두번째로 큰 배타적 경제수역을 가졌으며, 2024년 기준 약 3억 4천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어 세계 3위이다. 최대 도시는 뉴욕시이다.

현재의 미국 영토에는 1만 2천년 전 경 빙하기에 베링 해협을 넘어온 아메리카 원주민이 고대서부터 문명과 문화를 이루며 살아왔고, 신항로 개척 시대 이래 유럽인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영국은 1607년 버지니아주에서부터 시작하여 1733년 조지아주에 이르는 13개 식민지를 형성했다. 이후 13개 식민지는 과세에 대한 반발로 하여금 공화주의자유주의를 바탕으로 한 혁명 전쟁을 일으켰고(1775), 곧 1776년 7월 4일 미국 독립선언서가 작성되어 미합중국이 설립되었다. 영국과의 전쟁 끝 1783년 독립을 얻어낸 미국은 곧 서부개척시대라 불리는 영토 확장 및 인디언 전쟁이라 불리는 원주민 학살·추방을 통해 주를 추가해 갔고, 이 과정에서 미국 흑인들을 노예로 소유한 남부 주들이 노예제를 유지하기 위해 연방을 탈퇴하고 미연합국(남부연합)을 수립해 남북 전쟁(1861~65)이 발발하여 북군의 승리로 노예 해방이 이뤄졌다.

19세기 중후반에 들어 미국은 미국 식민제국이라 불리는 강력한 패권을 가지게 되었고, 20세기에 들어 양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며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냉전(1947~1991)기에 소비에트 연방과의 군사적·이념적 대립을 이어나갔고, 소련 붕괴 이후 21세기 미국은 군사, 경제, 정치 등의 하드 파워[41]와 문화, 교육, 연구를 포함한 소프트 파워의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초강대국으로 자리잡았다. 미국 스스로 '세계의 경찰' 또는 '미국 예외주의'를 제창할 수 있는 원동력이 바로 여기에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브레튼우즈 체제가 등장해 미국의 주도 하 개편된 국제 사회의 질서는 현재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대통령제이자 입헌 공화정이고, 입법, 사법, 행정삼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 의회하원상원양원제이다. 또한 미국은 연방 헌법 아래 주 정부와 연방정부가 별존하며, 각 주 정부의 수장은 주지사이다.

미국은 유엔, 세계은행, 북대서양 조약 기구, 미주기구의 창립 회원국이며, G7G20 회원국이다. 또한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다.

2. 상징

2.1. 국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국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조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국가

The Star-Spangled Banner
The Star-Spangled Banner가 국가다. 직역하면 별이 빛나는 깃발, 즉 성조기를 의미한다. 1931년에 공식 제정된 미국의 국가인 성조기는 1814년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쓴 "맥헨리 기지의 방어전(Defence of Fort McHenry)"이라는 시를 원문으로 하며 곡조는 영국의 작곡가인 존 스태퍼드 스미스(John Stafford Smith)의 권주가(勸酒歌)인 "To Anacreon in Heaven"을 개사했다.

2.5. 국화

미국의 국화는 장미다.

2.6. 국목

미국의 국목은 참나무이다.

2.7. 국수

미국의 국수는 아메리카들소다. 아메리카들소(American Bison)는 바이슨 또는 버팔로라고도 한다. 미국의 힘과 개척자 정신을 상징하는 아메리카들소는 캔자스·오클라호마·와이오밍 주의 공식 동물로만 지정되어 있었고 이들 주와 별개로 미국 내무부는 공식 인장에 아메리카들소 문양을 사용해 왔다. 2016년 미국 국가포유동물(National Mammal)로 지정됨으로써 미국을 상징하는 동물이 되었다.

2.8. 국조

미국의 국조는 성문법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2024년에야 관습상 여겨지던 흰머리수리를 국조로 지명하는 법안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했다.

3.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ee,#2d2f34>
동부
중부
서부
남부
알래스카
하와이
독립
이전
영토
확장
<colbgcolor=#d4e9ff,#003166>
근대
미합중국
현대
미합중국
}}}}}}}}}}}} ||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국의 식민지였으나 1776년 미국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파리 조약을 통해 1783년 독립을 승인하고 이후 서부로 진출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프랑스, 스페인, 멕시코로부터 남부 땅을 사거나 전쟁으로 빼앗고 원주민의 영역인 내륙으로 들어가 원주민을 몰아내고 땅을 차지하며 이후 남북 전쟁대공황을 겪고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세계 최강대국으로 떠오른다. 미국이라는 국가는 유럽에서 이미 어느 정도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좋은 땅으로 이주해 건국된 뒤 그 이후로 멸망하지 않고 쭉 존속했기 때문에 지금의 초강대국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러 장점들을 미국의 초강대국 지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냉전 이후 소련이 붕괴하고 유일 초강대국으로 한동안 군림하지만 9.11 테러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는다. 하지만 국력 자체로만 따지면 미국이 세계 최강대국인 사실은 변함 없다. 아무래도 미국이라는 큰 땅과 거기서 나오는 생산력, 기축통화국, 그리고 어마어마한 인구 덕이다. 한 예로 비슷한 조건의 호주캐나다는 기후가 척박해 인구 밀도가 희박하고 미국에 비해 쓸모 없는 황무지가 너무 많아서 강대국에 버금가는 국력까진 키우지 못했다. 물론 두 나라는 미국보다 통계상으로 1인당 소득은 낮지만[42] 나름 1인당 및 총 GDP가 세계 10대권에 턱걸이하는 지역 강국 정도 국력이다.

흔히 미국은 역사가 300년도 안 되었다고 하는 등[43] 역사가 짧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인식이 특히 한국에서 많은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민족의 전체 역사를 논하는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한국사는 대한민국을 뜻하는 한국의 역사보다는 한반도 및 만주사 또는 한민족사에 가까운 것이다.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도 비슷하다.

그렇지만, 미국의 역사를 동일한 국체(國體)의 존속기간으로 보면 오히려 역사가 매우 긴 나라에 속한다. 미국이 독립 선언을 한 1776년은 조선 정조가 즉위한 시기다. 미국은 그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간접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을 국가 수반으로 하는 공화정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체제는 단 한번도 바뀐 적이 없고 헌법이 근본적으로 바뀐 적도 없다. 즉 200년도 더 전의 독립 선언 시기나 지금이나 미국은 국체가 같다. 5000년이나 1만 년의 역사를 자랑한다고 하는[44] 동아시아는 그 기간동안 그 땅에서 영토도 다르고 체제도 다른 수많은 국가들이 건국되었다 멸망하기를 반복했으며 현재의 대한민국은 1948년(제1공화국),[45] 일본은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공화국 중화민국도 1912년에 건국된 국가다.[46] 그 외에도 현재의 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식민지배 상태에서 독립한 국가들이라 미국보다 건국 기간이 늦으며 유일하게 독립을 지킨 태국의 짜끄리 왕조는 1782년 건국으로, 미국보다 6년 늦다. 현재 존속하는 유럽 국가 중에도 936년에 건국된 덴마크와 1523년에 건국된 스웨덴,[47][48] 그리고 1631년에 건국된 산마리노, 1719년에 건국된 리히텐슈타인,[49] 1612년에 건국된 모나코,[50] 1278년에 건국된 안도라 정도를 제외하면 미국보다 더 이전에 건국된 국가는 없고, 캐나다는 1982년,[51] 그 외 중남미 국가들은 비교적 일찍 독립했지만 대부분 1800년대로 미국보다 훨씬 늦은 시기에 건국되었다. 아프리카의 국가들은 1847년에 건국된 라이베리아를 제외하면 모두 식민지배를 받다가 1900년대에야 겨우 독립한 나라들이 대부분이다.[52] 오세아니아 국가들도 가장 일찍 건국되어 존속중인 통가가 1865년 건국이다.[53]

'민족(nation)'으로서의 역사는 미국이 짧은 게 아니냐는 반론이 있을수도 있지만, 이것도 애당초 잘못된 시각이다. "미국 민족"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한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동질성이 크지 않았던 고조선 시대나 삼국시대를 배제하더라도 최소한 고려 건국시부터 천 년 동안 한반도를 점유한 국가에 거주하는 동일 민족이란 아이덴티티가 있었으며,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로 현재와 비슷한 영토를 중심으로 수백~수천 년의 민족적 아이덴티티가 있다. 중국의 경우 영토는 다르지만 한족을 중심으로 민족적 아이덴티티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반면 미국은 국가로서의 동질성이 있을 뿐이고 또 그것을 자랑으로 삼고 있지만, 미국 민족이라는 개념은 없기 때문에 민족사가 오래되었냐 짧으냐의 논쟁 자체도 미국에 대해서는 해당이 없는 얘기이다.

4. 자연 환경

미국에는 50개의 주들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지리적 주만으로 지역의 생활권을 구분하는 것은 다소 애매하며 여러 지역들에 전체적으로 걸쳐 여러 생활권이 존재한다. 로키산맥애팔래치아 산맥으로 대표되는 북아메리카 대륙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거대 산맥이 있으며, 캘리포니아 동부와 애리조나, 뉴멕시코, 네바다 등지에는 거대한 사막도 존재한다. 미시시피 강 수계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수계로 손꼽히며, 나이아가라 폭포를 포함한 오대호는 세계 최대의 담수량을 자랑한다. 플로리다하와이 등 해양 관광 자원 역시 풍부하다. 지구의 웬만한 지리환경적 특성들이 다 존재한다. 60개가 넘는 국립 공원이 존재하며 NPS가 관리하고 있다. 이 중 14개가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에 해당한다.

4.1. 육지

국토 크기는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크다.[54] 중국이 3위에 미국이 4위라는 통계도 몇 있는데 각국의 영토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를 두고 서로 다른 기준으로 측정해서 나온 결과다. CIA 월드팩트북에서 제시하는 미국 국토 면적은 중국보다 훨씬 넓은 9,833,517㎢지만 가령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미국의 면적을 9,525,067㎢로 제시해 미국을 중국에 이어 국토 면적 4위로 둔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각주를 참조하면 미국의 육지 면적은 9,147,643㎢인데 9,525,067㎢는 여기에 내수면 면적(221,783㎢)과 오대호 면적(155,641㎢)을 합한 수치다. 대개 내수면은 영토 면적에 포함하므로 950만 ㎢ 정도는 일반적인 계산이다. 한편 CIA 월드팩트북에서는 과거에 미국의 면적으로 육지 면적과 오대호를 제외한 내수면 면적만 포함한 9,372,610㎢를 제시했으나 1997년 개정판부터는 오대호 면적과 연안 해역 면적(109,645㎢)을 합한 9,629,091㎢로 더 넓은 면적을 제시하고 2007년 개정판부터는 97년에 포함되지 않았던 영해 영역(198,921㎢)까지 합쳐 지금과 같이 9,833,517㎢로 면적을 제시한다.[55] 이런 집계 방식은 각 주의 면적을 집계할 때도 적용한다. 가령 하와이 주의 경우 큰 호수가 전혀 없지만 주 면적의 41%가 내수면 면적인데 해역 면적을 포함한 것이다.

계산 시 미국의 주(state)에 포함하는 알래스카와 하와이는 미국 영토로 계산하지만 이나 푸에르토리코 같은 속령은 뺀다. 한편 중국은 홍콩이나 마카오는 포함하지만 영토 분쟁 지역은 뺀다. 당연하지만 대만 역시 다른 나라로 본다. 본토가 8,080,000㎢[56] 정도며 알래스카(1,710,000㎢), 하와이(28,000㎢)까지 합하면 9,830,000㎢ 정도다. EEZ 면적의 경우 11,351,000㎢로 세계 2위다. 1위는 11,691,000㎢의 프랑스다.

월경지인 알래스카와 멀리 떨어진 섬인 하와이를 제외한 미국의 48개주 본토 면적은 약 8,080,000㎢[57]에 달하는 영토를 소유하고 있다. 알래스카를 제외할 경우 러시아의 절반이 좀 안 되며 캐나다, 중국보다는 작고 브라질(8,515,767㎢)보다 약간 좁고 호주(7,741,220㎢)보다 약간 넓은 면적이다. 물론 알래스카를 굳이 제외해야 할 이유는 없다. 미국의 장점은 많은 영토 대국들 중에서 사람이 살 만한 환경을 가장 많이 가졌다. 실제로 경작 면적에서는 세계 1위다.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오대호[58]를 이웃 캐나다와 공유해 식수 확보량도 세계 2위다.

미국의 국토는 본토의 48개 주와 따로 떨어져 있는 알래스카, 하와이, 그리고 푸에르토리코를 포함한 기타 속령으로 구성하는데 50개의 주 가운데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하와이를 제외하고 북아메리카에 존재하는 49개 주를 일컬어 '미국 대륙(Continental United States)'이라 한다. 대륙 미국 내에서도 캐나다로 인해 단절되어 혼자 있는 알래스카를 제외한 서로 연결된 48개 주를 '미국 연속령(Contiguous United States)' 또는 의역해서 '미국 본토'라 한다.

4.2. 해양

지상의 영토도 거대하지만 미국의 영해도(eez 11,351,000km2) 세계 2위다.

우선 러시아로부터 산 알래스카는 영토 확보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방대한 영해 확보에도 크게 기여했다.

알고 보면 윗나라 캐나다와 함께 섬도 굉장히 많은 나라다. 오대호나 알래스카 지역에 특히 많으며 그 외에 태평양, 카리브해 등에도 미국령의 섬이 많이 있다.[59]

4.3. 기후

국토가 넓은 나라답게 기후 또한 지역마다 매우 다양하다. 서부 태평양 연안의 경우 지중해성 기후이며 시카고를 비롯한 중부 내륙 및 오대호 주변은 일교차와 연교차가 아주 큰 대륙성 기후플로리다를 비롯한 남동부 및 멕시코만 연안 지역은 아열대성 온난 습윤 기후플로리다 최남단 마이애미의 경우 열대 몬순 기후이고 애리조나 주도 피닉스와 같은 서부 내륙 지역은 사막스텝기후와 같은 건조한 기후다. 참고로 뉴욕의 연평균 기온은 서울, 시카고의 연평균 기온은 평양, 로스앤젤레스의 연평균 기온은 시드니와 비슷하다.

경도 100도 선이 국토의 정중앙을 통과하는데 이 100도 선을 기준으로 서쪽은 건조 기후, 동쪽은 습윤 기후가 뚜렷하게 갈린다. 그래서 농업 역시 서쪽은 건조 기후에 맞는 목축이나 봄밀 재배를 하고 동쪽은 습윤 기후에 맞는 농사를 짓는다. 인구 밀도 및 도시의 분포 역시 이 100도 선을 기준으로 뚜렷하게 갈린다.

중서부 지역의 네브래스카, 캔자스 등은 평균 기온은 한반도와 비슷하지만 한국보다 대륙성이 강하고 기단의 변화를 심하게 받아 추울 때는 더 춥고 더울 때는 더 덥다. 그래도 강수가 연중 고른 습윤 기후라 강수 패턴이 한국처럼 극단적이지 않다. 본토 최북단 노스다코타주와 미네소타주는 최한월 평균 기온이 북한 자강도 지역과 비슷하며 심할 때는 -40도 이하가 된다. 미 본토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지역의 동계 평균 기온은 개마고원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다. 서부가 동부나 중부보다 동일 위도, 동일 고도 대비 기온이 높다.

하와이주는 1년 내내 여름이다. 알래스카 주는 가장 추운 포르 유콘의 최한월 평균 기온이 -29도로 이는 유럽의 그 어떤 곳보다도 낮으며 아시아에서는 몽골의 올랑검, 중국 헤이룽장성의 북쪽 끝인 모허의 최한월 평균 기온인 -30.9도와 비슷하다.

알래스카는 해안 지역은 생각보다 춥지 않아 일부 지역은 온대기후다. 다만 자주 저기압이라 바람이 강하며 흐린 날이 좀 있다. 애리조나주나 뉴멕시코주의 사막 지역은 여름에 섭씨 50도까지 올라가며 전 세계에서 일조량이 가장 많다. 맑은 날이 정말 많다.

콜로라도는 미국에서 가장 평균 고도가 높고 여름에도 선선하다. 대신 겨울엔 춥다. 버지니아주는 대략 한국의 남부 지방, 펜실베이니아 주는 한국의 중부 지방, 메인 주의 경우 북한 지역과 기온 분포가 비슷하다. 동남부 해안 지역은 한국의 여름 못지않게 습하며 기온은 한국보다 높아서 불쾌지수가 높다.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플로리다, 애리조나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 이들 주는 여름이 4월부터 10월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국토가 넓어 지리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이상 기후를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2019년 1월의 강추위는 플로리다와 텍사스 그리고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을 제외하고 전 국토가 체감 온도 영하 40도 이하를 기록하고 때때로 미국의 한 사막 지방은 여름 최고 기온이 56.7도 까지 올라간다. 캘리포니아 주 데스밸리에서 1913년 7월에 기록한 섭씨 56.7도는 전 세계 공식 최고 기온이다.

시카고가 위치한 중서부는 기온 변화가 상당히 심하다. 기단 변화가 잘 일어나 강풍과 함께 한파가 닥치고 폭염이 오고 하는 일이 있다.

자연재해로 피해가 매번 이만저만이 아닌 나라다. 북동부 지역은 겨울마다 소위 '스노마겟돈'이라고 불리는 극심한 폭설과 혹한에 시달리며 뉴욕에 지하철이 깔린 것도 이것이 계기다. 오대호 주변을 포함한 중서부 지역 역시 추위가 실로 어마어마하다. 남동부 지역은 여름마다 허리케인을 두들겨 맞으며 특히 2004년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뉴올리언스의 피해는 미국의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서부 지역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늘 지진의 위협 속에서 산다. 중부 대평원 지역은 세계적으로도 대기 불안정이 극심한 지리적 요건을 가져[60] 이곳에서 발생하는 슈퍼셀아치구름이나 토네이도다른 동네의 소나기나 폭풍 따위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위험성을 자랑하며 간혹 오래가는 것은 동부까지 영향을 미친다.

2020년대 이후로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등 급속도로 빠른 기후변화로 미국 북서부 지역의 온도가 무려 50도까지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제트기류가 약해져 뜨거운 고기압이 북반구 전체를 돔처럼 덮는 열돔 현상이다. #

기후를 세밀하게 다 따졌을 때 무려 26개 유형의 기후가 나타나는 국가로 전 세계에서 가장 기후가 다양한 나라이다.[61][62]

4.4. 생태

미국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온대 지역 대부분을 영토로 두고 있는 나라인 만큼,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물 자원이 존재한다. 관습상 국조흰머리수리국수아메리카들소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본토에 사는 동물: 흰꼬리사슴, 라쿤, 아메리카오소리, 스컹크, 붉은여우, 회색여우, 코요테, 아메리카흑곰, 붉은스라소니, 다람쥐, 청설모, 멧토끼, 신대륙참새, 칠면조, 흰머리수리, 큰뿔부엉이,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블루길, 미국가재, 붉은귀거북, 미국선녀벌레

습지대에 서식사는 동물:아메리카비버, 왜가리, 백로, 오리, 미시시피악어, 늑대거북, 악어거북, 엘리게이터가아

프레리에 살고 있는 동물:아메리카들소, 가지뿔영양, 늑대, 코요테, 회색여우, 족제비, 프레리도그, 멧토끼, 비둘기, 느시, 각종 맹금류

툰드라에 사는 동물:북극늑대, 북극여우, 북방족제비, 순록, 사향소, 나그네쥐, 눈덧신토끼, 흰올빼미, 뇌조, 극제비갈매기, 댕기바다오리, 코뿔바다오리

타이가나 추운 고지대에 사는 동물:불곰, 퓨마, 캐나다스라소니, 늑대, 붉은여우, 아메리카담비, 울버린, 청설모, 다람쥐, 눈덧신토끼, 흰바위산양, 검은꼬리사슴, 와피티사슴, 말코손바닥사슴, 뇌조, 들꿩, 긴꼬리부엉이, 검독수리

사막이나 건조한 고지대에 사는 동물:퓨마, 코요테, 회색여우, 검은꼬리사슴, 큰뿔양, 페커리, 멧토끼, , 로드러너, 큰회색올빼미, 도마뱀, 독도마뱀, 방울뱀

미국에선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생물로는 아시아잉어, 가물치, 드렁허리, 장수말벌, 참게, 버마비단뱀[63]유럽참새찌르레기, 멧돼지 등 반대로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의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미국에선 심각한 생태계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주로 수렵이나 낚시등 스포츠용으로 수입된 경우가 많으며 배를 통해 유입된 경우도 많다. 물론 태평양, 대서양을 같이 두고 있는 나라인 만큼 바다에도 많은 생물종들이 살아가며 잡식성 상어보닛헤드상어도 미국의 태평양 연안에서 서식한다.

5. 인문 환경

5.1.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4년 3월 인구 3억 4,200만으로 인도, 중국에 이어 세계 3위다. 19세기 말부터 1991년 소련 붕괴 전까지 거의 100년 가까이 세계 4위 인구를 유지하였으나 인구 3위 소련의 해체로 순위가 올랐다.[64] 흔히 인구를 국력이라고 하는데 미국은 선진국인데도 인구가 줄고 있는 한국, 일본, 대만, 서유럽과 달리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민자도 많고 저출산도 2000년대까지 없었고 2010년대 출산율이 하락했지만 유럽이나 동아시아 대다수 국가보다 크게 높다. 25년 동안 인구가 6천만 명이 늘었다. 90년대 인구 증가율이 1년에 1% 이상으로 그냥 증가가 아니고 폭발적인 수준이었고 2000년대 이후 히스패닉 이민 규제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지만 꾸준히 증가한다. 1년에 대구광역시급의 대도시 인구를 하나씩 더한다. 그런데 영토는 인구수에 비해 엄청나게 크다. 비교해 보면 미국보다 영토 크기가 조금 작은 중국의 인구가 14억, 미국의 1/3 정도인 인도도 14억 인구, 미국의 절반보다 조금 작은 유럽연합의 인구가 4억 4천만이다. 자원도 넘쳐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문제가 없다. 인구가 지금 당장 2배, 아니 4배로 늘어도 먹여 살릴 자원이 있다. 미국 본토 기준으로 한국 수준으로 인구 밀도가 높다면 무려 40억 명 이상이다.

물론 2008년 이후 출산율이 떨어졌지만 그렇다 해도 대부분의 사람이 미국 이민을 희망해 인구는 앞으로도 늘면 늘었지 줄어들지는 않을 전망이다. 비록 2010년대 및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인구증가율은 이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0년대 이후 다시 이전 수준을 회복한 상황이다. #

인종의 구성은 서서히 바뀐다. 자세한건 아래 인종 문단 참조. 과거엔 미국 인종 주류가 단순히 백인과 흑인이었는데 현재는 히스패닉이 흑인의 인구수를 재치고 급속도로 성장 중인 백인 다음의 주류 세력이며, 아시아계 또한 인구 비율이 7%대로 성장하고 각종 IT/이공계 분야 등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대거 배출되어 2020년대 이후로 새로운 주류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다른 나라와 달리 이민자에게 관대한 정책을 펼쳤으며 급속히 유입된 히스패닉이 아이를 많이 낳았다. 그로 인해서 정치권에서 히스패닉의 눈치를 보는데 일부 정치권에서 히스패닉만 우대하는 정책을 내놓자 이에 반발하는 백인 유권자가 많다. 2000년 이후엔 히스패닉 이민을 규제한다.[65]

유럽인이 오기 전 상당수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있었으나 부족 단위로 생활하는 수준였고 제대로 된 나라를 만들진 못한다. 전염병학살 등으로 원주민이 급감하고 서유럽인과 캐나다계 미국인이 그 자리를 주로 채운다. 그 후 노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들어오고 19세기 중후반부터 남유럽, 동유럽, 아시아 등에서 이민한다. 21세기 들어서 히스패닉, 최근 들어서 아시아계의 유입이 크다.

이민의 경우 이민자의 나라라는 미국답게 선진국, 개발도상국, 최빈국 할 것 없이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한국은 과거에 비해 많이 주춤해 공식 이민은 1990년을 마지막으로 끊겼으나 박사 등 고학력자를 위주로 이주를 계속 받는다. 유학을 가서 박사 학위 취득 후에 눌러앉는다.[66] 다만 요즘에 한국에서 이들을 좋은 직위로 불러 대학교수 등이 역이민을 택한다. 특히 미국에서 유일하게 외국인에게 취업을 오픈하는 IT업계는 종사자가 지금도 미국으로 많이 간다. 그리고 이탈리아스페인, 포르투갈 같은 남유럽 후발 선진국도 미국 이민을 원한다.

후진국 내지 개발도상국 말할 것도 없다. 인도, 중국, 필리핀, 라틴아메리카, 중동에서 지금도 수많은 이민을 한다. 특히 같은 아메리카 대륙인 중남미 출신은 타 지역 출신을 압도하고 메이저 소수민족이 돼 사실상 미국 주류에 편입한다. 스페인어는 원래부터 루이지애나텍사스 확보 후 이 지역에서 공용어였으나 현재는 대도시는 적어도 전부 다 제2언어화됐다. 뉴욕 지하철의 안내 방송도 미국식 영어 다음이 스페인어고 유튜브 광고도 스페인어 광고가 많다. 배너도 스페인어라 여기가 미국인지 남미인지 헷갈린다.

다만 미국은 건국 이래 단 한 번도 인구의 15% 이상이 1세대 이민자로 이루어진 적 없다. 2022년 현재도 독일(이민자 비율 18%) 등에 비해 이민자 비율이 낮다. 생각보다 적은데 이는 이주해 들어온 사람이 몇 세대에 걸쳐 높은 출산율로 아이를 많이 낳아서다. 예로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의 숫자는 400만 정도지만 오늘날엔 4천만을 넘는다. 세계 인구를 감안할 때 미국은 높은 출산율에 이민 등의 이유로 인구가 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현 추세라면 2050년에 인구는 4억 명을 넘는다.[67] 선진국인구가 느는 곳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그리고 호주뉴질랜드, 이스라엘 정돈데 다들 이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가톨릭을 믿는 히스패닉이 열심히 낳고 친족을 남미에서 미국으로 끌어들인다.

다만 미국도 취업난과 주택난이 심각해지면서 자식이 도덕적인 문제나 개인의 잘못, 가정 불화, 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문제가 없으면 가정에서 자녀를 성인이 되자마자 바로 독립시키는 일은 드물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독립하는 문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 외곽의 개발을 해 값싼 집값에 매력을 느낀 미국인이 대도시를 떠나 이사하면서 생긴 거다. 집값이 많이 오르고 도심 거주 인구가 다시 늘어나는 21세기에는 현실적으로 더 이상 맞지 않는다. 자식 스스로의 선택을 중시하는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사회상, 부모가 힘이 들 정도로 자식을 쫓아다니는 유교적 도리가 없고[68] 가족 구성원은 서로가 남으로 여겨 부모도 자식에게 매달리면 자식이 잘 못 큰다는 가족관 때문에[69] 독립하는 나이가 한국보다는[70] 좀 이른 경향이 있는 정도다. #

다음 표에서 '증감'은 전 항목과 대비한 증감이며, '연평균 증감'은 1년 단위로 평균화한 것이다.
연도 인구 증감 연평균 증감
1790 3,929,214
1800 5,236,631 33.30% 2.91%
1810 7,239,881 38.30% 3.29%
1820 9,638,453 33.10% 2.90%
1830 12,866,020 33.50% 2.93%
1840 17,069,453 32.70% 2.87%
1850 23,191,876 35.90% 3.11%
1860 31,443,321 35.60% 3.09%
1870 38,558,371 22.60% 2.06%
1880 49,371,340 28.00% 2.50%
1890 62,979,766 27.60% 2.46%
1900 76,212,168 21.00% 1.92%
1910 92,228,531 21.00% 1.92%
1920 106,021,568 15.00% 1.41%
1930 123,202,660 16.20% 1.51%
1940 132,165,129 7.30% 0.71%
1950 151,325,798 14.50% 1.36%
1960 179,323,175 18.50% 1.71%
1970 203,211,926 13.30% 1.26%
1980 226,545,805 11.50% 1.09%
1990 248,709,873 9.80% 0.94%
2000 281,421,906 13.20% 1.24%
2010 308,745,538 9.70% 0.93%
2020 331,449,281 7.35% 0.71%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영토 혹은 속령의 변화는 생략했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인구 추이
(1790년~현재)
1790년 3,929,214명
1800년 5,236,331명
1810년 7,239,881명
1820년 9,638,453명
1830년 12,866,020명
1840년 17,069,453명
1850년 23,191,876명
1860년 31,443,321명
1870년 38,558,371명
1880년 49,371,340명
1890년 62,979,766명
1900년 76,212,168명
1910년 92,228,531명
1920년 106,021,568명
1930년 123,202,660명
1940년 132,165,129명
1950년 151,325,798명
1960년 179,323,175명
1970년 203,211,926명
1980년 226,545,805명
1990년 248,709,873명
2000년 281,421,906명
2010년 308,745,538명
2020년 331,449,281명
2024년 현재 341,814,4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억 명

성비는 0.97 수준으로 여초이다. 태어날 때는 1.048:1로 정상 성비며 15-64세는 1로 균형이 맞고 65세 이상은 0.75로 급감한다.

5.2. 출산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 출생아수(명) 조출생률(명) 합계 출산율(명)
1800 7.0
1810 6.9
1820 6.7
1830 6.6
1840 6.1
1850 5.4
1860 5.2
1870 4.6
1880 4.2
1890 3.9
1900 3.6
1910 3.4
1920 3.2
1930 2.5
1935 2,377,000 18.7 2.19
1936 2,355,000 18.4 2.15
1937 2,413,000 18.7 2.17
1938 2,496,000 19.2 2.22
1939 2,466,000 18.8 2.17
1940 2,559,000 19.4 2.301
1941 2,703,000 20.3 2.399
1942 2,989,000 22.2 2.628
1943 3,104,000 22.8 2.718
1944 2,939,000 21.2 2.568
1945 2,858,000 20.4 2.491
1946 3,411,000 24.1 2.943
1947 3,817,000 26.6 3.274
1948 3,637,000 24.9 3.109
1949 3,649,000 24.5 3.110
1950 3,632,000 24.1 3.091
1951 3,823,000 24.8 3.269
1952 3,913,000 25.0 3.358
1953 3,965,000 25.2 3.424
1954 4,078,000 24.8 3.543
1955 4,097,000 25.0 3.580
1956 4,218,000 25.1 3.689
1957 4,308,000 25.3 3.767
1958 4,255,000 24.4 3.701
1959 4,244,796 24.0 3.670
1960 4,257,850 23.7 3.654
1961 4,268,326 23.3 3.629
1962 4,167,362 22.4 3.474
1963 4,098,020 21.7 3.333
1964 4,027,490 21.1 3.208
1965 3,760,358 19.4 2.928
1966 3,606,274 18.4 2.736
1967 3,520,959 17.8 2.578
1968 3,501,564 17.6 2.477
1969 3,600,206 17.9 2.465
1970 3,731,386 18.4 2.480
1971 3,555,970 17.2 2.266
1972 3,258,411 15.6 2.010
1973 3,136,965 14.8 1.879
1974 3,159,958 14.8 1.835
1975 3,144,198 14.6 1.774
1976 3,167,788 14.6 1.738
1977 3,326,632 15.1 1.789
1978 3,333,279 15.0 1.760
1979 3,494,398 15.6 1.808
1980 3,612,258 15.9 1.839
1981 3,629,238 15.8 1.812
1982 3,680,537 15.9 1.827
1983 3,638,933 15.6 1.799[71]
1984 3,669,141 15.6 1.806[72]
1985 3,760,561 15.8 1.844
1986 3,756,547 15.6 1.837
1987 3,809,394 15.7 1.872
1988 3,909,510 16.0 1.934
1989 4,040,958 16.4 2.014
1990 4,158,212 16.7 2.081
1991 4,110,907 16.2 2.062
1992 4,065,014 15.8 2.046
1993 4,000,240 15.4 2.019
1994 3,952,767 15.0 2.001
1995 3,899,589 14.6 1.978
1996 3,891,494 14.4 1.976
1997 3,880,894 14.2 1.971
1998 3,941,553 14.3 1.999
1999 3,959,417 14.2 2.007
2000 4,058,814 14.4 2.056
2001 4,025,933 14.1 2.030
2002 4,021,726 14.0 2.020
2003 4,089,950 14.1 2.047
2004 4,112,052 14.0 2.051
2005 4,138,349 14.0 2.057
2006 4,265,555 14.3 2.108
2007 4,316,234 14.3 2.120[73]
2008 4,247,694 14.0 2.072
2009 4,130,665 13.5 2.002
2010 3,999,386 13.0 1.931
2011 3,953,590 12.7 1.894
2012 3,952,841 12.6 1.880
2013 3,932,181 12.4 1.857
2014 3,988,076 12.5 1.862
2015 3,978,497 12.4 1.843
2016 3,945,875 12.2 1.820
2017 3,855,500 11.8 1.765
2018 3,791,712 11.6 1.729
2019 3,745,540 11.4 1.705
2020 3,605,201 10.9 1.638
2021 3,659,289 11.0 1.664
2022 3,661,220 11.0 1.665
2023 3,588,013 10.7 1.6 추정[74]
}}}}}}

5.2.1. 출산율 하락

2010년까지는 출산율도 2명 이상이고 노인 인구 비율도 크게 증가하지 않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없었으나 2010년대 이후 미국도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우려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 비하면 아직 괜찮지만 해결책을 연구하고 있다.

2000년대 말 세계금융위기 이후 출산율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2010년대 중반 경제가 완전히 살아나 경제 호황기가 되어 출산율이 올라갈 거라 예상했지만 출산율은 반등하지 않고 계속 감소해 2023년에는 1.6명이되었다. 출산율이 2명대 후반으로 매우 높던 히스패닉의 출산율이 2000년→2022년 2.73명→1.9명으로 급감하고 백인과 흑인의 출산율도 2000년→2022년 각각 1.87명→1.61명, 2.18명→1.68명으로 감소한다. 원주민은 1.77명→1.50명으로 감소했고 가장 낮은 아시아계는 1.89명→1.33명으로 폭락했다.

고령화 문제도 점점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0년대 초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이 돼 노인 인구 비율이 폭등한다. 2014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 돼 고령사회다. 베이비붐 세대의 미국인이 워낙 많고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 세대보다 출산율이 크게 낮아 2명 미만이라 2020년대에도 노인 인구 비율은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다. 미 연방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50년에는 인구 4억 명 중 1억 명이 노인이다.[75] (연합뉴스).

사실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크지 않아 보이던 2010년 전에도 히스패닉을 제외하면 미국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날로 심해졌다.[76] 2016년히스패닉을 제외한 순수 미국 백인의 인구는 199,100,000명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그 이후로는 계속 줄고 있다 미국 인구가 1990년대, 2000년대에 많이 증가했지만 히스패닉의 이민과 높은 출산율 덕이고 사실 히스패닉을 제외한 순수 백인 인구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게다가 9.11 테러 이후 불법/합법을 막론하고 이민의 장벽이 높고 2016년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며 반이민정책을 펼치는데 그로 인해 이민의 장벽이 한층 더 높아졌다. 적절한 인구 유입으로 기득권층의 고령화와 그로 인한 양분화의 부작용을 억제해야 하는데 균형이 깨졌다. 아이러니하게 어느 정도 여유 있는 소위 중산층 이상일수록 아이를 아예 안 가지고 혹은 하나나 둘, 많아야 셋 낳아 고령화를 피할 수 없다. 빈민층 이민자를 아메리칸 드림으로 끌어들여 부족한 노동 인구를 충당하는 경제 구조가 빡세진 이민 정책과 경제 위기가 겹쳐 흔들렸다.[77] 히스패닉의 평균 연령은 20대지만 유럽계 백인의 평균 연령은 40대 중반이다. 미국의 유럽계 백인은 이미 초고령사회다. 미국 백인이 출산율이 낮고 고령화돼 있어 매년 미국에서 태어나는 신생아 중 백인은 50%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사망자의 80% 이상이라 백인이 감소한다.(참고로 히스패닉은 전체 출생아 중 25%정도를 차지하며 나머지 25%는 흑인 아시아인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다만 미국 전체 기준으론 얘기가 다른데 태어나던 사람이 꾸준히 감소하는 게 아니라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Y세대가 바로 윗세대인 X세대보다 많아 다시 한번 더 인구 구조를 역전한다. 즉 미국은 고령화로 엄청난 위기에 봉착한 다른 나라에 비해 위험 요소가 훨씬 적다. 또 이민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도 중요하다. 당장 경제 규모가 큰 G7 브릭스 국가 중 개발도상국 인도, 브라질 말고는 중위 연령이 가장 젊다. 중국조차 고령화 속도가 엄청나게 빠른데 특히 G7 국가는 예외없이 전부 미국에 비해 늙었다. #[78] 하지만 주로 이민 오는 중남미계 히스패닉 사람들이 젊은 층을 많이 이뤄 인종차별과 갈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미국 유럽계 백인의 수는 2016년부터 자연 감소하고 그 빈자리를 이민자와 그의 자녀가 채워 2050년 순수 백인의 비중은 과반 밑으로 내려가 40% 초반대가 된다. 단순히 숫자로 미국 백인이 역사상 최초로 주류에서 밀려난다.[79] 사실 미국뿐 아니라 유럽의 상당수 나라 역시 무슬림이 인구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 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저출산 고령화는 모든 선진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한국의 경우에는 2023년 현재 출산율은 0.72명으로 사상 최악을[80] 걷고있고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중국도 1.00명[81] 일본도 1.2명[82]에 불과하여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국가들의 저출산이 심각한 수준으로 다가오고있다. 심지어 미국내 한국계 미국인의 출산율도 0.82명으로 사상 최저의 길을 걷고있다.[83]

미국의 현재출산율은 1.6명으로 마찬가지로 현재 저출산문제를 겪는 브라질도 1.6명의 출산율을 보이고있다. [84]

일본계 미국인 교수인 프랜시스 후쿠야마도 1992년 LA폭동을 다민족 다문화사회의 모순으로보며 미국의 거대한 브라질화를 우려하기도 했다.[85]

5.3. 인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원주민유럽계
미국 백인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라틴 아메리카계
히스패닉
아시아계
· 영국계 · 독일계 · 아일랜드계 · 이탈리아계 · 폴란드계 · 프랑스계 · 캐나다계 · 스웨덴계 · 노르웨이계 · 덴마크계 · 네덜란드계 · 벨기에계 · 룩셈부르크계 · 중국계 · 인도계 · 유대계 · 헝가리계 · 아르메니아계 · 일본계 · 한국계 · 이란계 · 아랍계 · 체코계 · 러시아계 · 우크라이나계 · 핀란드계 · 멕시코계 · 쿠바계 · 필리핀계 · 스페인계 · 포르투갈계 · 아이슬란드계 · 호주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리투아니아계 · 라트비아계 · 에스토니아계 · 벨라루스계 · 뉴질랜드계 · 크로아티아계 · 오스트리아계 · 폴리네시아계 · 대만계 · 베트남계 · 스위스계 · 푸에르토리코계 · 슬로베니아계 · 세르비아계 · 루마니아계 · 불가리아계 · 슬로바키아계 · 보스니아계 · 알바니아계 · 아르헨티나계 · 브라질계 · 베네수엘라계 · 우루과이계 · 몽골계 · 칼미크계 · 아제르바이잔계 · 아프간계 · 파키스탄계 · 이스라엘계 · 중앙아시아계 · 인도네시아계 · 방글라데시계
(문서가 있는 민족만 서술)
}}}}}}}}}

미국은 인종의 용광로인 만큼 정말 다양한 인종이 섞였다.

2020년 미국의 인종 비율은 (유럽계, 유대인) 미국 백인 61.6%, (중남미계) 히스패닉 18.7%,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12.4%,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 6.0%(혼혈 제외), 아메리카 원주민 0.9%, 폴리네시아인 0.2% 다.

언뜻 보면 백인 비율이 생각보다 낮지만 총 인구 3억 3,500만 명 중 61.6%면 약 2억명이 백인이다. 백인이 가장 많은 나라가 미국이다. 여기에 히스패닉계 백인을 포함하면 그 비중은 더 높다. 2010년 72%. 2020년 71%다. 또한 이 통계는 개인의 정체성 통계라 흑백혼혈이어도 자신을 흑인이라 생각하면 흑인이다. 그나마 이것도 백인 비중이 많이 내려간 거다. 20세기 후반까지는 히스패닉을 빼고도 80~90%가 백인이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ethnic_areas.gif

주에 따라서 인종 비율이 심하게 바뀐다. 히스패닉은 서부 지역에 많다. 그리고 쿠바계가 많은 플로리다뉴욕에 집중한다. 캘리포니아뉴멕시코는 히스패닉이 이미 총 인구의 70% 이상이며 애리조나와 플로리다도 비슷한 상황을 지나고 있다. 참고로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텍사스, 루이지애나 남단과 뉴멕시코스페인 혈통 주민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시아계 미국인은 서부에 집중하나 동부에도 많이 있다. 하와이는 아시아계가 유일하게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약 40%) 본토는 캘리포니아의 약 15%가 아시아계이다. 하와이 주는 그 중에서도 일본계 미국인의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일본인 방문자들도 많고 일본 자본의 영향력이 다른 지역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대도시권 캘리포니아에만 250만 명의 한인이 살고 동부에도 30만 명이 넘는 한국인이 산다. 그 외에도 같은 서부인 오리건과 워싱턴에도 동양인이 많이 살고 남부 대도시와 뉴욕에도 많이 산다. 알래스카 지역에도 많지는 않지만 한인을 비롯한 아시아계 주민들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인구 비율이 6% 가량으로 미국 흑인의 절반 가량 인구인데, 바로 윗나라인 캐나다는 아시아계가 20%로 비백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출신 국가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1995년 회계 연도에 55,000명 규모의 Diversity Immigrant Visa program을 도입한다. 이 중 5,000명은 중앙 아메리카 및 구소련 출신자에게 돌아가고(NACARA) 나머지 50,000명을 가지고 다른 지역 출신자가 경쟁한다. 도입 취지대로 지난 5년간 총 50,000명 이상의 이민자를 미국으로 보낸 국가는 추첨에서 제외돼 한국이나 캐나다 등을 포함한 13개국은 단 한 번도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적 없다. 다만 비자 당첨률 자체가 엄청나게 낮아 일반 미국 이민 희망자와는 별 연관이 없다. 2021년 2,320만명이 신청했는데 단순하게 계산해도 경쟁률이 무려 422:1, 확률로는 0.237%이다. 괜히 로또가 아니다.

2012년 오바마의 재선을 계기로 민주당의 주도로 이민 문턱을 낮추려 이민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결국 양당 간 다툼으로 별 개혁은 없었다. 대표적인 예로 가족 초청 이민을 영영 없애고 현재 밀려 있는 모든 가족 초청 이민 대기자를 미국으로 들이는 거다. 참고로 가족 초청 이민은 시민권자의 형제 자매 초청을 기준으로 신청 후 약 13년을 소요한다. 그리고 가족 이민 신청자의 대부분은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에 위치한 개발도상국 출신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은 대부분이 막노동, 이른바 '3D' 업종에 종사해 관련 업체가 귀한 몸으로 취급한다. 당장 이들을 제한해 받지 않으면 대표적인 3D 업종인 건설업, 식당, 요식업, 제조업에 타격이 크다. 즉 미국의 입장에선 이들이 산업 유지에 중요한 노동력이다.

그러나 이같은 오바마의 노력은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고 반이민 정책을 추진해 물거품이 됐다.[86] 그러나 바이든이 집권하고 다시 이민정책을 완화해서 2022년에는 15년만에 최대치 이민을 달성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인종 간 갈등이나 차별이 심했으나 최근에는 정부차원에서 사회적 분위기 전환으로 인해 많이 해소되었고 전세계 최고의 다인종, 다문화 국가로써 모범이 되고있다. 아직까지 인종별 갈등은 있는 빈번히 상황이나, 최소한 인종차별을 굉장히 금기시하는 공공문화와 시민의식이 깊숙이 자리잡고 있고, 인종차별에 대한 이슈를 대서특필하고 이슈화하는 등 사실상 윗이웃국가인 캐나다보다도 전세계 유일의 다인종이 주도하는 국가.

5.4. 언어

사실 미국은 공식적으로는 연방 차원의 공용어가 없다. 그러나 사실상 영어(미국식 영어)를 연방 공용어로 쓰며 대부분의 미국 국민도 전체 국민의 78% 비율로 영어가 모국어다.

미국에서도 연방 차원에서든 주 차원에서든 공용어를 영어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은 존재하며 이를 싸잡아 English-only movement라 한다. 미국의 공용어 떡밥은 건국 초기부터 있었던 거라서 영어 외의 다른 언어를 쓰던 이민자가 몰려들기 시작한 1750년대부터 펜실베이니아 등지에서는 영어 말고도 독일어를 병기해달라는 요구가 있었고 이에 대해 영어 구사자가 강력히 반발했다. 몇몇 주에서는 공적 언어와 교육 언어로 영어만 쓸 수 있게 하는 법안을 제정하고 루이지애나, 캘리포니아 등지에서는 주 헌법에 각각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하나 나중에 개헌으로 폐기하는 등 주마다 공용어 떡밥에는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연방 차원에서도 영어를 유일 공용어로 지정하자는 움직임이 있고 여러 정치인이 법안을 냈지만 통과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이러한 움직임이 미국의 다양성을 해친다며 반발하는 사람이 많아서다. 그렇지만 미국-스페인 전쟁, 세계 대전 등 타국과의 전쟁 중에는 애국 분위기와 외국계 이민자에 대한 의심 혹은 견제 등으로 전 미국에 영어 상용 분위기를 강요한 적은 여러 번 있고 이 때마다 미국의 언어 다양성도 크게 위축했다.

아무튼 이렇게 우여곡절을 거쳐 31개 주[87]영어가 공용어다.
국외 영토에서는 본토와 달리 영어가 법적으로도 공용어다. 그 외에도 미국령 사모아에서는 사모아어, 에서는 차모로어, 북마리아나 제도에서는 차모로어와 캐롤라인어,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쓰인다.

영어 다음으로 많이 쓰는 언어는 스페인어며 미국에서 폭넓게 사용하고 교육 과정에서도 많이 가르친다. 미국 내 스페인어 화자 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스페인계 미국인 때문이라기보다는 현실적으로 미국 인구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히스패닉, 특히 주로 멕시코를 통해서 올라오는 중남미 출신 이주민들 때문이다. 지리적 특성상 위는 똑같이 영어를 쓰는 캐나다지만 아래는 스페인어를 쓰는 멕시코라 미국 내에서 의외로 스페인어가 잘 통하고 자주 쓴다. 스페인어만 알고 영어를 몰라도 어느 정도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 프랑스어루이지애나에서 특수 지위를 누리고 영어와 함께 쓴다. 미국 내에도 프랑스어를 쓰는 공동체가 루이지애나 주 외에 메인 주 등 일부 지역에 있다. 이런 공동체의 경우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미주리 프랑스어 등 프랑스 본토의 표준 프랑스어와는 다른 방언을 쓴다. 그러다 보니 프랑스 본토의 프랑스어와는 차이점이 매우 크다.# 그러나 스페인어와 달리 프랑스어가 제1언어인 인구수는 별로 없다. 과거 프랑스어가 유럽의 공용어 지위를 누린 것에 영향을 받아 전국적으로 프랑스어 교육도 활발히 하는데 히스패닉 등 이민자가 많아지기 전까지 미국에서 가장 널리 배우는 외국어는 프랑스어였다.

그 외에도 이주민에 따라 독일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표준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광동어, 민남어, 베트남어, 아랍어 등도 쓰며 이들 언어 중 중요 언어는 교육과정에서 가르친다.

미국도 원주민이 살아 체로키어, 나바호어 등 일부 원주민의 언어가 각 원주민 자치 구역을 중심으로 널리 쓰이고 일부는 그 지역의 공용어지만 전국적으로는 극히 소수다. 일부 원주민의 언어는 사어다.

하와이에서 하와이 원주민이 살아 하와이어가 주 공용어고 대학에서도 필수로 가르치지만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드물고 명맥만 잇는다.

2018년 미국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스페인어 사용자들이 피해를 당했다. #[90] 결국 스페인어를 썼다고 구금당한 2명은 소송을 걸었다.# 그리고 다른 기타 지역들 중에서도 고위 공직자가 법관이 스페인어를 쓴다고 비판하자 사과했다.#

미국 내에서는 최근 들어 다른 언어의 사용이 늘어나는데 한국어 사용자가 줄어들고 있다.#한국어 수강자의 수는 늘었다.# 한국어는 스페인어, 중국어, 타갈로그어, 베트남어, 아랍어, 프랑스어에 이어 미국에서 많이 쓰이는 외국어 7위다.#[91]

5.5. 종교

파일:USA Religion 2014.jpg

2014년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70.6%가 기독교를 믿으며 그 중 개신교 신자가 약 46.5%고 가톨릭 신자가 약 20.8%다. 무신론자/불가지론자 또는 특정 종교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22.8%고 그 외에 유대교 신자가 1.9%며 이슬람이 0.9%, 불교 신자가 0.7%, 힌두교 신자가 0.7%다. 그러나 개신교를 하나로 묶지 않고 교단별로 나눌 시 종교 인구로는 가톨릭이 1위고 그 뒤를 남침례회, 감리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침례회, 루터교회, 장로회, 오순절교회 등이 따른다. 미국은 보통 다른 선진국에 비해 종교적인 색채가 많이 남아 있는데 통계에서 보듯 사실이나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불자무슬림아시아 이민자를 중심으로 있다.[92] 그나마 초월주의히피 문화 등의 영향으로, 20세기 중엽부터 백인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선불교, 티베트 불교 등이 많이 퍼져 있긴 하다.

가톨릭은 라티노 및 이탈리아계&아일랜드계 등의 증가로 단일 교단 중에서는 최대의 교세이며 특히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등 일부 주와 뉴욕, 보스턴 등의 일부 도시권에서 교세가 전체 개신교를 앞질렀다. 대략적으로 동북쪽과[93] 서남쪽[94], 해외영토,속령[95]에서 교세가 강하다.

정교회는 미국에 “미국 정교회”라고 부를 만한 단일한 독립 정교회는 없고 저마다 예배 언어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정교회 공동체들이 개별적으로 있다. 이 점은 유럽과 중동에서 건너온 오리엔트 정교회동방 가톨릭 교회도 같다. 현재 미국에는 각자 러시아 정교회[96], 안티오키아 정교회[97], 그리스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등을 어머니 교회로 하는 정교회 공동체가 어머니 교회로부터 “모든 자치권”을 얻은 독립 교회(autocephalous church)와 “거의 모든 자치권”을 얻은 자치 교회(autonomous church)로 있다. 그리스 정교회 미국 대교구는 현재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 속한 하나의 교구에 불과하다.

이 같은 상황은 미국 내 단일 정교회 결성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 요인의 하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미국 내 정교회 성당의 주요 역할이 한인 교회와 같은 맥락에서 동유럽, 중동 출신 이민자 커뮤니티 사회에서 향수병을 달래주고 적응을 돕는 역할인데 굳이 억지로 미국 정교회라고 합쳐봤자 냉담자만 늘어난다. 당장 전례어나 정교회 교회간에도 미묘하게 다른 교회 문화 같은거 통합하는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잡음과 헤게모니 싸움이 터질것이고 이 싸움은 분명 해당 이민자 공동체간 분쟁으로 번질것이며, 굳이 통합 미국 정교회를 만들어야 할 신학적 당위성도 없다. 애초에 정교회 자체가 선교에 적극적인 교파도 아니고, 무엇보다 2018년 정교회권의 자체적인 분열 이후론 신학으로 불가능해졌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론 그냥 정치적으로 이런 말도 못 꺼내게 됐다.

미국도 기독교 교세는 주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상대적이기도 하다. 하지만 남동부 주는 아직도 굳건하다. 소위 바이블벨트(Bible Belt) 지역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굉장히 개신교, 특히 침례교적 종교성이 짙으며 사회적, 정치적으로 보수적이다.

반면 서부 지역이나 동부 지역은 종교적 면이 상당히 옅고 종교가 없는 세속화무종교인이 많다. 요즘 북쪽의 대도시 지역에서 종교인이 줄고 도시 인구의 약 40~50%는 무종교인이다. 가장 비종교적인 미국의 도시는 포틀랜드며 인구의 약 70%가 무종교인이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의 무종교인은 무려 6,200만 명이며 전 세계에서 중국, 일본에 이은 3위다.

유럽이나 영연방 나라, 남미 나라와 달리 부활절에 큰 의미를 안 둔다. 호주캐나다 등지에서는 부활절이 공휴일이고 사람들끼리 "Happy Easter!"라고 인사를 나누는데 미국에서는 공휴일이 아니고 사회에서는 해당 인사말을 나누지 않는다. 물론 부활절은 어차피 항상 일요일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은 당연히 휴장한다. 그리고 부활절이랑 엇비슷한 시기에 봄방학을 하고 주 별로, 학교별로 날짜가 각자 다르지만 대부분 일주일을 쉰다.

현재 백인의 개신교세는 상대적으로 비슷한 반면 중남미 이민자의 가톨릭 교세나 서아시아나 아프리카 이민자의 이슬람 교세는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 유럽과 비슷한 분포다. 특히 남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본토가 오순절교회 등 복음주의 개신교가 유행하기 시작하는 것과 달리 미국은 주류가 아직도 굳건한 가톨릭 국가인 멕시코푸에르토리코계라 그런지 가톨릭이 많아지고 있다.

5.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1. 운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교통/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인문지리

미국은 지역을 동부-중서부-남부-서부-(태평양)으로 나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말하는 이 지역들은 지도에서 봤을 때 동부는 동북부쪽에 가깝고 중서부는 중부와 중북부, 중동부쪽에 남부는 남동부쪽에 가깝고 서부는 중서부쪽이라고 볼 수 있고 태평양은 말 그대로 해안 근처 지역이다. 각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남부(남동부): 워싱턴 D.C.와 오하이오 강 이남 지역으로써 중남부부터 플로리다까지 이어지는 지역들[101]를 주로 일컫는다. 미시시피강 기준으로 텍사스를 중심으로 한 서남부 지역과 그 동쪽의 "전통적 남부"인 동남부 지역, 그리고 플로리다[102]로 나눌 수 있다.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미국 남부 방언인 Southern Drawl을 공유[103]하고 Southern Hospitality와 같이 타인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문화를 공유한다. 흑인 및 히스패닉, 아시아계 등 비백인의 비율도 어느 정도 많지만 대부분 큰 도시나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에 있고 교외 지역에서는 백인이 절대다수다. 텍사스는 전미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며, 조지아주플로리다 등도 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104] 조용하던 앨라배마 주도 현재는 미시간디트로이트에 이어서 자동차 산업이[105] 급격하게 발전했다. 텍사스 주의 1인당 GDP는 이미 독일을 한참 추월했으며, 기타 지역들도 상당히 경제적으로 발전한 지역 중 하나다. 중남부의 간판인 텍사스 주는 세계 8위권인 경제 규모를 가지고 가장 높은 5-6%급 연간 경제 성장률을 보인다. 당연히 미국 내에서는 가장 높은 축이며 삶의 질도 미국의 다른 지역들보다 매우 높으며, 날씨도 더운 곳 치고 쾌적하다. 미국 중부와 서부에서 대기업들이 대거 이전해오고 이어받았으며 많은 한국 기업의 공장이 있다. 정치적으로 주로 공화당을 지지하지만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등에서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해지는 추세이며 버지니아는 아예 민주당 텃밭으로 정치문화적으로 동북부와 묶여 취급받기도 한다. 플로리다의 경우 같은 주에서도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106]
    주요도시: 휴스턴, 댈러스, 샌안토니오, 오스틴, 오클라호마 시티, 애틀랜타, 내슈빌, 멤피스, 루이빌, 뉴올리언스, 샬럿, 랄리, 마이애미, 올랜도, 탬파, 잭슨빌

시차로 구분하자면 Pacific Time (PT, UTC-8h), Mountain Time (MT, UTC-7h), Central Time (CT, UTC-6h), Eastern Time (ET, UTC-5h)로 나눌 수 있다. 이 지도에서 볼 수 있듯 PT에 해당하는 지역은 태평양과 인접한 서남부와 서북부 지역이며 MT는 로키스 지역, CT는 로키스 지역 동쪽의 중부 주들 및 일리노이, 위스컨신, 텍사스, 알라바마, 테네시와 켄터키 일부까지를 포함하며, ET는 그 동쪽 주들부터 대서양 연안주들까지를 포함한다.

또 국토의 균형 발전 면에서도 미국은 아름다운 밸런스를 자랑한다. 남부, 서부, 중/중서부, 동부가 각각 4분의 1(8천만 가량)의 인구를 가진다. 미국의 지역별 대도시를 보면 동부 - 뉴욕, 필라델피아, 보스턴, 워싱턴 D.C. .서부 -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피닉스. 중부 - 시카고, 덴버, 디트로이트,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남부 - 휴스턴, 댈러스, 애틀랜타, 마이애미처럼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113]

미국은 중견 도시가 크게 발달했다. 어떤 주를 가든 대표도시는 있고, 대도시 말고도 중요도시로 꼽히는 중견도시도 많다. 국토가 이렇게 넓으면서 많은 중요도시가 떨어져 분포해 있는 건 오직 미국만이다. 동부 - 버팔로, 볼티모어, 피츠버그, 프로비던스. 서부- 포틀랜드, 샌디에이고, 산호세, 오클랜드, 새크라멘토, 라스베이거스. 중부 - 밀워키, 클리블랜드, 신시내티, 콜럼버스, 인디애나폴리스, 솔트레이크 시티, 캔자스시티, 앨버커키. 남부 - 오스틴, 버지니아 비치, 리치먼드, 오클라호마 시티, 루이빌, 내슈빌, 멤피스, 샌안토니오, 뉴올리언스, 올랜도, 잭슨빌, 탬파, 샬럿, 랄리 등 다른나라였으면 최대도시였을 대도시만한 중견급 도시가 매우 많다.

반면에 소도시들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고 인지도도 낮다. 예로 각 지역 대표도시만 보면 네브래스카오마하, 아이오와주 디모인, 앨라배마 버밍햄, 아칸소주 리틀록, 오리건 유진,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 아이다호주 보이시, 캔자스 위치타[114] 있다. 이외에 지역은 사람이 거의 없는 지역들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운수부에서 위성 사진을 사용하여 "Megaregion"이라는 좀 더 포괄적인 단위로 지역을 구분하였다. 균형잡힌 국토 발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Megaregion[115]에 대한 상세한 범위 지도는 자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아래 사진은 상당히 포괄적인 구분을 보여준다.
파일:usa_megaregions_satelites.jpg

또한 국토가 워낙 광범위하고 주경 간에 중견 이상급의 도시들이 많아서 단순히 주 단위의 행정구역 구분으로는 사실상의 문화 경제권을 구분짓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근 시의 교통량 분석으로 미국의 지리 및 경제권을 분류한다. 아래는 해당 연구에 의해 분석된 지도로 매우 실질적인 경제 문화권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usa_megaregion_by_communter.png

이를 주로 11개의 메갈로폴리스로 묶어 분류하며 인구수에 따라 순서를 내면 다음과 같다. 주로 2006년도에 나온 America 2050이라는 메가시티 구상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나 역시 자료마다 구역 구분과 포함 도시에 다소 차이가 있다.
파일:ima8v89ma4a31.jpg
Great Lakes: 시카고, 디트로이트, 콜럼버스, 인디애나폴리스, 피츠버그, 클리블랜드-애크런, 세인트루이스, 신시내티, 루이빌, 밀워키, 버팔로, 시라큐스,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캔자스 시티, 로체스터, 퀘벡시티**, 토론토**, 오타와**, 몬트리올**. 오대호 연안의 러스트 벨트 지역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경제 발전의 중심지로서 미국 경제의 큰 역할을 담당하던 지역이었으나 중서부를 기반으로 한 산업들이 쇠퇴하고 도시의 경제적인 여력과 치안이 많이 낮아지면서 지금은 미국 도시들의 단점이 잘 나타나는 지역들로 선정되고 있다.
Northeast: 뉴욕, 워싱턴 D.C., 보스턴, 포틀랜드(메인), 우스터, 하트퍼드, 브리지포트, 뉴헤이븐, 프로비던스, 뉴어크,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리치먼드, 버지니아 비치. 말그대로 북동쪽 지역으로써 미국의 역사가 시작된 대서양 북부 연안 지역에 해당한다.
Southern California: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애너하임, 어바인, 산타바바라, 샌디에이고, 라스베이거스, 인랜드 엠파이어, 티후아나***. 남부 캘리포니아 태평양 연안부터 멕시코 바하 캘리포니아의 국경 도시 및 남부 네바다 지역까지를 말한다.
Texas Triangle: 휴스턴, 댈러스-포트워스, 샌안토니오, 오스틴, 오클라호마 시티*, 털사*. 텍사스의 거대한 세 도시[116]를 중심으로 한 텍사스의 핵심지역이다.
Piedmont Atlantic: 애틀랜타, 샬럿, 랄리-더럼, 내슈빌, 채터누가, 녹스빌, 멤피스*, 버밍햄. 대서양 남부 연안부터 애팔래치아 산맥을 포함하는 "피드몬트 대지"라 불리는 구릉 지형이 많은 곳으로 역사적 문화적으로 딥사우스(deep south) 지역에 해당한다.
Florida: 마이애미, 올랜도, 탬파베이, 잭슨빌. 카리브해 한가운데로 뻗은 플로리다 반도 지역으로 딥사우스 지역과는 문화적으로 구분되는 지역이다.
Northern California: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오클랜드, 새크라멘토, 프레즈노, 리노. 베이 에어리어와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북부 캘리포니아 지역에 해당한다.
Gulf Coast: 뉴올리언스, 배턴루지, 휴스턴. 멕시코만 연안과 미시시피강 삼각주 지역에 해당한다.
Cascadia: 시애틀-타코마, 포틀랜드, 유진, 세일럼, 보이시*, 스포캔*, 밴쿠버**. 캐스캐디아라고 불리는 미주의 북서부 태평양 연안부터 미국 로키산맥 북서부에 해당한다.
Arizona Sun Corridor: 피닉스, 투손, 메사, 챈들러. 애리조나의 태양의 골짜기라 불리는 사막 및 건조 기후 지역에 해당한다.
Front Range: 덴버, 앨버커키, 산타페, 샤이엔, 콜로라도 스프링스, 볼더, 솔트레이크 시티*. 로키산맥의 동쪽 기슭 고원 지역으로 서부개척시대에 개척민들이 로키산맥의 "앞 (Front)"에 처음 맞닥뜨리며 정착했던 지역에 해당한다.

*는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광역권을 표시 [117]
**는 캐나다의 도시.
***는 멕시코의 도시.

공식적인 행정지역의 구분은 아래 문단 해당 문서 참조.

6.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2664><tablewidth=310><tablebgcolor=#002664>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colcolor=#fff>북동부<colcolor=#fff>뉴잉글랜드<colbgcolor=#fff,#191919>
중부 대서양
남부남부 대서양
동남 중앙켄터키(KY) · 테네시(TN) · 앨라배마(AL) · 미시시피(MS)
서남 중앙아칸소(AR) · 루이지애나(LA) · 오클라호마(OK) · 텍사스(TX)
중서부동북 중앙미시간(MI) · 오하이오(OH) · 인디애나(IN) · 위스콘신(WI) · 일리노이(IL)
서북 중앙미네소타(MN) · 아이오와(IA) · 미주리(MO) · 노스다코타(ND) · 사우스다코타(SD) · 네브래스카(NE) · 캔자스(KS)
서부산악몬태나(MT) · 와이오밍(WY) · 아이다호(ID) · 콜로라도(CO) · 뉴멕시코(NM) · 유타(UT) · 애리조나(AZ) · 네바다(NV)
태평양워싱턴(WA) · 오리건(OR) · 캘리포니아(CA)
본토 외부주알래스카(AK) · 하와이(HI)
컬럼비아구워싱턴 D.C.(DC)
해외 영토 및 준주(GU) · 미국령 사모아(AS) · 북마리아나 제도(MP)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VI) · 푸에르토리코(PR)
군소 제도(UM)웨이크섬 · 베이커섬 · 하울랜드섬 · 존스턴 환초 · 킹맨 암초 · 미드웨이섬 · 나배사섬 · 팔마이라 환초 · 자르비스섬 · 바호누에보 환초 · 세라니야 환초}}}}}}}}}

7.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행정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행정조직/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대 미국 대통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입법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상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하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사법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사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의 근로기준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취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미국은 2021년 기준으로도 전 세계 GDP의 약 25% 내외, 즉, 4분의 1에 해당하는 세계 경제를 독점하고 있다. 브릭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꾸준하다. 심지어 1990년대 중반부터 상승하여 2000년대 초반엔 30%가 넘기도 했다. 유럽연합 전체를 합쳐도 미국보다 적을 때도 많다. 더구나 이제 유로존 위기브렉시트까지 겹쳐서 유럽 연합과 미국의 차이는 더욱 커질 일만 남았다.
  • 2000년~2007년의 기간 전 세계에서 미국의 경제 규모(GDP)는 나머지 2, 3, 4, 5위인 국가를 다 합친 것보다 컸다.
  • 2021년 10월 IMF 통계에서 미국의 GDP는 전 세계 GDP 2, 3위에 해당하는 중국, 일본을 합친 것보다도 더 거대한 수준이다. 미국 GDP를 22.9로 본다면 중국 16.8, 일본 5.1 정도라서 미국이 더 거대하다. 그리고 2020년 기준 대표적으로 텍사스 주의 경제가 세계 GDP 8위로 나타나고 있다.# 한마디로 텍사스 > 대한민국, 캐나다, 러시아인 것이다.
  • 2021년 10월 IMF 기준, 미국을 제외한 G7 여섯 국가들+한국의 전체 경제력(=21조 3421억 달러)이 미국 수준(=22조 9395억 달러)이 안 된다. 한 마디로 미국 >> 일본+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한국이다. 특히 최근 달러의 강세와 함께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 1인당 국민소득이 20만 불을 넘어가는 계층이 인구의 10%나 차지한다. 10만~19만 9,999불까지 합산할 경우(25%), 총 인구의 35%가 1인당 소득이 10만 불 이상이며 5만 불에서 9만 9,999불까지는 인구의 32%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중산층의 나라.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가 터짐에 따라 가구 소득이 10만 불 이상인 '상위층'의 숫자가 늘어나는데에 비해서 중위층과 하위층의 비율이 크게 줄어들어 부의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지는 추세이다. 2021년 10월 기준 미국인의 1인당 국민소득은 약 69,000달러이다.
  • 미국의 1인당 GDP도 타 국가에 비해서 압도적인 편인데, 2021년 10월 기준 인구 1천만을 넘는 국가 중 미국보다 소득이 높은 나라는 하나도 없다. 미국과 서유럽의 대기업 평균 초봉의 격차는 한국과 중국의 격차보다 더 크다. 통계로도 2021년 10월 기준 미국의 1인당 GDP는 영국과 일본에 비해 2만 달러 이상 높고 독일보다도 1만 5천 달러 이상 더 높다. 도시국가에 비교해봐도 세계 5위권이며, 미국의 중심 도시인 뉴욕의 1인당 GDP는 카타르, 노르웨이, 스웨덴[118]을 까마득히 넘는 9만 달러에 달한다. 거기에 수도 워싱턴 D.C.의 1인당 GDP는 20만 달러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보다도 높다. 하지만 이는 미국의 화폐가 기축통화인 달러이기 때문에 고평가된 수치인 것 역시 감안해야 한다. 미국 경제가 부강한 것은 맞지만 최근에는 달러의 강세와 함께 이러한 통계 현상이 더욱 나타나고 있다.
  • 수출, 수입을 합친 전체 무역량 세계 1위 국가다. 기사 유럽연합을 한 국가로 따지면 아니지만 하여튼 거대한 규모다. #

9.1. 천조국의 기상

이어 하교하기를,
“미국의 부강함은 천하 제일이라 하는데, 경이 지금 눈으로 보니 과연 그러하던가?”
하니, 민영익이 아뢰기를,
“그 나라는 곡식을 생산하는 땅이 많고 사람들이 모두 실제에 힘씁니다. 그래서 상무(商務)가 가장 왕성하니, 다른 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하였다.
仍敎曰、美國富強、天下第一云、卿今目覩、果然否?
泳翊曰、其國地多產穀、人皆務實、所以商務最旺、非他國比之矣。
승정원일기 고종 21년 갑신(1884) 5월 9일(계미). 고종보빙사 민영익의 대화.
Lo cierto hoy, que para gastar y enterrar detritos, la llamada huella de carbono por la ciencia, dice que si la humanidad total aspira a vivir como un norteamericano medio, serían necesarios tres Planetas.
탄소발자국에 따르면, 만약 현재 전 세계의 인구가 평균적인 미국인처럼 소비한다고 가정했을땐 지구가 세 개는 필요하다.
- 2013년 호세 무히카 당시 우루과이 대통령의 UN 총회 공식 연설.[119]
파일:external/www.incaproductions.co.uk/Chanel-686x437.jpg

미국은 말 그대로 천조국의 위상, 진정한 인해전술을 보여준다. 진짜 대륙의 기상이라는 건 사실 이 나라를 말한다. 드넓은 영토와 영해, 3억을 넘어 4억을 향해 가는 세계 3위의 인구, 그리고 그들을 전부 부양할 수 있는 경제력의 수혜를 받아 거대한 물량을 자랑한다.[120] 중국이 건축, 토목공사 같은 조금 더 고전적이고 외적인 면에서만 주로 대륙의 기상을 보여준다면, 미국의 대륙적인 기상은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를 가리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녹아들었다. 이때문에 국내에서는 미국을 '방장 사기맵', '치트키 국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든 것이 거대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대하고 자원이 많고 회사 역시 크고[121] 차도 크고[122][123] 도로도 넓고[124] 집도 크고 정원도 크고 공원도 크고[125] 심지어 식당에서 음식도 굉장히 많이 준다.[126] 게다가 뉴욕이나 시카고, 로스앤젤레스[127]초고층 빌딩 건설을 규제해 왔다. 뉴욕 같은 수많은 대도시에는 엄청난 높이의 마천루가 대놓고 빼곡하게 숲을 이루는데, 더 놀라운 건 20세기[128] 초부터 이랬기에 당시 뉴욕시의 모습이 담긴 매체 자료를 보면 지금과 비교해 봐도 손색이 없다.
파일:1930년대 뉴욕.jpg
1930년대의 뉴욕[129]
파일:7F930727-ABD0-4FDA-895A-3A464A6C458C.jpg
2010년대의 뉴욕
군대의 경우 웬만큼 잘 사는 국가들에서는 기함으로 쓰는 이지스함을 항모 호위함으로나 쓰는[130] 거대한 스케일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한국처럼 경제규모가 세계에서 10위권인 국가도 겨우 몇척 보유하고 있는 이지스함을 미국은 90척이나 보유하고 있는 것을 보면 사실상 아주 넘사벽 수준의 군사강국인 셈이다. 여담으로 창작물도 스케일이 산으로 갈 정도로 큰데 실제로 코믹스가 원작인 마블이나 DC, 트랜스포머 같은 작품들이나 영화가 원작인 스타워즈 또한 TV 드라마가 원작인 스타트렉 같은 인기 SF물만 봐도 그 상상력의 크기가 정말 크고 아름답다. 미국인들이 거대한 것을 선호하는 것은 많은 매체에서 클리셰와 밈으로 정착될 정도로 유명하다. 학교부터 쇼핑몰까지 아시아권의 사람들에게는 색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거대한 규모를 좋아하는 전체적인 미국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이기도 하다.
파일:attachment/미군/물량/미군물량2.jpg파일:attachment/미군/물량/미군물량1.jpg

여러모로 지리적 입지가 초강대국이 되라고 신의 축복을 받은 듯한 국가이기도 하다. 안보 측면에서 러시아중국과 입지를 비교하는 얘기가 종종 나오기도 하는데 '동쪽물고기, 서쪽에도 물고기, 북쪽은 말 그대로 같은 동족이나 마찬가지인[131] 최우방국 캐나다, 남쪽은 더 약하고 미국에 사실상 종속된 멕시코[132], 쿠바, 바하마로 대치하고 있는 적성 국가가 없다. 기나긴 육상 국경에 걸쳐 주변 가상 적국을 견제하기 바쁜 러시아, 중국과 비교하면[133] 사실상 모든 군사력을 국외에 투사할 수 있는 천혜의 입지 조건. 특히 국외 군사력 투입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소위 '뒤통수 맞을 가능성' 이 거의 없다는 것이 미군이 해외에 주둔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다. 육로로 미국 본토를 타격하는 방법은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하는 방법뿐인데, 앞서 언급된 대로 이 두 나라는 사실상 미국의 우방이다. 즉, 미국의 해군과 공군보다 압도적인 전력을 가진 해군과 공군이 아닌 이상 미 본토를 뒤통수칠 방법은 없다[134].

그런데 개척 초기에는 영국 본토에서 온 권력자들은 개발 안 된 이 땅을 보고 살기 안 좋은 곳이라고 깠다.[135] 서부 지역이 사막 기후에 가깝다는 점[136]을 빼면 사람이 살기에 좋은 풍토에 농업 생산량도 좋은 땅이 많고[137] 각종 자원도 많아서 이나 광, 탄광도 많고 석유도 나오는 데다[138] 우라늄까지 나오는 자원 채취력까지 사기 규모인 국가다.

또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해양 접근성에서도 압도적이다. 배타적 경제수역 면적 세계 2위에 태평양과 대서양에 활짝 열린 엄청난 해안선을 갖고 있다. 경쟁국인 러시아나 중국의 경우 몇몇 전략 지점(해협, 섬)이 막히면 대양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다.[139] 이제는 대수층이 발견되어 물 부족도 해결될 전망이다.# 다만 초기 열악하다고 지적받은 입지 조건을 개척 정신이라는 모토 아래 하나하나씩 제거하여 지금의 상황을 만든 나라이기도 하다.

농업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에 가까운데, GMO 탄생도 연관이 깊다. 1950년대에 모노컬처라는 것이 등장하는데이는 사막에 물을 끌어들여 한 가지 작물을 심는 것이다. 그러나 작물이 망가지자 작물을 오래 재배하기 위해서 생각한 것이 바로 GMO이다.

그리고 석유가 미국에서 굉장히 많이 난다. 2018년에는 생산량이 세계 1위가 되었다. 과거에는 알래스카 주와 멕시코만 일대의 석유로 먹고 살았지만, 셰일 가스의 발전으로 지금은 본토 전역에 걸쳐 석유가 생산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으로도 100년 이상은 충분히 쓰고도 남을 양인데, 더 무서운건 아직 제대로 탐사하지 않은 지역도 많다는 데 있다.[140] 그나마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편[141]. 지진도 캘리포니아와 알래스카 남부-알류산 열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고, 중남부에 토네이도 앨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차감 요인이지만 땅덩이가 큰 나라치고 그런 문제 없는 나라도 드물고 동부 지역은 저런 문제에선 어느 정도 자유로운 편이다. 굳이 따지자면 남동부 지역은 허리케인, 북부 지역은 폭설이 고민거리이긴 한데, 중위도 지방에서 그런 거 안 겪는 나라는 어차피 별로 없다.

여기에 미국에 처음 이민 온 세대들도 스케일이 비범해서, 13개 주로 시작한 당시부터 땅 크기만 이미 서유럽에 버금가는 준대륙급의 크기였는데 서쪽의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계속 개척하려고 했다. 사람도 그 시절치고는 꽤 많아서, 독립 직후 기준으로도 이미 잉글랜드 본토(700만)와 별 차이 없는 인구(500만)를 가지고 있었다. 건국 시절부터 미국인들은 이미 아메리칸 스케일을 보여주고 있었던 거다. 이 때문에 미국은 초기에 서부와 남부의 영토를 차지하고자 멕시코와 전쟁을 벌이기도 하고, 알래스카와 루이지애나를 먹기 위해 러시아, 프랑스에게 헐값에 땅을 사들이기도 하고,[142]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미시시피강 서쪽으로 쫓아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원주민들을 탄압하는 등 그야말로 자국 영토를 태평양에 닿게 하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했다. 서부 개척 시대가 바로 이 시기를 말하며, 지금까지도 미국인의 기본 정신인 개척 정신의 형태로 남아 있다.

이렇게 동부 해안가에 기본적인 인프라가 깔린 상태에서 조금만 더 서쪽으로 나가면 자원도 풍부하고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빈 땅들이 넘쳐났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기존 체제에 절망한 이민자들이 유럽과 가까운 아메리카 대륙으로 몰려들어 미국의 인구 수는 독립 후 수십 년 만에 폭등하기 시작했다. 50년 만인 19세기 초중반에 이미 본국인 브리튼섬의 인구를 넘어섰고, 이후 남북 전쟁 시기가 되면 북부 지방의 공업의 발달과 땅을 거의 헐값에 주는 개척 정책에 힘입어 대부분의 영토가 개척되었다. 물론 이런 지역들은 대부분 개발이 안 되어 있어서 척박하고 치안도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거의 헐값에 땅을 준다는데 그게 무슨 상관이야?"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실제로 지금도 미국에는 도심지에서나 빼곡히 모여서 살지만 이외의 지역에는 땅이 텅텅 비어 있다.

그 결과 1870년경에 영국을 비롯한 모든 유럽 열강을 가뿐히 제쳐버리고 경제 규모 세계 1위를 달성했고, 1900년경에는 당시 세계 2, 3위였던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 여러 개를 합친 것보다도 더 막강한 경제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2차 대전이 끝난 1950년대에는 서유럽 전체의 경제 규모를 넘게 되어 이 놀라운 생산력을 바탕으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최강대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시기 미국 서유럽
1870년 980억 달러 3,650억 달러
1913년 5,170억 달러 8,940억 달러
1950년 1조 4,560억 달러 1조 3,710억 달러
1998년 7조 3,950억 달러 7조 3,330억 달러

냉전 시기에는 독소전쟁의 후유증으로 경제적으로 만년 2위였던 소련과 달리 전쟁 후 혼자서 경제 위기로 피폐해진 서유럽을 지원할 정도로 국력의 차이는 이미 넘사벽이었다.[143]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로 이 시기 국방 예산의 증액에 대규모의 제재가 들어갔는데, 그랬음에도 소련이 따라잡기가 버거울 정도로 엄청난 국방비였다고 한다. 이미 미국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수많은 무기를 수출했으며, 직접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기 때문에 군수 산업 분야에선 가장 뛰어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거기다가 본토가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아서 무기를 넘치도록 생산해 낼 수 있는 자본이 그득하니 본토 수복에 바빴던 소련이 미국의 국력을 따라잡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당연했다. 국력의 차가 이 정도니 애초에 냉전에서 ICBM, SLBM이라도 없었으면 소련이 이길 가능성은 없었던 것이다.

국방비 자체는 소련이 더 많이 썼을 때도 있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군비를 확장했을 때가 그것이었다. 그러나 소련의 경제력은 최전성기에도 미국의 3/5 수준이어서 부담이 훨씬 컸다. 소련의 경우 미사일 기술이나 핵 기술 역시 냉전 초기에 미국에 심어놨던 스파이들을 통해 기술을 확보했다는 말이 있는 만큼 기술을 완성시키는 데 드는 비용은 미국에 비해 훨씬 절약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미국의 전자 기술과 최신 무기들을 질로 따라갈 수가 없어서 현재까지도 러시아는 재래식 ICBM을 많이 만들어놓는 식으로 질보다 양으로 승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이러한 양으로의 승부가 무력화되는 미국의 MD 개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여기에 미국은 양적 경쟁은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이후에는 질적인 우세로 밀고 나갔다. 이지스 방공 체제, 핵추진 전략 잠수함, 스텔스 체계, 그리고 토마호크 순양미사일까지 개발해내서 소련을 착잡하게 했다.

파일:attachment/wmEhVdhy.jpg
한 나라 전체도 아니고 한 공장에서 나오는 제철량이 나치 독일이나 일본 제국의 제철량보다 더 높았다. 실전 경험이 뛰어나고 2차 세계 대전기 6호 전차 티거티거 II 등의 최고의 중전차들을 갖고 있던 나치 독일이나 진주만 공습으로 전략적 우위에 있던 일본 제국이 미국을 끝끝내 못 이긴 결정적인 이유가 미국의 끝 없는 물량공세였다. 독일은 연합군의 공습에 얻어터지다 보니 공장과 같은 산업 기반이 파괴되어 물량 공세는 꿈도 못 꿨으며 일본은 아예 '총동원'을 내려 후방에서 보급품을 제작하거나 수리하는 숙련공들까지 모조리 징집해 전쟁터로 끌어가버렸다. 이러다 보니 일본은 물량공세가 아예 안 되는 데다 재료까지 수급이 안 되다 보니 그야말로 언감생심이 되어버린다. 이는 독일도 똑같이 겪게 되는데 한 예로 독일의 최신예 전차였던 티거 2는 전쟁 후반기로 들어서면서부터 그 품질이 저하되기 시작했는데 초도 물량으로 뽑아낸 티거 2 전차들이 오히려 더 양질의 제품이었을 정도였다. 전차 제작에 필요한 원료들의 수급이 안 되어서였다.

이러다 보니 유럽 전선에서나 태평양 전쟁 당시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초반에는 반짝 승리를 거뒀지만 시간이 지나 미국에 의해 보급로가 차단당하고 더불어 물량 공세까지 시전해 버리자 GG 안 치고는 못 배기게 된다. 단적인 예로 미국의 M4 셔먼은 나치 독일의 중전차들이나 야크트티거, 야크트판터 같은 중돌격포들에게 터져나가는 게 일상사였지만, 본국에서 그보다 배나 더 많은 물량이 생산되고 전선에 실시간으로 보급되는 까닭에 잔고장 하나만 발생해도 속수무책으로 있어야 했던 독일군 전차에 비해 우위에 있었다. 한 예로 독일 티거 시리즈 전차들은 뛰어난 성능과 위력으로 연합국을 공포에 떨게 한 존재였다. 문제는 크기에 걸맞게 무게도 장난이 아니어서[144]이를 전선까지 이동하기 위해 개설해야 하는 철로의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도 장난이 아니었던 데다 미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이후로는 보이는 독일 전차들 모두가 미 육군 항공대 전투기들의 표적감으로 털려나갔고 급기야는 전차들을 생산하는 공장들마저 미 폭격기의 폭격으로 터져 나가자 생산마저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퇴역 준비 중이던 티거 전차들은 전장에서 짱박힌 신세가 되었고 물자 부족으로 인해 티거 2도 계획보다 훨씬 적은 수량만 양산되는 실정이었다.[145]

거기에 미국의 스케일을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농약조차 비행기로 뿌리고[146], 5명 중 4명이 차량을 소지하고 있으며(특수차 포함), 모잠비크인 32명의 소비량이 미국인 1명의 소비량과 같으며, 쇠고기 생산량은 4%인데 소비량은 25%, 거의 모든 도시가 보행자, 자전거보다 자동차를 위해 만들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비슷하다.

그나마 여기에 나온 사례들도 미국의 쇼미더 머니 스케일을 전부 보여준 것도 아니다. 파고들면 외국인들은 물론 사정을 잘 모르는 미국인들도 머리가 아파질 정도로 더 많은 사례가 나온다. 1인당으로 통계를 내도 엄청나지만, 전체로 통계 내면 그야말로 미국만이 가능한 스케일이 나온다. 그래서 게임을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미국은 대공황으로 생긴 디버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실보다 강력한 너프를 먹고 나오지만[147] 그렇게 너프를 먹이고도 매우 강하다고 묘사된다. 시스템상 제거가 가능하게 만든 이런저런 디버프를 마저 떼기도 전에 이미 미국의 국력이 최강을 달리기 시작한다.[148]

이런 막대한 국력과 전 세계에 끼치는 거대한 영향력, 현대 문명에서 차지하는 중심성 때문에 미국을 현대의 로마 제국 혹은 21세기의 중화제국으로 비유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즉 미국이 국내외에 끼치는 영향력은 과거 로마 제국중화 제국, 아니 그 이상의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호사가들의 발언이 아니며, 정치외교학에서도 진지하게 다루는 내용이다.
오늘날, 미국은 중심 국가, 즉 국제 질서의 중심 국가다. 미국에 대한 회의론자들은 우리는 현재 다극화된 세계를 살고 있고, 미국이 세계에서 점유하는 GDP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달러의 패권은 이미 위협받고 있는 데다, 세계는 더 이상 미국을 이전과 같이 존중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런 미국 회의론자들은 한 가지 요점을 놓치고 있다. 미국은 세계를 조율하기 위해 굳이 힘들여 지배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천하의 개념에서 명나라가 이끌었던 동아시아나 혹은 현재 미국이 만들어 놓은 미국의 세계에서는 중심 국가의 경제력, 군사력만이 천하를 지탱하는 게 아니다. 그 중심 국가가 지니는 중심성 그 자체가 지탱하는 것이다.

현 세계 체제에서 미국을 정의하는 한 가지를 꼽아 보자면, 그것은 중심성이다. ... 세계 금융 체제에서 미국의 중심성은 그 외 세계에 강력한 레버리지를 갖게 해준다. 예컨대 현재 미국이 이란이나 러시아에 가하는 금융 제재는 전후 미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던 1950-60년대에 가할 수 있는 경제 제재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 세계화는 세계의 상호 연결성을 증가시켰는데, 그 상호 연결성이란 그물망의 중심에 바로 미국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 뉴욕과 캘리포니아를 따라 흐르는 세계 금융망에 국한된 얘기만이 아니다.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미국을 거쳐간다. 미국은 다른 네트워크망에서도 이 중심성으로부터 큰 이득을 취하는데, 학문, 미디어, 그리고 현재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댈 수 있는 모든 것에 그러하다. 현재 이 세계는 미국이 중심이 되지 않은 세계 네트워크망에 대해서 상상하기 어려울 지경까지 왔다.
미국의 천하(American Tianxia).[149] 포린 어페어.[150]

10. 사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생활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사회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사회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일반적 특징

한국에서의 인식은 사회보수주의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인식과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하다는 인식이 혼재하며, 실제로는 대한민국과 비슷하게 선진국 중에서는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축에 들지만 워낙 넓고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보니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로 북부, 서부로 갈수록 평균적으로 개방적, 진보적이며[151] 중남부로 갈수록 평균적으로 보수적인데[152], 진보적인 곳은 심지어 서유럽 빰칠 정도인 워싱턴주, 오리건, 캘리포니아, 네바다, 하와이 서부의 5개의 주들과 북동부의 뉴잉글랜드 6개 주들 같은 곳들도 있다. 반면 보수적인 지역(바이블 벨트 주들)은 매우 보수적인 편이다. 가정교육 방식도 엄하며[153] 애니메이션 규제는 총을 물총으로 바꾸는 정도다. 적어도 아동용 장난감이나 매체에 대해서는 예상 밖으로 엄격하다.[154]

그리고 호주, 러시아, 라틴아메리카와 더불어 남성성(마초성)에 대해 상당히 중요시하는 편이며[155] 보통 고등학생 이상이 되면 짐(헬스장)에 등록하여 근육을 키우는 데 매진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156] 한국에서는 미국을 무작정 자유로운 분위기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미국은 서구권 선진국들 중에서는 사회/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나라다. 법률이 최소한 약자인 여자들한테 조금 유리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남성성과 권위에 상당한 무게를 싣는 분위기이다. 한마디로 겉으로는 형식적인 메너를 지켜 누구한테나 친절하게 대해주지만 뒤돌아서면 여성스럽고 소심하며 운동 못하고 특이한 행동을 일삼는 남자는 소위 말하는 "남자취급"에서 열외되는 분위기다.[157] 이는 미국 동남부, 서부를 떠나서 서구권들이 대체적으로 어느정도 그런 문화가 있다. 특히나 젊은 세대들의 사회에서는 남성이라면 어느 정도 운동을 할 줄 알고 근력을 보유해야 인정해 주는 이른바 전형적인 마초주의스러운 분위기이다. 아무래도 역사 자체가 빡세게 오지 개척을 했었던 나라이고, 지금도 군사력이 압도적으로 세계 1위인 걸로 볼 때 외향적인 성격과 하드 파워를 중시하는 문화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렇기 때문에 마르고 힘이 없어 보이거나, 게이 같은 애들이 어리거나 젊었을 때 따돌림의 희생타로 전락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흔하다. 물론 남자다움이 다소 떨어지거나, 아니면 문제가 조금 있어도 다같이 잘 지내는 곳도 있으니 그야말로 케바케. 아시아계 인구가 많은 주들이나 지역들은 대다수가 평균소득이 높아 이러한 마초 문화가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물론 아시아계 역시 범위가 굉장히 넓기에 상황에 따라 다르다. 성매매도 대부분의 장소에서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성매수에 대한 시선은 한국보다 더욱 좋지 않으므로 설령 호기심으로 한 번 했더라도 절대 다른 사람들 앞에서 함부로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

미국 역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사회인 만큼 사회적인 통념에 맞게 행동하는 걸 미덕으로 보는 경우가 지배적이다. 특히 나이가 18살이 넘어 성인이 되었으면 올바르게 사회에 들어가서 어른답게 사회의 일원으로 조직생활을 잘 해야 된다는 통념은 오히려 한국보다도 더 강하다.[158] 기독교 사상이 강한 사람들은 결혼도 제법 중시하는 편이다. 물론 결혼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과거에 한국에서는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을 기회의 땅이라고 칭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당연히 능력이 좋거나, 열심히 일하거나, 남성스럽고 사회성이 좋은 사람, 혹은 예외적으로 특정 분야에서 스타 반열에 오를 만큼 천재적인 끼를 가진 사람들한테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라면 미국에서 살아남기가 그렇게 수월하지 않다. 애초에 미국이라는 국가 자체가 전세계 최고의 인재들이 몰려드는만큼 경쟁이 굉장히 치열하다.

참고로 미국은 세계에서 경제 1위, 과학기술 1위, 군사 면에서 압도적인 1위라는 타이틀과는 다르게 복지치안 등 사회적인 안전망은 선진국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실한 편이다. 심지어는 중산층의 삶을 영위하던 사람들도 사업을 하다가 부도가 나거나, 운이 없게 불치병에 걸려 병원비가 엄청나게 나오면서 밑바닥 인생으로 추락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당연하지만 미국인들의 평균 수명은 마약, 총기 문제, 엄청난 빈부격차, 복지를 비롯한 사회적인 안전망의 부실로 인해 선진국 중에서는 가장 좋지 않은 편이다. 이미 2000년대 초반에 신흥 선진국인 한국한테 따라 잡혔으며[159], 2022년 현재는 차이가 많이 벌어져 있다.[160]

흔히 미국산 게임이나 만화 속에서 나오는 과장된 표현 등을 보면서 '자유의 나라라서 자유로운 표현이 보장되는구나' 싶겠지만, 자세히 파보면 한국과 맞먹거나 한국보다 더할 정도로 꼼꼼한 검열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영상물 등급 제도를 철저하게 지키기 때문이다. 영화 매체는 1968년에, TV 매체는 1996년부터 영상물 등급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방송사가 해당 프로그램의 등급에 맞지 않는 방송을 내보내면 전국의 시청자, 특히 아이를 둔 부모들로부터 산더미 같은 고소장을 받는다.

다만 영상물 시청 등급 판별이 매우 엄격할 뿐, 일단 등급이 정해지면 그 내부에서는 굉장히 관대해진다. 이미 R등급(18금)을 받은 방송은 아동 성범죄 같은 민감한 사항을 제외하면(이게 거의 유일한 금기 사항) 정말 막 나간다. 성진국의 물건을 수입해 올 때 원본을 초월한 수위의 물건을 따로 요구한다고. 모자이크 처리가 되지 않은 성인 애니메이션의 대명사가 북미판으로 불린다는 것만 봐도 그렇다.

명실공히 전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몇몇 서구권 국가들과 함께 상당히 많은 인구들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 그나마 비슷한 민족들 사이에서 생긴 혼혈의 역사 정도나 있었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다민족 상태로 시작하였으며, 이 때문에 민족 간 갈등도 많이 겪었고 이후 다민족에 대한 대우가 좋은 편에 속한다. 물론 미국의 역사가 이제 200년을 갓 넘긴 상태라서 완전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단일 민족으로 시작해서 다민족 문제를 겪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더 나은 편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다민족 특성상 인종차별 문제나 갈등은 숙명처럼 존재하지만, 그런 만큼 인종차별 발언에 프로불편러 수준으로 민감하다. 유명인이 공개석상에서 '니거'라고 조크라도 한마디 던졌다간 그대로 나가리 된다. 극단적 자유주의 성향으로 인해 공인이 마약을 했다든가 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지극히 개인의 사생활로 치부하는 성향이 강하지만, 그런 미국에서도 증오/혐오 발언은 즉시 매장감이며, 횡령, 미성년 대상 범죄(유괴, 소아성애)는 절대 용서받지 못할 정도의 행위이다. 농담이 아니다.

중국과 미국 중에서 중국은 전체주의 국가의 대표격이라면, 미국은 개인주의 국가의 대표격이다. '다민족 국가'의 특성상 개인주의화될 수밖에 없기도 했다. 원래 '민족주의 프로파간다'는 일장일단으로서 강하게 뭉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타민족에 배타적인 단점이 있다. 그런데 미국은 애초 시작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보니 민족주의 프로파간다를 써먹을 수 없었다. 실제로 게릴라전의 승패는 첨단 장비가 아닌, 민족주의나 종교에 기반한 의지나 인내심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니 전체주의와 집단주의의 기반이 되는 민족주의는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프로파간다로서 유용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 군상들이 뒤섞여 사는 관계로 타민족의 문화에 간섭하면 싸움이 나니, 결국 각자 타인의 영역을 터치하지 않고 존중해 주는 개인주의 문화가 자연스레 발달했다. 2020년에도 백인 경찰의 흑인 용의자 과잉 진압으로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이 발생하자 대규모 시위와 혼란이 벌어졌는데, 미국 내에서 민족 간의 충돌은 언제든 여차하면 터질 수 있는 시한폭탄 수준인지라 특정 인종이나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은 금기처럼 터부시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는 굳은 의지의 표현으로 '성을 간다'는 관용어구가 있을 정도로 족보를 중시하며, '뿌리집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수치로 여긴다. 입양이나 재혼 등으로 인해 새아버지의 성을 따르는 경우나 어머니의 성을 따라 바꾸는 일부 예외 사례를 제외하면 성을 바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성도 자신이 원하는 걸로 바꿀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WWE의 레전드인 얼티밋 워리어다. WWE와의 상표권 분쟁에서 패하자 자신의 성을 워리어로 바꿔서 두 딸의 성도 워리어다.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나중에 쓰는데, NAME을 번역하면 '성명'이지만, '명성'인 셈. 주소를 쓸 때도 한국에서는 시를 먼저 쓰고 점점 작아지지만, 미국은 반대다. 날짜를 표기할 때도 한국에서는 해당년도를 먼저 쓰지만, 미국에서는 마지막에 쓴다. 그래서 군의관이 이렇게 쓰는 훈련병을 보고 유학생임을 알아채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관습은 단순한 습관일 수도 있으나[161], 큰 집단인 카테고리는 후순위로 쓰는 경향이 있다.

한국은 21세기 들어 외국인이 많아져 완화됐긴 하나, 과거엔 흑인깜둥이라고 부른다든지 '시커먼스'란 개그 방송도 히트 쳤던 적도 있을 정도로 같은 민족끼리 살고 있다 보니 타 민족 비하에 대해서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국은 타 인종, 타 문화와의 접촉이 빈번한 사회이기에 한국은 물론이고, 서유럽과 비교해도 매우 인종차별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물론 아직도 절대적 의미에서는 미국에서 인종 평등이 실현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서유럽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미국이 양호하다. 흑인을 니거라고 한다면 한순간에 아웃될 수 있을 정도로 민족이나 인종과 관련된 표현에 매우 엄격하며 금기시한다. 실제 전설적인 WWE 스타 헐크 호건은 흑인 친구도 있고 공개적으로 흑인 비하를 한 것도 아님에도, 단지 자신의 아내와 바람핀 흑인 남성에게 홧김에 '니거'라고 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한순간에 아웃되었다. WWE에서도 헐크 호건 관련 상품을 내리거나 사진들을 없애고, 한국의 커뮤니티 짤에도 헐크 호건이 찍혀 있던 사진에서 헐크 호건 부분만 오려내며 투명인간 드립이 유행하기도 했을 정도다.

단일 민족인 한국에서 김용옥은 자신의 자녀는 미국 사립학교에 보내긴 했지만, 한민족 최고 외치며 한민족의 우수성을 설파하니 한국에서 인기가 많다. 하지만 미국 WWE에서 '백인판 김용옥'인 JBL은 악역이다. 백인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게 백인들에게는 국뽕처럼 뽕맞는 느낌을 줄 수 있어도, 타 민족에게는 밥맛없을 수밖에 없다 보니 백인우월주의자 캐릭터들은 거만하고 어그로를 끄는 악역 포지션을 맡고 얻어터진다. 이렇게 집단적인 '민족'이나 '인종'에 대해 차별은 물론 우월성을 표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니, 그냥 각자 '개인'으로 봐주고 존중해 주는 문화가 발달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발달하고, 심지어 성조기까지 태울 자유도 준다.

전 인민의 무장화에 성공한 국가지만 영화나 드라마와는 달리 민간인은 총기의 휴대 및 사용이 쉽지만은 않다. 이에 대한 법령은 주나 도시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딱 잘라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로 진보주의/총기 반대 성향이 강한 도시로 갈수록 빡빡하고, 보수주의/총기 지지 성향의 지역으로 갈수록 총기 구하기가 쉽다. 또한 사냥에 쓸 만한 큰 라이플 등등이 구하기 쉽고, 숨기기 쉬운 권총 등은 구하기가 더 까다롭다. 정확히 말하면 합법적으로 총기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총 구매 절차가 엄격하지만, 불법적으로 판매하는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시장이라던지 이런 곳에선 절차 그런 거 없이 총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물론 어느 주에 가든 콜라 사듯이 총을 가게에 가서 살 수 있는 건 아니고, 범죄 경력이나 정신병 경력이 있는지 본 다음에 허가를 제대로 받으면 살 수 있다. 이것도 완벽한 건 아니라, 한국에서도 유명했던 조승희 사건같이 일이 제대로 처리됐다면 절대 총을 살 수 없었어야 할 인간도 잘만 하면 합법적으로 총을 마음대로 구입할 수 있기에, 여러 가지 골치를 썩고 있다. 대충 일상적인 차원에서 말하자면 뉴욕이나 보스턴 같은 대도시에 살면 솔직히 동북아나 서유럽 같은 비슷한 소득수준의 사회들의 상식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만 도시화가 덜 되고 인구 밀도가 떨어지고 백인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들어가면 다른 상황들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에 매우 엄격한 국가인데, 구매하거나 마실 수 있는 최소 연령대도 한국보다 엄격하다. 미국의 경우 21세가 되어야 술을 구매할 수 있으며 여담으로 대학생 관광객들이 술을 구매하려 할 경우 점원이 여권을 보여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반드시 여권을 보여줘야 하며, 외국 신분증은 적용이 안 된다.[162][163] 또한 밖에서 대놓고 술을 마시는 것도 금기사항이며, 미국인들의 경우 한강변에서 술을 마시고 노는 한국 대학생들을 보고 문화 충격을 받은 경우도 많다고 한다.

또 아동 성 문제에 엄해서 자정만 넘으면 성인 방송이 나오는 한국 케이블에 비해 미국은 새벽 3시가 돼도 15세 이상은 틀어주지 않는데, 법에서도 아동 성범죄에 한정되긴 하지만 말 그대로 치를 떠는 수준이며, 아동 성범죄와 살인죄사형만 제외하고 동일 선상에 놓고 있는 주가 대부분이다. 이외 좀 특이한 점은 다른 나라와 달리 아동 포르노 소지자도 거의 강간범에 준하여 다스린다는 것인데, 대부분의 국가와는 확실히 다른 점이다.[164]

하지만 반대로 성인의 성은 한국보다 훨씬 개방적이며 철저하게 자기 책임으로 처리하는 국가이기도 하며, 실제 미국 라스베이거스 밀랍인형 박물관에는 전설적인 포르노스타 제나 제임슨도 전시되어 있다. 미국은 '자유 국가'답게,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이상 가급적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의 개입은 최소화하는 편이다. 따라서 두 사람이 '합의'하에 하는 경우는 행복추구권을 존중하여 가급적 간섭하지 않고 자유를 봐주는 편이다. 2015년에는 논란을 빚던 동성결혼이 미국 전역에서 합법화되었다. 음란물도 둘다 합의하에 찍은 거라면 존중해 준다. 단, 성폭행은 남에게 객관적으로 큰 피해를 안긴 것이기에 자비 없이 엄벌에 처한다. 아동 성범죄를 저지른 범죄자가 감옥에 가면 미트스핀 철도에 올려진다는 것이 정설이다.[165] 하지만 영미법을 따르고 치안이 선진국치고 그리 좋지 않아 본보기로 엄벌을 때리는 실정에 가깝고 정작 법조계는 엄벌주의에 회의감이 많고 독일처럼 교화 위주로 수감해야 한다고 하는 사람도 많다. 특히 1994년 클린턴 정부 때 경찰을 중무장화시키고 범죄자들을 쉽게 잡아 형량 높여놨더니 이후 교도소 수감 인원이 전에 비해 2배가 되고, 수감자들은 너무 오래 수감됐다 보니 죄를 뉘우치려고 해도 출소해서 재사회화할 시기도 놓쳐 늙어서라도 기존에 아는 범죄 기술만 연마하고 서로 가르쳐주기만 하고, 수감된 동안 주 정부의 재정에 큰 부담을 주니 사설 교도소에 민영화해 버리고, 민간 기업은 감사를 할 수 없으니 돈만 빼가고 복지 기준에 한참 미달인 교도소를 운영하는 실정이면서 수감 인원만큼 정부 지원금을 받아 챙기니까 아무 이유 없이 불량하다고 얼버무리고 형량 늘려버리고 세금만 먹는 이익집단으로 변모했다. 교육과 의료 시설에 투자해야 할 자금이 줄어들어 사회 시설은 노후화되고 열악해지고 그래서 범죄자도 더 생겨나고, 악순환이다.

미국에서는 파이트 클럽 비스무리한 모임이 존재하며 유튜브에서 현피 영상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6년 8월, 디씨 패션갤러리의 앙숙이던 네임드 유저 2명이 키보드 배틀 끝에 원한의 '그러지(grudge) 매치'처럼 주먹으로 담판짓기로 하고 많은 팬들의 응원 속에서 만나서 격투를 벌인 적이 있다. 아무래도 디씨 유저들이 관중이었으니 적당한 선에서 싸움 끝내고 중재하여 화해하고 다 같이 단체 사진 찍고 나름 훈훈하게 마무리되었으나, 당시 방송까지 탈 정도로 큰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결국 둘은 고등학생 신분의 '미성년자'였음에도 폭행죄로 서울강남경찰서에 사이좋게 불구속 입건되었다.# 당시 댓글에는 싸움을 구경하러 '관중'으로 나왔던 디씨 유저들을 비난하며 '한국은 미개 국가'란 식으로 맹목적으로 비난하는 댓글이 많았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자신의 길거리 싸움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유명해진 킴보 슬라이스 같은 인물도 있는데, 사실 실력은 썩 좋지 않았지만 유명세로 인해 UFC에도 진출했다.[166]

그 외에도 최소한 형식적으로는 "자유로운" 나라라서 자신이 어떠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도 절대로 정부가 그것을 제한하려고 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오바마의 사진에 히틀러의 콧수염을 붙여도 그것을 이유로 국가반역죄 같은 걸 뒤집어쓸 걱정은 없다. 하지만 요즘 애국자법이라든가 SOPA같은 법규 이슈나 공공연한 로비 및 검열 탓에 일부 국가들로부터 이러한 법안에 대한 이슈와 논란 같은 식으로 이야기가 오고 갈 때가 있다. 게다가 명예훼손을 아예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닌 게 사우스 파크에서 정치인을 재미 삼아 풍자하는 건 죄가 안 되지만 대놓고 기사를 써서 깔 경우 민사소송에 걸려 거액을 물어낼 수도 있다. 게다가 불법 행위로 인한 것이나 간통 같은 특이 케이스가 아니면 어지간해서는 법원에서 안 받아 주는 한국에 비해 미국의 민사소송은 그 범위가 훨씬 넓고 광범위하다. 다만 미국 언론 특유의 심각한 정치편향성으로 인하여 미국의 2022년 언론자유지수는 5년째 한국보다 낮다.

전체적으로는 아랍 국가들을 제외한 국가들 중에서는 러시아와 함께 종교주의 성향이 매우 강한 국가로 꼽힌다. 남북 전쟁 기준의 북부(동북부+중서부)와 서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미칠 듯이 종교적이다. 가끔 기독교 신정 국가가 아닌지 의심이 갈 지경인데[167]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종교주의의 표현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이다. 당장 칸예 웨스트가 2004년 당시 자신의 신앙심에 관한 노래를 내려 했을 때 내 음반이 팔리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비판을 한 적이 있을 정도로 여기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하는 사람들이 많다. 즉 개신교가 반쯤 국교이지만, 자유주의 국가답게 여기에 대한 의견이 사람들마다 매우 많이 갈리는 편.

아직도 18세기 수준 기술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아미쉬 공동체들이 수십 개 포진해 있는데, 그들만의 닫힌 사회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에 외지인이 들어와서 부녀자를 강간했는데, 남자들이 대표해서 나와서 "그깟 게 뭔 일이냐고 호들갑이냐, 우리는 그냥 용서했다."라고 하고, 피해자가 항의하는 일도 적지만 그럴 용기가 있으면 "감히 마을의 중심이자 하나님의 대변자인 목사님께서 결정한 일에 토를 달려고 하느냐" 라고 사회에서 매장당한다. 기껏 해봤자 2주 정도 사회에서 없는 사람 취급(shunning)만 하고 이후에 지나간 일은 언급하는 걸 금기시한다. 탈출하려고 해도 어디를 갈지 모르는 경우도 상당수고, 2018년 이전 여성들이 운전 못 하는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남편이나 아버지가 관리하는 말을 홀로 타고 나갈 수도 없다. 결정적으로 "아미쉬는 외지에 나가면 끔찍하게 탄압당할 것이다"라는 믿음으로 세뇌하기 때문에 공동체 밖으로 나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창조설 지지자들이 활개치기도 한다. 유럽의 기독교도들은 과학적 담론과 종교적 입장을 구분해서 생각하는 반면[168] 세계의 첨단과 전통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참 특이한 나라다.

인터넷 도메인도 세계 패권을 잡는 국가답게 일반 최상 도메인만 사용한다. 웬만한 기업은 co.us가 아니라 .com이고 글로벌 기업은 각 국가별 도메인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독 미국만 .com/us다. 정부 기관은 죄다 .gov이고 군에서는 .mil 도메인을 사용하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다. 사실 이는 상용 인터넷 자체가 미국에서 개발된 것인 영향이 더 크다.

또한 날짜를 월일년식으로 쓰는 특이한 나라. 대에서 소로 가는 연월일[169]도 아니고 소에서 대로 가는 일월년[170]도 아닌 방식을 채택하는 국가는 미국 외에 캐나다(영어권) 등 몇 나라 안 된다.

조지 워싱턴 때부터 적용하는 청탁 금지법이 존재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빡세서 선물 주고받거나 간식을 보내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고 발각 시에는 무조건 폐기해야 한다. 그래서 윗사람에게 허락받아도 안 되고 또 대통령이 와도 안 된다. 그러나 액수 공개만 하면 합법 로비가 가능한 나라이며 워낙 흔하기도 해서 공개해도 뉴스거리도 안 되어 대중은 무덤덤해져서 문제다. 자신들이 몇 년마다 투표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지만 대기업들 입장에서는 선거 때만 잠시 힘이 약해질 뿐, 선거만 끝나면 누가 당선 되든지 자신들이 원하는 정책을 펼치도록 돈으로 투표를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쓰이고 국제 표준(ISO 8601)인 24시간제를 거의 쓰지 않는 나라이기도 하다. 군대 등 특수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12시간제만을 쓰는 국가는 인도, 필리핀, 미국, 캐나다(영어권), 호주 등 영어권 국가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한국 등 정도이다. 영국도 영어권 국가이긴 하나 일기예보 등에선 24시간제를 쓴다. 구어체에서는 12시간제가 자주 쓰이기는 한다. 일본도 표기 시에는 24시간제가 더 많이 쓰인다. 12시간제는 구어체에 한정되는 정도.

예를 들어 미국 디즈니랜드 홈피에 가보면 '10:00 PM'이라고 적혀 있으나, 도쿄 디즈니랜드 홈피에 가보면 22:00이라고 적혀 있다. 다만 공식적인 표기의 차이일 뿐, 막상 가서 물어보면 구어체로는 12시간제다. 일본도 한국과 똑같이 AM/PM에 해당하는 오전/오후가 존재하여 오후 5시라면 "고고(오후)5시"라고 말하지, 17시라고 말하는 경우는 보기 힘들다. 물어보면 22:00라고 적혀 있어도 계산해서 10시까지라고 답변해 줄 것이다. 손목시계든 벽시계든 바늘시계 자체가 12시간제로 나와 있다 보니, 그냥 보이는 대로 읽어주는 게 말하는 사람이든 듣는 사람이든 편하다. 사람들이 자는 시간인 새벽 시간대에는 바늘이 가리키는 대로 편하게 읽고, 정작 활동하는 시간대에는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에 12를 더해서 말해야 한다면 참 불편하고 불합리하지 않겠는가.

또한 미국은 Do It Yourself 문화가 매우 발달해 있는데, 간단한 수리나 집안일 같은 경우는 스스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미국은 서비스 물가 수준이 한국에 비해 2~3배 정도로 매우 비싸기 때문. 사실상 A/S는 고사하고, 병원비, 외식비, 수리비, 이사비 등등 사람 손이 거치는 것이라면 전부 한국보다 2~3배 정도 비싼데 오히려 A/S 비용보다 새로 하나 사는 게 더 저렴할 정도로 인건비가 매우 비싸다. 예를 들어보자면, 한국같은 경우에는 간단한 부품 교체도 대부분 자동차 전문 수리소에서 맡기는 게 대다수인데 미국의 경우 간단한 부품 교체 작업도 서비스비로 매우 많은 돈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자가 직접 수리하는 게 대다수이다. 이런 미국의 독특한 문화 때문에 위키백과처럼 인터넷에서 쉽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가 미국에서 매우 발달되어 있고 셀프 주유소, 셀프 계산대 비율이 50% 가까이 되기도 한다.

파일:attachment/becauseofamerica.jpg

한국을 제외하면 나무위키 접속량이 가장 많은 해외 국가이다.

트라이버튼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18.4%가 다시 태어난다면 미국에 태어나고 싶다고 한다.

미국은 남자와 여자의 신발 사이즈가 다른 나라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 7호 사이즈 신발은 남자 250mm, 여자 240mm로 10mm 차이가 난다.

10.3. 국민 정서

물론 미국도 사람 사는 곳인 만큼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급하게 일반화시킬 수는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외향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다.[171] 그래서 밝고 사교적이고 잘 노는 성격을 좋게 여기며[172], 미국 정부에서 강력하게 통제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유흥업소, 마약 등 유흥 문화가 발달했다. 한국이나 일본 같은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외향적이냐 내향적이냐 하는 성격 문제가 '개개인의 차이' 정도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이 크고, 외향적이든 내향적이든 너무 사회성이 떨어지거나 남한테 피해를 주지만 않으면 각자의 성격이 존중되고 공존하는 문화인 것과 달리, 미국은 원체 외향적인 성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그러한 정서가 사회·문화 전반에 반영되어 있다보니 내향적인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적응하기 힘들다. 주변에 내성적이거나 소심한 모습을 보이는 사람이 있으면 뭔가 문제가 있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내향적인 성격이 그다지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마초적인 남성상(알파메일)이 선호되므로 외향적인 성격과 운동을 잘하는 능력이 여성보다 훨씬 중요하다. 이런 상황에 따라 실제로 운동을 잘하지 못하거나 성격이 조용하고 소심한 사람들은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문화적인 괴리감을 제법 느끼는 편이다. 이런 사람들은 미국을 비롯한 서양 사회에 비해 아시아권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더 적응을 잘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사회에 비해 학벌주의와 외모지상주의는 많이 덜한 반면, 독립적인 성격과 사회성, 스포츠 참여와 같은 성격 및 신체적인 스펙을 중시하고 더 깐깐하게 보는편에 들어가나, 이런 가치관은 사람마다 상이하므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미국인의 정서가 워낙 활발하고 외향적이다 보니 한국인이 미국에 가면 문화충격을 받곤 한다. 미국에 인성이 나쁘고 문란한 사람들이 많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도 학군이 안 좋고 분위기가 험한 동네를 가면 소위 말하는 일진, 양아치가 매우 많고 범죄율 역시 매우 높다. 유럽에 비해서도 곳곳에 갱단 등 온갖 범죄조직들이 더 많이 활개를 친다. 다만 대다수의 조기유학생들은 유학을 갈 때 행동 규율이 엄격한 명문 사립학교나 개신교, 가톨릭 계열 학교를 주로 들어가기 때문에 스스로 안 좋은 동네를 일부러 가지 않는 이상 험한 사람들과 마주칠 걱정은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173][174] 또한 동네가 별로 좋지 않은 곳의 학교를(이른바 수월하게 점수 더 잘 주는 학교들) 설령 간다 하더라도 본인의 행동방식과 선생님들이 주도하는 학교 분위기에 따라 케바케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식을 심하게 넘어가는 행동만 일부러 하지 않는다면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대학교에서는 더더욱 이런 상황을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래도 어딜 가나 외향적인 정서가 주류인 편이라 상대적으로 제법 모범적이거나 보수적인 사람들조차도 내향적이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 모범생, , 너드, 오타쿠 등을 좋지 않게 여긴다.[175] 특히 남성이 이런 성격을 가지면 남자답지 못하다, 충분히 생산성이 없는 삶을 산다는 조롱에 시달리면서 뒤돌아서서 찐따 대접을 받거나 최악의 경우 왕따가 되기도 한다. 미국을 비롯한 서양에서 남자는 운동을 못하고, 힘이 없거나 조용하면 최악의 경우 왕따를 당할 수도 있다는 소문은 사실상 20-30년 전에도 제법 한국에 퍼져있는 소문이었고, 현재 시점에서는 많이 변하긴 했지만 완전히 헛소리는 아니다. 이는 시대가 아무리 변했어도 대다수 서방국가들의 역사가 기본적으로 개척으로 시작했다는 사실만 참고해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장소와 본인이 속하는 그 사회의 분위기에 따라 케바케의 법칙이 존재하기에 일반화를 하기는 어려우며, 위 내용도 맹신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미국의 건강 매체 웹엠디에 따르면 미국인의 45~53%가 내성적이라고 한다. 미국도 사람사는 곳인 만큼 다른 나라들 처럼 내성적인 사람들이 충분히 많이 존재하지만, 사회의 주류적인 분위기는 외향적인 성향이나 행동방식이 주도하고 있다는 표현이 좀 더 정확하며,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변화하고 있다.
파일:US Marine recruiting boothNY.jpg
2022년에는 미국내에서도 마초적인 분위기가 강하기로 유명한 해병대의 모집 부스에서 일본 애니메이션 풍의 모병 포스터를 내걸기도 했고, 빅뱅 이론과 같이 양덕후 너드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시트콤이 히트를 치는등 이전에 비하면 내성적인 사람들의 취향이나 특성도 조금씩 조명받거나 존중되는 분위기이다. 또한 미국 육군에서 전세계에서도 가장 이르게 밀레니얼 이후 세대 병사들을 어떻게 잘 훈련시켜야 할지를 고심하며 병영문화를 조금 바꾼 것을 보면 역시나 선진국답다. 거의 너드나 오타쿠도 군인이 될수있고, 우리는 그들을 환영한다는 간접적인 메세지를 주는 수준.

또한 아이비 리그를 비롯한 명문대에 다니고 있거나 명문대 출신인 사람들[176],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들은 미국 특유의 외향적인 문화에 별로 섞이지 않고, 최소한의 인간관계만 유지한 채로 살아간다. 설령 정치나 경영 계열에 입사할 정도로 사교성과 외향성이 아주 좋은 엘리트라도 다 주변 인맥은 그만그만한 스팩의 사람들로 대부분 채워지지 그들이 일반인들과 공적으로도 아닌 사적으로까지 어울릴 확률은 매우 적은 편이다.

10.4. 치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안/국가별 현황/아메리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의 법 집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방수사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교도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0년대 초까지는 미국의 치안은 더 안 좋았고, 지금은 많이 좋아져서 개선된 상황으로 평가받는다.[177] 90년대 이후 경찰력을 강화해서 살인 범죄율이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70~80년대 선진국 최악의 막장 범죄도시로 유명했던 뉴욕 등 일부 지역은 경찰력 강화와 엄벌주의가 큰 효과를 봐서 중범죄율이 급감했다. 80년대 이후에는 엄벌주의 때문에 수감자 수가 급증했다. 특히 미국은 수감자 수가 240만 명으로 세계 1위이고 인구수 대비 수감자 비율도 세계 1위이다. 미국 성인 100명 중 1명은 교도소에 있으며, 전 세계 죄수의 4분의 1이 미국인이다.

미국은 나라가 크다 보니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안전한 지역은 선진국 중 상위권인 독일 수준으로 치안이 좋은 지역도 있지만, 총기 문제 등의 한계로 최상위권인 대한민국, 일본과 비슷한 정도의 치안을 가진 지역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며, 대체적으로는 세계 최고의 경제 대국치고는 치안이 상대적으로 나쁜 지역들이 있다. 특히 치안이 좋지 않은 지역은 중남미나 아시아권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의 지역들도 있다. 총기 문제, 인종 문제, 마약 문제, 빈부격차 문제 등 여러 사회 문제로 범죄율이 선진국 중 가장 높다. 미국의 살인 범죄율은 선진국 중 제일 높고, 강간 범죄율, 강도 범죄율 등 다른 중범죄율도 선진국 중 높은 수준이다. 범죄조직 역시 많아서 미국은 갱스터마피아, 바이커 갱 등 각종 흉악 범죄자들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그래서 미국은 그들을 단속하고 소탕하는 경찰 조직과 경찰 조직에 준하는 수사기관들이 굉장히 많다.

미국은 도심을 좀만 벗어나면 다들 널찍히 떨어져서 거주하기에, CCTV도 없는 황야에 가까워서 범죄를 당한 뒤 도와달라고 호소해도 소용없는 환경이다. 황야에 가까울 정도로 너무 크다 보니 CCTV 설치와 감시도 한계가 있다. 게다가 미국은 땅이 넓을뿐더러, 멕시코, 캐나다 등 인접국가들과 국경을 맞닿고 있어 맘만 먹으면 도망치는 것도 비교적 쉽다. 설사 모든 지역에 감시장비를 설치해도, 미국 대평원에는 슈퍼셀과 거기서 나오는 토네이도가 수시로 불어닥치는 곳이라서 기껏 설치해놓은 감시장비들은 우박에 얻어맞아 죄다 박살나거나 토네이도에 휩쓸려갈 가능성이 높다.

미국에는 툭하면 뉴스에 나오거나 더 나아가면 대형 총격전 수준이 아닌 이상 아예 뉴스에조차도 안 나오는 위험한 도시들도 매우 많다. 특히나, 아래에 표기된 도시들은 미국에서 치안이 나쁜 곳들로 유명하며, 볼드로 쳐진 곳들은 안 그래도 치안이 안 좋은 미국 내에서도 상당히 위험한 곳들을 뜻한다.

10.5. 평균소득 및 빈부격차

미국은 OECD 국가 중에서 빈부 격차가 상위권에 드는 나라다. 즉 국민평균소득의 편차가 크다는 말이다. 당연 미국의 거대한 경제규모로 인해 세계최고의 중산층 국가라는 평을 듣기도하나, 그 장점을 가릴만큼 저소득층도 많고, 상류층은 정말 상상도 못할만큼의 부를 누린다.
파일:2022-income-by-race-usa.png

당장 이 표만 보더라도 모든게 확인 가능한데, 단순한 하/중/상류층의 소득격차 뿐만 아니라 인종별 소득 격차도 심하다. 아시아계가 전체적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백인, 아메리칸 원주민, 태평양계 원주민, 흑인, 히스패닉 순이다. 여기서 히스패닉들의 경우 본인이 백인으로 응답한 비율이 꽤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흑인의 빈곤율이 엄청나다는 점을 확인 가능하다. 여기에는 교육 수준도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치는데, 실제로 보호 특수를 받는 아메리칸 원주민을 제외하면, 소득 수준과 동일하게 교육 수준도 저 순서다.

계층별로 분석해 보면 교육과 소득 하위권일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미국의 경우 빈부 격차가 심해서 하위 계층이 많은 관계로 비만율이 높아지게 된다. 가난한 계층에서 높은 비만율로 이어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채소보다는 가공 식품이 싸고 요리에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어서 섭취가 간편해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을 주로 섭취하게 된다.
  • 시간과 돈에 여유가 없어 비만이 생기더라도 다이어트로 관리하는 타 계층과 달리 비만을 관리할 여력이 없다.
  • 하위 계층일수록 훨씬 많은 노동량으로 가정에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서 소아비만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 비만으로 인하여 사회에서 악영향을 받아 비만이 더 가난하게 만들고 후세가 이를 물려받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미국뿐만 아니라 빈곤층에 비만이 많은 중남미계 나라들도 거의 이런 이유가 대부분이다.

비만 자체가 건강하지 못하고 잘못된 생활 습관의 결과물이다. 아동의 경우는 부모가 자녀에게 올바른 생활 습관을 길러줘야 하는데, 빈곤층의 부모일수록 자녀에게 신경 쓸 여력이 부족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 성인의 경우도 경제력이 있는 계층일 수록 건강과 외모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다 보니 건강과 외모의 대표적인 적이라 할 수 있는 비만에는 특히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경찰이 도너츠를 먹는 씬이 클리셰일 정도로 고칼로리 폭탄이 곳곳에 널려 있는 환경이므로 까딱 방심하면 돼지 되는 건 순식간인 환경이다. 게다가 고칼로리 폭탄이라는 의미 자체가 단맛 범벅인지라 중독성과 유혹도 끝장 수준이라서 자기 관리가 부족하면 절제하기가 힘든 환경이다. 미국 만화에서 한시도 손에서 도넛을 떼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비만의 상징일 정도이다.

'몸짱' 운동 선수들이나 연예인들도 일류 트레이너가 붙어서 노력하니까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가수 자넷 잭슨은 휴식기에 110kg까지 찐 적이 있었다. 자기 관리에 철저한 프로들도 조금만 방심하면 이럴 정도니 일반인들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마이클 잭슨은 음악 활동을 위해 평생을 조금 먹으면서 마른 몸매를 유지했다.[179] 달리 생각해 보면, 세상에서 가장 굶어죽기 힘든 나라인 것도 분명하다. 실제 체중 증량하기는 너무 쉬운데 미국 메이저리그의 전설적인 사이 영 상 투수 팀 린스컴이 한때 체중을 한창 늘리던 시절에는 미국 서부의 유명 프랜차이즈인 인앤아웃버거를 애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0.6. 비만

미국은 비만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다.

대도시에 가면 신장 6피트, 체중 270~280파운드[180]쯤 나가는 남성 정도는 길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450파운드[181]에 육박하는 사람도 간혹 볼 수 있다. 현재 한국 20대 남성의 평균 신장은 174~175cm, 평균 체중이 67~68kg인데, 미국 백인 남성은 한국 남성에 비해 키는 좀 더 크고 체중은 23kg이나 더 나간다. 다시 말해 평균에 불과한 체중이 국제 표준으로는 과체중이라는 뜻이다. 미국 백인 남성 평균 신장 177cm, 평균 체중 91kg, 흑인 남성 평균 신장 175cm, 평균 체중 93kg, 히스패닉 평균 신장 171cm, 평균 체중 82kg으로 히스패닉도 키가 일본인과 비슷한데 몸무게는 일본인보다 20kg나 더 나간다. 아시아계는 172cm에 73kg으로 세 인종에 비하면 상당히 정상적인 체중이다. 아시아계는 이민 역사가 가장 짧은 만큼 식습관이 미국화되지 않은 영향이 큰 것이다.[182] 이로 인해 아시아계는 정상 체중일 때보다 비만일 때 더욱 미국인같이 여겨지고, 인종차별을 덜 겪는다는 연구가 나오기까지 했다.

논문 제목부터가 Unexpected Gains, 예상치 못한 이득(Gain이 이득과 체중 증가 둘 다의 의미가 있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게다가 이건 평균치고, 진짜 비만인만 인구의 40%를 찍는다. 여성의 경우 미국 여성의 키는 평균적으로 한국 남성보다 작음에도, 몸무게는 한국 남성의 평균 몸무게보다 5kg[183]가량 더 나간다. 미국 백인 여성 평균 신장 163cm, 평균 체중 74kg. 미국 흑인 여성 평균 신장 162cm, 평균 체중 84kg, 히스패닉 여성 평균 신장 157cm, 체중 74kg. 참고로 미국 백인 여성의 평균 신장에 +10cm 해주면 20~30대 한국 남성의 평균 신장이 되고 평균 체중은 4~5kg 이상 더 나가는 게 된다. 한국 남성보다 작은 키에 몸무게는 비슷한 건데, 같이 먹어도 남성은 근육으로 가는 비중이 훨씬 크니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가?[184] 위에서 미국 평균 남성 수치가 나왔는데, 상대적으로 젊고 건강한 2,30대들의 수치들을 제외한 40대 미국 남성의 평균 체격은 175.5cm/89kg (5피트 11인치, 196파운드)으로 BMI수치가 29에 달한다. 동아시아 기준으론 평균적으로 비만이고, 국제 기준으론 비만으로 여겨지는 30 직전이다. 한국 기준으론 고도비만(BMI 30 이상) 직전의 배 나온 아저씨가 미국에선 그냥 평범한 아저씨란 소리.

미국 남성 평균 체격을 한국인 기준으로 볼 경우 신장은 한국 남성 상위 23%, 체중은 상위 5%에 해당한다. BMI 40이 넘는 초고도비만 인구도 6천만 명에 육박한다.

미국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은 주는 미시시피 주이고 웨스트버지니아, 앨라배마가 그 뒤를 잇고 있다.

10.6.1. 환경적 요인

미국의 음식은 일반적으로 싸구려 음식일수록 달러당 칼로리 비율이 높아진다. 극단적인 예로 사탕이나 달러 버거[185], 튀김 음식의 경우 1달러당 600kcal 이상을 얻을 수 있지만,[186] 그렇다고 필요한 열량을 이런 싸구려 음식으로 때우면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동시에 심각한 필수 영양소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반해서 채소는 양에 비해 비싸다는 인식이 전반적으로 깔려 있고, 채소 음식이라고 해봐야 샐러드 딱 한개만 생각날 정도로 가짓수도 엄청나게 적다. 그리고 사회적 인식상 어지간한 비만은 터치를 안하다 보니 더욱 문제.[187] 또한 한국은 피자가 아무리 저렴해도 6천 원은 넘는 것처럼 같은 음식 계열 내 가격 편차가 크지 않은데 비해, 미국은 저렴한 피자 1판은 2~3천 원에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같은 음식이라도 퀄리티에 따라 어마어마한 가격 편차가 존재한다. 이는 피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유사한 종류의 음식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은 어딜 가나 있는 할인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반면, 소위 말하는 바른 먹거리의 경우 도시권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접근성의 차이도 있다.

즉 업무 환경의 변화로 활동량은 감소하는데 저영양 고칼로리 음식은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의 변화가 비만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10.6.2. 식습관

미국 젊은이들은 보통 햄버거를 일주일에 여섯 개, 일 년에 삼백 개씩이나 먹고 있다. 햄버거만이 아니다. 미국인들의 식탁에는 매일같이, 매끼니마다 고기가 오른다.
- 환경스페셜-존 로빈슨이 꿈꾸는 새로운 미국 中
미국인들은 과거에 비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외식 위주의 생활 습관 변화로 음식 섭취가 늘어났고, 식당에서 1회에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권장량을 쉬이 넘어선다. 패스트푸드점에 슈퍼사이즈 세트 메뉴가 등장했고, 사람들은 탄산음료를 1리터 넘게 섭취하는 일이 흔하다. 미국 현지에 가서 음식을 사보면 알겠지만 양 자체가 다르다. 한국에서 흔히 먹는 얇은 캔 음료는 아예 없고, 커다란 캔이 기본 사이즈[188]이며 이게 싸게는 자판기에서 몇백 원이면 살 수 있다. 햄버거 세트만 해도 보통 사이즈를 주문해도 한국으로 치면 큰 사이즈의 버거 정도의 크기가 나온다거나 어린이 세트 버거가 빅맥만 하다.

단 음식을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식습관도 문제다. 특히 미국인들이 1년에 소비하는 설탕만 무려 66kg으로, 하루에 반 컵 정도다. 무엇보다 미국 사람들은 초콜릿케이크를 달고 살며 심지어 우유조차 흰우유보다 달콤한 맛의 가공우유를 더 선호한다. 심지어 미국산 음식들은 똑같은 음식이라도 해외의 현지 음식에 비해 훨씬 짜고 달며 기름지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유럽에서는 음료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고과당 콘시럽(HFCS)이 미국에서는 기업의 로비와 정부의 보조금으로 값싸게 유통되면서 모든 곳에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맛에 중독되면 무의식적으로 더 많은 당을 섭취하려고 노력하게 되어 당이 낮게 포함된 음식은 먹지 않게 되게 만드는 것도 비만율, 덤으로 당뇨병 발병률까지 더 높이는데 일조한다.

10.7. 자동차

미국 생활에는 자동차가 필수적이다.

미국은 몇몇 대도시 정도에서나 대중교통이 이용되고 있지,[189] 나머지 지역은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이 매우 열악하다. 소규모 도시 내지는 한국으로 치면 군청 소재지 정도 외곽으로 가면 시내버스는 아예 없고 인도 자체가 없다.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미국 전차 스캔들 같은 사건들이 대중교통 미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유럽이나 동아시아에서는 주요 대중교통의 한 축을 차지하는 철도 역시 미국에서는 그 위상이 영 좋지 못하다. 그렇기는 해도 수천km라는 그 먼 거리를 몇날 며칠을 자동차로 이동하는 건 힘들기 때문에 장거리 교통 수단으로 수요 자체는 꾸준히 존재하긴 하며 개량도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의 경우 주요 주간 교통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대충 미국에서는 철도가 한국의 무궁화호 정도 취급을 받고, 비행기가 한국의 KTX 취급을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넓은 마당 딸린 2층 단독 주택에 사는 미국에서는 대도시가 아니라면 비교적 번화한 동네라도 인구 밀도가 너무 낮아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한국의 동네 슈퍼마켓과 같은 근린 상업 지역이 유지되기가 어렵다. 그러다 보니 대도시가 아닌 이상 껌 하나라도 사려면 10km 이상 떨어진 쇼핑몰에 가야 한다. 이런 식이니 자차가 없으면 생활이 매우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미국에서 도심지의 아파트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지어지는 주택은 3대의 차를 둘 수 있는 차고를 가지고 있는 것이 표준으로 부부 각자의 차 2대에 부양 중인 노령자나 자녀의 차까지 성인이라면 누구나 자기 차를 몬다는 개념이 일반적이다.[190]

미국은 만 16세면 운전면허를 딸 수 있으나 따더라도 만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동승자가 있어야 한다. 일부 주는 만 14~15세[191]부터 운전면허 취득 가능. 청소년들은 실기로 Learner's Permit이라 해서 면허가 있는 21살 이상의 성인이 동승해야만 운전할 수 있는 연습용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연습을 해야만 도로주행 시험을 볼 수 있고, 도로주행 시험을 봐도 16세 미만은 정식 면허를 주지 않는다. 성인이라면 Learner's Permit을 받을 필요 없이 실기를 보고 바로 면허를 딸 수도 있다. 보통 미국 학제로 10학년[192]이 되면 딴다. 때문에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미국 드라마를 보다 보면 한 번쯤은 운전면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고, 미국 고등학교 주차장에는 자동차들로 빽빽하다.

자동차 문화가 이렇게 크게 발전하다 보니 맥도날드 등도 Drive-Thru라고 차를 몰고 들어와 음식을 픽업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193] 심지어 은행도 그렇게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진짜 몸이 귀찮아진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거리를 걷는다는 개념은 뉴욕이나 보스턴 같은 동부권 대도시나 호놀룰루같이 예외적으로 인구 밀도 높은 도시[194]에서나 적용된다.

이러다 보니 집-차고, 주차장-목적지 정도만 걸어다닐 수 있으면 생활에 문제가 없다. 이는 동아시아 선진국이나 유럽 등에서 가까운 거리는 걷고 시내버스지하철을 이용하느냐 여러 번 걷고 또 걷는 것과는 반대인데, 흔히들 떠올리는 미국형 비만이 위에 언급된 지역에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 환승을 매일 해야 한다면 살이 빠지거나 관절이 망가지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미국식 비만이라고 부르는 체형이 다른 나라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은 그런 체형으로는 미국 외의 지역에서 생활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여러 가지 비만의 요인이 있지만 미국이 유독 두드러져 보이는 데는 고도비만이어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자동차 문화의 영향이 크다. 유난히 조깅을 아침저녁 일과로 삼는 미국인이 많은 것도 조깅을 따로 하지 않으면 일과 중에 최소한의 걷고 뛰기를 할 수 없는 탓이다.

식문화에서 쓰여야 하지만 바이오 디젤 연료를 미군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부터가 미군의 식단이 엄청나게 튀기는 요리 위주이기에 식용유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jp-8으로 대표되는 등유 일원화가 아닌 바이오디젤 일원화를 염두에 둔다는 뜻이기도 하다.

10.8. 총기 소지

A well regulated Militia, being necessary to the security of a free St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keep and bear Arms, shall not be infringed.
정직하게 규율된 민병대(militia)는 자유로운 주의 안보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미국 수정헌법 2조

미국은 총기 소지가 원칙적으로 허용된 두 나라 중 하나이자,[195] 선진국인구 대비 총기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이다. 총기가 유통되는 선진국 중에서는 일반인 총기 소유량 1위를 자랑하고, 기껏 해봐야 산탄총 또는 볼트액션 소총 따위의 수렵용 총 보유가 허가되는 다른 영미권 국가 등과 달리 권총이나 돌격소총 등 군이나 경찰이 쓸 법한 게 민간인 손에 쥐어져 있다.

이렇게 총기가 워낙 만연한 사회이기 때문에, 일반 가정집에는 생각보다 높은 확률로 총기가 하나는 있다. 총기 규제가 조금 널널한 지역에서는 총기 수집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이 몇 명은 있는데, 이런 집에는 무기 전용 금고가 따로 있고 권총, 소총, 산탄총, 저격소총이 종류별로 수두룩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 장관도 볼 수 있다. 심지어 그 집이 부유하거나 사유지가 있을 경우, 실제로 총 쏘는 걸 눈앞에서 볼 수도 있다.

이렇기에 총기가 동원된 강력 사건도 비교가 안 되게 많고, 미국 내에서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총 말고도 미등록 총기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는 뉴스도 선거철마다 나온다. 총기 관련 규제 법규는 미국 정치권의 만년 떡밥인데, 매번 전미총기협회의 로비와 경찰력의 미약함[196] 때문에 무산된다.

미국인들의 사망 원인 2위가 총기라고도 한다.[197] 연합뉴스 하루 평균 40명, 2016년만 해도 9월까지 벌써 1만 명이 총기로 죽었다. 시카고 2016년 총기 사망자가 700명을 넘었다.

이런 총기의 위협은 미국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다. 에이브러햄 링컨, 제임스 A. 가필드, 윌리엄 매킨리, 존 F. 케네디을 포함한 네 명이 총기로 암살당했다. 앤드루 잭슨, 시어도어 루스벨트, 로널드 레이건, 도널드 트럼프 등이 총격을 당했으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제럴드 포드는 총격을 당할 뻔했다.

다만 총기 소지가 자유로운 미국이라고 해서 마냥 총을 쉽게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다. 일단 권총이나 단축형 총기는 까다로운 규제를 받는데, 작은 총이 은닉하기에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완전자동화기까지도 큰 어려움 없이 소지가 가능한 소수 주가 있는가 하면, 하와이 주 같은 경우는 주민들이 장난감 너프 건이나 물총이 규제된다는 농담을 할 정도로 총기를 빡빡히 규제하고 있다. 그런 주에서는 총기를 합법적으로 구입하기 위해서는 몇 개월간의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총기를 합법적으로 구매했다고 해도, 이를 공공장소에서 휴대하기 위해서는 또 별도의 면허증을 따야 한다. 공공장소 내 총기 휴대도 공개 휴대(Open carry)와 은닉 휴대(Concealed carry)로 나누어진다. 또한 극소수의 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자동소총을 비롯한 자동화기와 폭탄류의 구매 및 소지는 철저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미국의 민수시장에 풀려 있는 대부분의 소총들은 자동화기들의 반자동 버전뿐이다. 비합법적인 경로로는 그냥 음지에서 자동화기를 구매하거나 반자동화기를 자동으로 개조하거나 사제 폭발물을 제조하는 것 등이 있지만, 수사 기관에 걸리면 골로 간다.

10.8.1. 총기 규제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의 총기규제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연구 및 과학 기술

  • 과기부에서 2021년 시행한 과학 기술 조사의 거의 모든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국은 1위를 차지했다. [198]
  •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유인우주선을 독자적으로 보내고 #, 우주정거장에 도킹을 자력으로 할 수 있는 #국가이다.
  • 비행기를 최초로 발명한 나라인 만큼 항공 우주 분야에선 단연 세계 수석이며 항공기 제조에는 아직까지도 미국이 강세이다. 특히 록히드 마틴에서 개발한 F-22는 단연 최강의 전투기로 유명하며 현재까지도 이 전투기에 대적할 만한 기체가 전무하다. 세계 군용기 시장도 미국이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으며 민항기 분야도 유럽의 에어버스와 함께 쌍두마차를 달린다. 보잉에서 개발한 전설의 여객기 보잉747은 하늘의 여왕이라고 불리며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 초대형 여객기로 유명하다. 제1세계와 구 공산권, 제3세계 국가들도 미국제 군용기를 많이 애용한다.
  • 컴퓨터 분야의 미국 기업들을 빼놓을 수 없다. 세계 최초의 전자 계산기인 ABC(어태너소프-베리 컴퓨터)와 세계 최초의 컴퓨터라고도 알려진 에니악이 각각 미국의 아이오와 주립대학교펜실베이니아 대학교(유펜)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현대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은 대부분 미국 기업에서 만들어졌다. 가장 대표적으로 컴퓨터 CPU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인텔AMD는 모두 미국 기업이며, 그래픽 카드 시장을 점령한 엔비디아도 미국 기업이다.[199] 하드디스크의 시게이트와 웨스턴디지털도 마찬가지이며, SSD 분야에서는 삼성과 하이닉스의 뒤를 이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있다. 또한 세계 완제품 컴퓨터 2대 기업인 HP델 테크놀로지스도 모두 미국 기업이다.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 세계 컴퓨터의 절대다수가 윈도우, macOS를 사용하는데 모두 미국에서 나온 것이다.
  • 휴대폰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삼성갤럭시 시리즈로 세계 시장에서 선전 중이지만, 그 안에 있는 소프트웨어인 안드로이드는 미국 기업인 구글에게서 라이선스를 사서 사용 중이며, 아이폰 하나로 모든 것이 다 설명되는 애플은 두 말 할 필요도 없다.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CPU를 제작하는 퀄컴도 미국 기업. 이렇듯 휴대폰의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들은 다수가 미국 기업에서 만들어졌다.
  • 생명공학 분야도 세계 수석이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고안한 생명공학자가 미국인이며, 1-3세대의 유전체 편집또한 미국인이 단독 발명했거나, 공동 발명에 미국인이 있다. 제약 생산마저도 세계에서 가장 비중이 크다. 252개꼴의 제약중 112개가 미국에서 만들어진다는 의견이 있다.# 그 유명한 화이자, 모더나의 본사도 미국에 있다.

11.2.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1. 대학입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입시/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2. 대학 서열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 서열화/국가별/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3. 유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유학에 대한 내용은 유학/국가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영미권 유학 부분을
, 어학연수에 대한 내용은 어학연수/국가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미국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4. 스포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5. 공휴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휴일/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창작물

  • 세계대전 등을 배경으로 하는 전략게임에서는 항상 너프를 당한다. 이유는 미국이 너무 강해서.
  • 많은 대중매체 속에서 주인공 내지 주된 배경이 된다. 수많은 슈퍼히어로들과 빌런들의 활동 무대가 되기도 하고 각종 굵직한 단체나 대회 주체의 본산지가 되기도 한다. 미국 국적 캐릭터도 굉장히 많이 나온다. 미국 배경이 아닐지언정 미국 출신 캐릭터는 대부분 하나쯤 갖추고 있다.
  • 사이버펑크 2077 세계관에서는 국호를 신미합중국으로 변경, 새로운 성조기를 도입한 가공의 국가로 등장한다. 20세기 말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미국은 정보기관들의 담합체가 일삼은 각종 횡포와 월권행위로 인해 경제붕괴를 겪고 초강대국의 지위를 상실하며 몰락해버렸다. 비록 신미합중국으로 개편된 후 국가의 기능은 간신히 하고 있지만 경제규모는 세계 24위, 인구는 1억명으로 추락했고 캘리포니아, 텍사스 등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과 큰 경제력을 보유한 11개 주들은 연방정부에서 탈퇴해 자유주로 분리독립 했으며 연방정부는 대통령직이 더이상 선출이 아니라 승계에 의한 임명직이 되는 등 형식적으로만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몰락한 금권정치 독재국가로 변질되어 버렸다.
  •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과의 오랜 갖은 국제적 이해관계 때문인지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202] 그나마 반미 성향 대중매체나 일본 국수주의 쪽에서 제작되고 있는 대중매체에서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종종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그래플러 바키가 있다. 미국을 비하적으로 묘사하는 반미 작품들을 보면 8할 정도는 국수주의 성향 작가의 작품이다. 나머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으로 시망 상태인 걸로 묘사한다(맨발의 겐처럼 반미적이지만 국수주의 성향은 아닌 작품도 있다.). 유럽 대중매체들은 그냥 미국에 대한 묘사 자체가 거의 없다. 미국보다는 오히려 자국을 좋은 소재거리로 굴린다(우크라이나스토커 시리즈라든지...).
  •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전반을 배경으로 하는 만화 검정 고무신에서 어떤 패드립 장면이 2010년도 후반부터 밈으로 주목받으면서 미국 갔다 = 죽었다 라는 은유가 유행하게 되었다. 때문에 '미국행 열차', '미국행 전용기', '미국 하이패스' 등등의 바리에이션이 튀어나왔으며, 나중에는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방송자가 특정 게임을 (엔딩 없이) 관두고 더 이상 안 하게 되면 그 게임이 미국 갔다 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 Warhammer 40k에선 무려 29번째 천년기까지 존속했으며, 통합 전쟁 당시 인류의 황제와 맞서 싸우다가 끝내 패배하고 복속되었다. 비록 정치는 조지 워싱턴이 보면 통곡할 수준으로 퇴화되었지만[204], 군대의 질과 양은 여전히 우리가 아는 그 천조국이라서 황제가 여길 정복하는데 꽤 애를 먹었다고 한다.

13.1. 미국을 모티브로 한 것들

일반적인 현대 미국을 모티브로 한 것들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연합국을 모티브로 한 것도 있다.

13.2. 미국 출신 캐릭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인 캐릭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ee,#2d2f34>
동부
중부
서부
남부
알래스카
하와이
독립
이전
영토
확장
<colbgcolor=#d4e9ff,#003166>
근대
미합중국
현대
미합중국
}}}}}}}}}}}} ||

파일:북아메리카 아이콘.png 북아메리카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생피에르 미클롱 기.svg 파일:그린란드 기.svg
캐나다 생피에르 미클롱 파일:프랑스 원형.png 그린란드 파일:덴마크 원형.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버뮤다 기.svg
미국 멕시코 버뮤다 파일:영국 원형.png
}}}}}}}}} ||

G7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ddd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스 미국 영국 독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유럽연합 (비공식)
개별 문서가 있는 G7 회의
2021년 콘월 2023년 히로시마
}}}}}}}}}}}}}}} ||

G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멕시코 미국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아르헨티나 영국 이탈리아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캐나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튀르키예 프랑스 호주 유럽연합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연합 }}}}}}}}}

파일:OECD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APE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뉴질랜드 대만 대한민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멕시코 미국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칠레 캐나다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태국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호주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유엔군사령부의 전력제공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181818"
상임이사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비상임이사국 (2023 ~ 2024)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에콰도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비상임이사국 (2024 ~ 2025)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시에라리온|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가이아나|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

6자회담 당사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

파이브 아이즈
Five Eyes
파일:미국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파일:IMF선진국.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CHIP4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협력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깃발.png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파일:국제형사경찰기구 깃발.svg
국제형사경찰기구 회원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b92db><colcolor=#fff>ㄱ가나 · 가봉 · 가이아나 · 감비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그리스 · 기니 ·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 나우루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네덜란드 · 네팔 · 노르웨이 · 뉴질랜드 · 니제르 · 니카라과
대한민국 · 덴마크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독일 · 동티모르
라오스 · 라이베리아 · 라트비아 · 러시아 · 레바논 · 레소토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르완다 · 리비아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마다가스카르 · 마셜 제도 · 마카오 · 말라위 · 말레이시아 · 말리 · 멕시코 · 모나코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몬테네그로 · 몬트세랫 · 몰도바 · 몰디브 · 몰타 · 몽골 · 미국 · 미얀마 · 미크로네시아
바누아투 · 바레인 · 바베이도스 · 바티칸 시국 · 바하마 · 방글라데시 · 버뮤다 · 베냉 · 베네수엘라 · 베트남 · 벨기에 · 벨라루스 · 벨리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츠와나 · 볼리비아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부탄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브라질 · 브루나이 · 브루나이
사모아 · 사우디아라비아 · 산마리노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르비아 · 세이셸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소말리아 · 솔로몬 제도 · 수단 · 수리남 · 스리랑카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시리아 · 시에라리온 · 신트마르턴 ·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 아루바 · 아르메니아 · 아르헨티나 · 아이슬란드 · 아이티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안도라 · 알바니아 · 알제리 · 앙골라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스토니아 · 에콰도르 · 에티오피아 · 엘살바도르 · 영국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예멘 · 오만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리아 · 온두라스 · 요르단 · 우간다 · 우루과이 · 우즈베키스탄 · 우크라이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이탈리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자메이카 · 잠비아 · 적도 기니 · 조지아 · 중국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지부티 · 지브롤터 · 짐바브웨
차드 · 체코 · 칠레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캐나다 · 케냐 · 케이맨 제도 · 코모로 · 코스타리카 · 코트디부아르 · 콜롬비아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쿠바 · 쿠웨이트 · 퀴라소 · 퀴라소 · 크로아티아 · 키르기스스탄 · 키리바시 · 키프로스
타지키스탄 · 탄자니아 · 태국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토고 · 통가 · 투르크메니스탄 · 튀니지 · 튀르키예 ·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 · 파라과이 · 파키스탄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팔레스타인 · 페루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피지 · 핀란드 · 필리핀
헝가리 · 홍콩}}}}}}}}}

<colcolor=#072b5f,#fff>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조약 회원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남극조약 창립 가맹국
영유권 비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nopad>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국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스웨덴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인 에콰도르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인도 일본 중국 체코 페루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폴란드 핀란드
영유권 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노르웨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영국 칠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프랑스 호주
비자문 가맹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과테말라 덴마크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모나코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몽골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북한 스위스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슬로바키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콜롬비아 쿠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르키예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포르투갈 헝가리 }}}}}}}}}

MSMT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 팀)
{{{#!wiki style="margin: 0 -10px 0.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
}}}}}}}}} ||

[1] 주(states)가 추가될 때마다 별이 한 개씩 늘어나며, 현재는 50개다. 현재까지 국기는 총 27번 교체되었다.[2]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간행물 내 번역문 발췌[3] 이 말은 미국 달러에도 쓰여있다.[4] 미국 국가의 영어 제목인 'The Star-Spangled Banner'를 직역하면 '별이 빛나는 깃발'이다. 이외에 '성조기여 영원하라'라는 의역도 쓰이는데, 명칭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5] 렉싱턴-콩코드 전투를 시작으로 개전.[6] 통상적으로 이 날을 미국의 건국 기념일로 간주한다. 미국 최대의 연방 기념일 역시 매년 7월 4일인 독립 선언일이다.[7]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첫 연방 탈퇴를 시작으로, 총 11개 주가 탈퇴하여 아메리카 연합국의 결성을 선언.[8] District of Columbia(컬럼비아 특별구)[9] 뉴욕(1785 ~ 1790년), 필라델피아(1790 ~ 1800년), 워싱턴 D.C.(1800년 ~). 미국의 공식적인 독립은 1789년이고 미국의 독립 선언과 정부 수립은 각각 1775년, 1776년이다. 즉, 뉴욕이 공식적인 수도로 있었던 것은 단 2년이다.[10] 포털 세계국가순위 기준, 전 세계 인구 1위 국가인 인도와 1,088,631,070명, 인구 2위 국가인 중국과 1,085,674,789명이 차이난다. 1, 2위와 3위와의 인구 차이가 10억 명 이상이다.[11] 자신을 유럽계로 인식하고있는 유대인과 히스패닉계 백인을 포함한 수치다. 히스패닉계를 제외하면 57%이다.[12] 히스패닉은 특정 인종을 히스패닉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지역 문화권 출신이면 히스패닉이라고 하는 것이다.[13] 중국계 530만 명(1.6%), 인도계 500만 명(1.5%), 한국계 280만 명(0.9%), 베트남계 230만 명(0.7%), 중동계 200만 명(0.6%) 등[14] 인구 밀도가 대한민국의 10%도 안 된다.[15] 2025년 1월 20일 퇴임 예정[PPP] PPP의 측정단위는 달러이고 미국의 구매력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미국은 항상 국가 전체, 1인당 모두 명목 GDP와 동일하다.[PPP] [18] 자국 화폐기축 통화이고, 가장 신용도 높은 화폐다 보니 많이 보유할 필요가 없다.[19] 속령 제외, 서머타임 미반영.[20] 단 약속을 잡거나 공식적인 시간을 밝히고 주식시장 개폐장 시간을 언급할 때는 수도 워싱턴 D.C의 시간대 UTC-5를 쓴다[21] 동부 표준시.[22] 중부 표준시.[23] 산악 표준시.[24] 태평양 표준시.[25] 알래스카 표준시.[26] 하와이 표준시.[27] 국제단위계(미터법)를 사용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나라지만 정작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미터법을 사용하지 않아서 이 사실이 밈으로 쓰이기도 한다.[28] 1882년 5월 22일 (조선)[209]의 외교사를 별도의 페이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외교 관계 승계를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정부는 조선과 미국의 수교일을 1882년 5월 22일이 아닌 1883년 5월 20일로 규정하고 있으며,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일본 제국에 의해 박탈당하고 11월 28일 미국 공사관이 철수함으로써 대한제국(Korea)과 미국의 외교 관계가 종결되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과의 외교 관계는 별도 페이지를 통해 1949년 3월 25일 외교 관계를 새로 수립했다고 적시하고 있다. 이는 여러 번의 국체 변경이 있었음에도 해당국 페이지에 외교사 전체를 기술하는 러시아독일의 사례와는 다른 것이며, 오히려 외교 관계 승계를 인정하지 않음에 따라 세르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신 유고슬라비아 연방-세르비아 공화국을 분리하여 서술한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29] 대한민국 정부는 외교 관계 회복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외교부 홈페이지의 연도별 수교현황 상세에서는 1949년을 수교 기점으로 기재하고 있다.[30] 미국은 공식적으로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고 있다. 다만 1991년에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할 때 반대표를 던지지 않아 묵시적으로 북한을 국가로 인지하기는 했다.[31] 한국인은 ESTA를 발급받았을 때의 기준이다. 받지 않았을 때는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한해 45일의 무비자가 적용된다. 그리고 외교관/관용여권 소지자는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다.또한 입국 거부 경력이 있을 시에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다. 또 미국인도 K-ETA가 필요하다.[32] 미국 연방정부[33] 2001년부터 미국의 고등교육기관만 등록, 2015년부터 해제[34] 미국 국방부[35] 미국 내 자치령(해외 영토)들은 다른 국가 코드를 갖는다.[36] 캐나다와 국제 전화 코드를 공유한다.[37] 미국령 버진아일랜드[38] 한국 외교부가 사용하는 공식 명칭.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미국'의 공식 국가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만 조약에 따라 아메리카합중국이라는 표기를 쓰기도 하며 주미 한국 대사의 직인에도 해당 표기를 쓴다.[39] 영미권에서는 편의상 '아메리카(America)'라고만 간단히 부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북남미 대륙을 통칭할 때는 'the Americas'라고 부른다.[40] 하와이 섬과 섬, 미드웨이 제도 등[41] Hard Power, 경성 권력. 군사력, 경제력, 자원 등 상대의 이익을 위협하여 상대방의 행동을 바꾸거나 저지할 수 있는 능력.[42] 미국을 제외한 "영어권" 국가, 즉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아일랜드 / 영국의 평균 소득은 미국의 85%다. 그래도 유럽 본토에 비하면 1만 달러 가까이 높다. 당장 캐나다인한테 미국보다 캐나다가 가난하다고 하면 캐나다가 삶의 질이 더 높다며 직장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의료보험, 지역에 따라 불안한 치안, 상대적으로 부족한 공교육 등등으로 미국을 비판한다. 다만 최근 트뤼도 총리가 특별 대책을 지시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세금이 높은 캐나다의 인재 유출이 심하다. 19세기 이래 캐나다 인구의 4분의 1은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고 미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는 독일, 영국/아일랜드, 이탈리아에 이어 미국 이민자를 많이 배출했다. 다만 2000년대 이후 아시아와 남미 출신자가 많아져 신규 유입은 상대적으로 낮다.[43] 2025년 독립일 기준 249년. 정부를 수립한 1789년을 기준으로 하면 236년 정도다. 아직 300년은 커녕 250년도 되지 않았다.[44] 사실 동아시아사는 1만 년은 커녕 5000년도 안 된다. 중국 대륙에서 확실하게 존재하는 나라 중 가장 오래된 상나라가 기원전 1600년 쯤에 건국되었기 때문에 21세기인 현재까지 흐른 시간 2000년 정도를 더해도 4000년도 되지 않는다. 하나라까지 합쳐도 5000년은 넘지 않는다. 한국사의 고조선도 정확한 건국년도는 알 수 없지만 중국의 국가보다는 늦게 건국되었을 확률이 높다.[45] 제6공화국 설립을 기준으로 할 경우 1988년.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는 대한민국의 설립을 1948년을 기준으로 본다.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있었지만 이때는 영토도 주권도 없었으니 국가가 아니었다.[46]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으로만 따지면 1928년이다.[47] 사실 스웨덴도 현재의 왕조인 베르나도테 왕조의 시작을 건국으로 따지면 1818년이고, 덴마크도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시작을 건국으로 따지면 1863년이다.(나치 독일의 침공 때는 보호령이었을 뿐 식민지는 아니었으므로 제외) 하지만 왕조가 바뀌어도 군주의 넘버링은 이어서 쓰고 있기 때문에 국체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48] 영국도 국체가 동일한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출범은 1801년이다. 아일랜드 병합 전의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까지 포함하면 1707년.[49] 독일 연방 탈퇴를 기준으로 하면 1866년이다.[50] 1612년에 현재와 같은 공국을 칭했으나, 프랑스 1공화국~1제정기에 혁명세력에게 점령당했던 적이 있기 때문에 그 후 부활한 것을 기준으로 하면 1815년 건국이다.[51] 캐나다 자치령 시절을 포함하면 1867년.[52] 에티오피아 제국은 13세기에 건국되었지만 이탈리아 제국에게 5년동안 점령된 적이 있는데다 1974년에 멸망했다. 현재의 에티오피아인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은 1991년에 건국되었다.[53] 영국의 보호국이었던 적은 있지만, 식민지가 되어 멸망한 적은 없다.[54] 유럽 전체 면적(10,180,000 km²)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한마디로 대륙 하나의 크기와 거의 맞먹는 영토를 가진 셈이다.[55] 세부적인 수치는 차이가 난다.[56] 내수면 포함[57] 한반도의 약 37배 면적[58] 다만 수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바이칼 호에 밀려 2위다.[59] 하와이, 웨이크섬, 베이커섬미국령 군소 제도, ,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푸에르토리코[60] 로키 산맥에서 불어 내려오는 강력한 냉기와 멕시코 만에서 불어 올라오는 뜨겁고 습한 공기가 정면충돌한다. 산지가 전혀 없는 평원이라 강력한 폭풍의 생성을 막아 줄 지리적 제동 장치 자체가 아예 없다.[61] 가장 면적이 넓은 러시아의 경우 16개 유형의 기후가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남북한 합쳐서 8개 유형의 기후가 나타난다.[62]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Cwc, 오직 러시아에서만 나타나는 Dwd, Dfd, Dsd를 제외한 모든 기후가 나타난다.[63] 플로리다 남부 한정[64] 일단 지금 구 소련 지역의 인구를 다 합해도 미국보다 낮은 2억 8천이지만 만약 소련 말기의 대혼란을 겪지 않았다면 무난히 3억을 넘기며 3위를 유지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1950~1973년 소련의 인구 증가율은 미국과 거의 같다.[65] 그러나 규제하더라도 많이 밀입국한다.[66] 취약국가지수를 보면 한국의 두뇌 유출은 근 15년 동안 꾸준히 감소한다.[67] 2022년 예측에서는 미국이 인구 4억명을 넘지 못할 것으로 봤다. 그래도 콩고 민주 공화국, 니제르, 탄자니아와 함께 인구 절벽을 겪지 않는 몇 안 되는 국가이다.[68] 2018년에는 부모가 30세 아들에게 퇴거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한 일도 있었다. # 지금도 미국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으로 독립해야 하는 나이는 미국의 현실보다도 이른 편이기도 하다. # 유학 문서에 잘 드러나 있는데, 한국계가 이와 결부되는 정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유치원에 다닐 때부터 교육으로 형성되는 사상이라 이해가 상당히 어렵다.[69] 미국에서는 한국의 가족관을 분석하면 자국의 가족관이 한국인들에게 매정해 보인다는 생각을 갖기도 한다. # 오죽하면 영어에서는 'spoil'이라는 음식의 품질 따위를 '망쳐버린다는' 의미의 단어가 '아이를 너무 애지중지해서' 망치는 그 자체를 일컫는데 쓰이기도 할 정도다.[70] 서양에서 한국과 비견할 수 있는 나라는 가족주의가 강한 남유럽 정도에 있다. 이탈리아, 스페인이 대표적이다.[71] 마지막으로 한국(2.06명)이 미국보다 출산율이 높았던 해다.[72] 1980년대의 저출산 경향으로 인해 처음으로 한국(1.74명)이 미국보다 낮은 해로 이후엔 계속해서 미국의 출산율이 한국보다 높다.[73] 1971년 이후 최고 출산율과 역대 최고 출생아 수를 기록한다.[74] 역대 최저 출산율[75] 물론 미래로 갈수록 의료기술이 발달해 기대수명이 상승해 이 통계보다 더 많을 수 있다.[76] 히스패닉 출산율도 2000년대부터 준다[77] 이민자와 이민 노동자를 접한 미국인도 미국의 이민 제도는 사실상 기득권 백인을 위한 노동 착취라고 말한다. 이민자와 노예를 같게 보는 게 터부라 함부로 말하진 않는다.[78] 랭크 눌러서 보면 보기 편하다.[79] 물론 이렇게 되어도 인종 별 순위에서는 1위라지만 백인의 비율은 절반 이하로 줄어들어 미국이 거대한 브라질이 되는 것 아닌가라는 미국내 우려를 낳고있다.[80] 2023년 출생, 사망통계(잠정) 정책브리핑 2024.2.28[81] 중앙일보 2024.1[82] 2024 동아일보[83] 2015 한국일보[84] 남미의 저출산문제[85] 프렌시스 후쿠야마칼럼 1992 경향신문[86] 물론 고소득자, 기술자, 특기보유자나 대학 교수, 고학력자 등은 언제나 환대한다.[87] 영어 외의 다른 언어도 함께 공용어로 지정한 하와이알래스카를 포함한다..[88] 19개 주.[89] 영어 이외에는 모두 알래스카 원주민들의 언어로, 이 중에서는 사어도 존재한다.[90] 다만 일부 경우를 근거로 모든 미국 영내에서 저렇게 대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해이다.[91] 러시아어와 독일어보다 많은 수치이다.[92]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베트남 등에서 많이 이민했다.[93] 매사추세츠, 뉴욕주, 로드아일랜드, 뉴저지 등.[94]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루이지애나[95] , 푸에르토리코[96] 러시아계 미국인 보수파를 중심으로 돌아간다.[97]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일대의 비잔틴 전례와 칼케돈 교파를 따르는 아랍계 기독교인 교회[98] 그랜드 캐니언, 옐로스톤, 로키산맥 등 미국 특유의 대자연의 이미지에 가장 부합하는 지역이다.[99] 뉴멕시코, 애리조나 지역[100] 대체로 메인 도시가 있는 주일수록 민주당세가 커진다.[101] 텍사스, 오클라호마,루이지애나, 아칸소, 앨라배마, 미시시피, 테네시,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주, 웨스트버지니아[102] 남부 여타 주와 많은 면에서 구별되는 독특한 정서와 문화를 보유한다.[103] 플로리다 남부 지역 제외[104] 물론 미시시피 같은곳은 상대적으로 다르긴 하다.[105] 참고로 현대자동차, 혼다,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앨라배마에 자동자 공장이 있다.[106] 플로리다 북부는 공화당 텃밭, 플로리다 남부는 민주당 텃밭[107] 인디애나아이오와 등의 주는 계속해서 공화당을 지지했다.[108] 많은 기업이 남부로 공장을 이전하였다.[109] 오하이오 주가 대표적이다. 원래 경합주였으나 공화당 지지세가 점점 강해졌다.[110] 매사추세츠, 로드아일랜드, 코네티컷, 뉴햄프셔, 버몬트, 메인주, 메릴랜드[111]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부 편에 섰다.[112] 하기 메가리전 구분으로도 동북부에 포함된다.[113] 다만 지역별로 나누었을 경우 고르게 분배되었다는 것이지, 땅덩이 크기별로 보면 동부 외에 중부, 남부로 분류되는 땅이 대부분 동쪽에 치우쳐있으며, 중서부 지역은 거의 텅텅 비어있다. 몬태나나 남북부 다코나, 와이오밍, 네브래스카 같은 주들은 매우 적은 인구에 드넓은 자연이 끝도 없이 펼쳐져있고, 콜로라도 주도 덴버 광역권에만 인구 60% 가까이 있고 나머지는 거의 허허벌판이다. 서부지역은 절반 넘는 인구가 캘리포니아에 몰려있고 네바다같은 경우 3백만 명 사는데 220만명이 사는 라스베이거스 광역권을 제외하면 끝없는 사막과 소도시들 밖에 없다.[114] 위 도시들이 제일 유명한 편이다.[115] 메갈로폴리스와 동의어[116] 휴스턴, 댈러스, 샌안토니오[117] 구분이 다소 부정확하나 상기 지도에서 색칠되어 있지 않지만 해당 광역권으로 취급되는 도시의 경우를 뜻한다.[118] 사실 미국 전체의 1인당 GDP도 스웨덴보다 높다.[119] 2013년 당시는 3배가 맞았으나, 10년 이후 2023년에 이 기준으로 다시 계산해보면 이제는 지구가 5개 필요하다...[120] 특히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한데, 전 세계적으로 미국보다 넓은 땅이나, 많은 인구를 가진 국가는 여럿 있지만, 이들을 모두 부양할 정도의 물자생산력과 경제력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 뿐이다. 대표적으로 G2로 묶이는 중국은 워낙 인구가 많은만큼 슈퍼부자들이 많아서 그럴 뿐, 다수의 국민들은 빈곤상태이며,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 중에서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내수시장을 가진 나라는 없다.[121] 세계적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구글, 애플, 아마존이 미국 기업이다.[122] 차량 종류 중 SUV의 예로 한국이나 유럽에서는 대형 SUV 취급을 받는 쉐보레 트래버스, 포드 익스플로러, 캐딜락 XT6, 링컨 에비에이터, 지프 그랜드 체로키 등의 한국에 공식적으로 수입되는 미국산 SUV들이 미국에선 급이 내려가 중형 SUV 취급한다. 미국에서 대형 SUV 취급을 받으려면 쉐보레 타호쉐보레 서버번, GMC 유콘,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포드 익스페디션, 링컨 내비게이터 등의 엄청나게 덩치가 큰 SUV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픽업트럭의 예로 한국이나 유럽 기준으로 5톤 트럭 급의 덩치를 자랑하는 풀사이즈 픽업트럭 모델인 포드 F-시리즈F-150 모델, 쉐보레 실버라도의 1500 모델, 램 픽업의 램 1500 모델 등의 차량이 미국에서는 일상적으로 타고 다니는 소형 트럭 취급이다.[123] 오일 쇼크 이전의 미국차들은 이런 경향이 더 심해 2도어 쿠페가 전장 5m를 한참 넘어가고 소형차에 6기통, 8기통 자연 흡기 가솔린 엔진에 배기량도 5.0L를 한참 넘었으며 심지어는 8.2L까지 나가는 차도 있었다.[124] 실제로도 도로 폭이 다른 대륙에 있는 나라보다 조금씩 더 넓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윗동네인 캐나다도 같다. 도로 환경부터가 이러니 미국에서 만드는 대형 트럭도 승용차처럼 보닛이 튀어나왔다. 근데 뉴욕 같은 대도시의 도로는 정말 좁다.[125] 다만 탄소 배출량 1등 국가는 아니다. 탄소 배출량 1위 국가는 중국이다.[126] 1인분의 양이 우리가 아는 1인분이 아니다. 미국 기준으로 1인분이면 유럽 기준으로 2~3인분이다. 게다가 콜라커피 등을 담는 일회용 종이컵의 크기도 차원이 다르게 크다. 미국에서 맥도날드스타벅스를 이용하면 저 차원이 다르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안다. 특히 미국에서 크기로 유명한 텍사스의 Whataburger에선 라지컵이 44oz 약 1.3L다.[127] LA는 도시 규모에 비해 스카이라인이 빈약하다. 워낙 땅덩이가 넓어 다운타운 지역에만 마천루가 몇 개 있고 도시 전반적으로 초고층 빌딩이 몇 개 없어 스카이라인만 치면 더 규모가 작은 시카고나 한국의 부산보다도 빈약하다.[128] 1901년~2000년[129] 무려 [age(1930-01-01)]년 전에도 미국 전역 대도시를 중심으로 현재 대한민국 서울의 스카이라인보다 훨씬 화려한 마천루들이 즐비했다.[130] 이건 전후가 바뀐 인식이다. 원래 이지스함은 미국에서 항공모함 호위를 목적으로 만든 함종이다. 냉전 시절 구 소련은 항모 전력으로는 미국을 이기지 못할 게 뻔하니 대함 미사일 러시로 미국 항모 전단을 잡으려 했다. 이러한 구 소련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게 이지스함이다.[131] 캐나다의 인구 구성이 미국과 비슷(두 나라 모두 독일/영국/아일랜드/이탈리아/프랑스계 같은 백인이 주류이고, 아시아인의 인구도 16.3%, 흑인 인구 5%로 미국과 매우 비슷한 인구 구조를 보인다)한 건 둘째치고, 애초에 캐나다 인구의 4분의 1은 미국에 거주한다. 미국 통계청에 의하면 캐나다계 미국인은 1,000만 명을 약간 넘는다. 마찬가지로 캐나다 인구의 10분의 1은 미국 국적이나 영주권자 혹은 대상자에 속한다. 애초에 캐나다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인 온타리오 주 자체가 18세기 후반에 미국 독립전쟁의 여파를 피해 건너온 사람들이 세운 지방이다. 그리고 캐나다도 퀘벡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영어를, 그것도 미국식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3국에서 온 사람들은 캐나다 사람들과 미국 사람들을 제대로 구분해 내지 못한다. 물론, 관용 표현이나 철자 표기법은 영국식 영어와 비슷한 부분이 많지만, 발음은 미국식으로 한다.[132] 마찬가지로, 멕시코 인구의 절대 다수는 미국에 나가있거나 최소한 친척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멕시코는 역사적으로 미국에게 매번 쥐어 터졌음에도 불구하고 반미 정서가 의외로 약한 편이다.[133] 알다시피 러시아는 벨라루스, 헝가리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과 대립, 적대 관계이며 그나마 앞마당인 중앙아시아도 그나마 어느정도 살고 민주주의가 도입될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있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은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속적으로 탈러시아화를 시도하고 있다. 캅카스도 조지아는 대놓고 반러 국가고, 아제르바이잔도 러시아와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며 그나마 친러 국가였던 아르메니아니콜 파시냔 집권 이후로 친서방 정책을 취하고 있다. 중국 역시 동쪽으로는 한국, 일본, 대만에 남쪽으로는 인도가 있다. 그나마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경제적 목적으로 중국과 협력하긴 하지만 이들도 민간 감정은 중국에 매우 부정적이다. 특히 베트남은 동남아 제일의 반중 국가고, 그래도 중국계 인구가 많아 베트남보단 중국에 대한 반감이 많이 덜한 태국, 말레이시아조차도 중국 정부와 대륙 출신 중국인에 대해선 반감을 갖고 경멸하는 성향이 짙다.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에는 미군이 주둔 중이며 베트남도 미월수교 이후로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과 적극적으로 협력 중이다. 그나마 같은 반미, 반서방 진영이라는 러시아와 북한조차도 중국 입장에선 마냥 믿을만한 파트너가 못 된다.[134] 게다가 미군은 전군에 걸쳐 조직적인 간부화를 실시하고 있어서 어지간하게 중요한 결정이 아닌 이상은 일선 지휘관들의 결정을 존중하는 문화가 강하다. 군통수권자로 대통령이 있고 결국에는 대통령의 명령이 모든 것에 우선한다해도 전장에서 내려야 할 결정권 자체는 일선 지휘관들에게 부여된다. 즉, 9.11 테러처럼 미군 수뇌부를 노리는 공격이 성공하더라도 일시적인 혼란을 줄지언정 미국을 아예 전복시키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135] 자원도 풍부하고 좋은 땅인건 사실이다. 하지만 당시엔 미국이 정말 야생 상태로 개발이 안 되어있었고, 포크레인 같은 편리한 도구가 없었다. 게다가 개척민들도 영국으로부터 지원 없이 자신들 재산으로 개척을 한 거라 자본이 부족했다. 결국 개발 초기에는 사망자가 많았다.[136] 그런데 바로 이 지역에다가 만들어놓은 게 저 유명한 라스베이거스다. 심지어 최근에는 태양에너지 잠재력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캘리포니아 남동부 사막 지대와 애리조나 남서부는 세계구급의 일조 시간을 자랑한다.[137] 밭이 지나치게 넓어서 길을 잃고 죽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미국 공포영화라고 하면 밥먹듯이 나오는 소재가 될정도다.[138] 잘 모르는 사실이지만 중동의 유전이 발견되기 전까지 미국은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었다. 2차 대전 당시 일본이 진주만 공습을 일으켰던 이유도 미국의 대일 석유 금수 조치 때문이었다. 세계 유가 기준이 되는 석유의 한 종류인 WTI{Western Texas Intermediate}, 즉 서부 텍사스 중질유가 바로 미국산이다. 저 유명한 셰일 가스 역시 미국에서 나온다.[139] 러시아는 전근대 때부터 부동항을 찾기 위해 국력을 소모해 가며 전쟁을 벌일 정도로 대양 접근성이 약했으며, 지금도 태평양 진출을 위한 대양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국과의 협력을 원하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비좁은 진출로를 제외하고는 한국과 일본에 막혀 태평양 진출이 어려우며, 이 때문에 미국이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중국을 비판하는 것에 매우 민감하다. 또, 아예 동아시아 전체를 해군력으로 찍어 누를 목적으로 자체적으로 항모를 만들기도 하는 등, 미국 대비 대양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140] 사우디는 미국의 셰일 가스 산업이 더 성장하기 전에 미리 저가 경쟁으로 고사시키려 했으나 셰일 가스 산업은 잠깐의 위기 이후 기술 개발로 생산 가격 부담을 낮췄고 이후 사우디는 역관광당해 버렸다. 그 과정에서 두 나라의 저유가 경쟁에 치인 러시아와 기타 산유국들의 경제가 위협을 받기도 했다.[141] 화산 활동은 하와이 Big island 와 알래스카 알류산 열도에서 매우 활발한데, 이 지역을 제외하면 화산 활동은 거의 없고, 이들 지역은 인구도 적은 외곽, 거기다 본토도 아닌 지역이라서, 미국에서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고 보긴 어렵다. 물론 옐로스톤처럼 언제 터질지 모르는 슈퍼 화산은 미국 본토에 있긴 하지만 그건 한반도도 마찬가지. 무엇보다 옐로스톤이 터지면 미국이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위험하다.[142] 단, 알래스카의 경우 마냥 헐값은 아니고 땅값으로 약 720만 달러라는 꽤 거금을 주고 얻었다. 이 때문에 알래스카 매입 당시엔 춥고 얼음밖에 없는 땅을 굳이 비싼 돈 주며 샀냐는 비판이 많았다. 하지만 그 이후 그 얼음 땅에서 많은 천연자원이 발견되었고, 20세기 중반부터 그걸 넘겼던 러시아의 후신인 소련과 냉전을 벌이면서 얼음 땅의 지정학적 중요성도 높아져 구입 당시의 땅값을 훌쩍 넘기는 건 당연하고 미국 역시 누구한테도 넘겨줄 마음이 들지 않을 정도로 가치가 치솟았다.[143] 이것은 2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미국 본토에는 피해가 전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미 1890년도부터 넘사벽을 자랑했던 미국의 국력은, 세계 대전으로 유럽이 박살 나고 러시아가 무너지는 동안 본토에 단 한 번의 피해도 없이 꾸준히 전쟁 물자를 수출했고, 이를 바탕으로 열강 중 하나에서 초강대국으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기습으로 진주만이 피해를 보긴 했으나, 태평양 전쟁 동안 주된 전투는 해전이었으며, 그마저도 진주만을 제외하고는 피해를 본 곳이 하나도 없다.[144] 그 원인은 바로 다름 아닌 독일 정부의 지나친 성능 집착 때문에서였다. 기동성, 방어력, 화력 모두 최상의 것을 고집하다보니 회사들이 천신만고 끝에 만들어와도 이 트집, 저 트집을 잡아 퇴짜놓기 일쑤였고 결국 정권의 요구에 맞춰 만들어 왔을 때는 탱크라는 개념을 넘은 괴물이 돼있었기 때문이다.[145] 이렇다보니 어쩌다 잔고장이 나면 수리하는 것조차 장난이 아니었다. 잔고장이 나버리면 대책도 없었고 일부 심한 경우에는 그대로 버려지는 일도 있었다. 게다가 수급을 받는데 있어서도 부대간의 알력이 심해 정작 필요한 부대가 아닌 탱크 부대도 아닌 부대가 먼저 낚아 채 가버려 본 부대장의 뚜껑이 열리는 일이 부지기수였다.[146] 대한민국철원군 같은 일부 지역에서만 비행기로 농약을 뿌리는 경우가 있다. 다만 한국이나 미국이나 현대에는 차츰 더 저렴하고 간편한 드론으로 농약 살포를 대체하는 추세다. 미국 밭의 스케일 관련 밈으로 옥수수밭에서 길을 잃으면 3분의 2는 구조된다는 말이 있다.[147] 단적인 예를 들어 2차 대전 당시 미국의 공업력은 추축국 전체에 같은 편인 소련을 더해야 간신히 밸런스가 잡힌다. 이를 실제 고증에 따라 구현하면 완전한 밸런스 붕괴로 인해 망작이 되어버린다.[148] 단적으로 호이4의 경우 미국은 대공황과 고립주의 디버프가 걸려 있지만 디버프를 풀다 보면 어느새 미친듯한 물량을 자랑한다. 그래서 미국이 연합국에 참전하면 말 그대로 미군 사단이 대서양을 가득 메우면서 영국으로 건너오는 충격과 공포의 광경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카이저라이히의 경우 2~4파 내전까지 일어나지만 그 분열된 미국의 조각들조차 캐나다와 협상국의 개입에 대등히 맞서 싸울 정도로 강하며 내전을 끝낸 후 복구가 대강 끝나는 시점에서 군대와 산업이 무지막지하게 성장한다.[149] 동아시아의 용어 '천하'의 중국어 발음을 옮긴 것이다.[150] 번역: #[151] 아이다호, 몬태나, 와이오밍,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는 제외[152] 캘리포니아, 네바다, 애리조나, 뉴멕시코, 콜로라도는 제외.[153] 특히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의 자녀교육 방식은 정말 엄격하다. 단지 동아시아권이나 프랑스같은 국가들처럼 체벌이 많지 않을 뿐.[154] 다만 애니와 아동용 매체의 엄격한 규제는 미국뿐만 아니라 서방권 전반의 특징이다. 오히려 동아시아가 유독 널널한 것이고, 심지어 검열 이미지가 강한 중국 애니도 선정성/잔혹성에 한해선 서방 기준 자유방임주의에 가깝다.[155] 사실 캐나다동유럽, 남유럽도 마초 성향이 짙은 편이긴 하나 그래도 저들만큼은 아니다.[156] 물론 어려서부터 이나 너드, 그리고 모범생들하고만 주로 놀고 교류하면서 지낸 경우 이런 사실에 대해서 의외로 무심한 경우도 꽤 있다. 오타쿠들과는 달리 이들은 여자한테 관심도 별로 없어서 일반적인 사회에서 보통 사람들과 사적인 관계로 얽히거나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드물다.[157] 별거 아닌듯 보이지만 사실 미녀에 대한 갈망이 마음속에 존재하는 젊은 시절에 이런 남자들은 좋은 연애권력에서도 아예 탈락 취급을 암묵적으로 받기 때문에 큼지막한 괴로움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주변에서 중간중간 반쯤 뒤돌아서 흘러나오는 "못생긴 여자나 만나라"는 말 폭력도 덤.[158] 물론 그래도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대표격답게 중범죄를 저지른 경우가 아닌 이상 사회에 틀에 맞지 않게 행동하는 사람들을 감옥이나 교화소로 보내지는 않는다.[159] 2000년대 초반 한국 평균수명 77.17세, 미국 평균수명 76.64세[160] 한국 남성86.7세 한국 여성 90세, 미국 79.25세[161] 실제로 개인주의와 상관없는 날짜를 쓸때도 연월일로 쓰는 한국과 반대로 숫자로 쓸때는 일월연도 순으로 쓰며, 일상생활에서는 Aug.8, 2012, 이런 식으로 몇월 며칠, 연도로 쓴다. 이런 식으로 쓰는 대표적인 케이스가 개인 수표를 발행할 때다.[162] 그런데 이건 당연한 것이, 다른 나라에서도 외국인들이 들고 다니는 신분증은 기본적으로 여권이다. 한국에서도 술집이나 숙박업소에서 외국인에게 신분증 검사를 할 때는 자국 신분증이 아닌 여권을 보여달라고 한다. 자국 언어로 된 신분증은 그 언어나 문화를 모르는 사람들이 위조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63] 다만 캐나다 운전면허증의 경우 사용이 가능하고 포스기 신분증 인식도 정상적으로 된다.[164] 다만 이것이 실제 아동 포르노 소지자들에게 준 영향은 별로 없다.[165] 물론 사법거래만 잘하면 예외인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래퍼 6ix9ine은 아동 성범죄 17건을 저질러 놓고도 사법거래를 통해 징역 40~50년짜리를 2년치로 만들었으며 그마저도 코로나로 인해 조기 석방되었다.[166] 사실 한국에서도 서로 합의하에 싸우면 처벌받지는 않는다. 폭행죄반의사불벌죄기 때문에 싸우고 나서 서로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현장에서 걸리면 경찰이 와서 뜯어말리고 둘다 지구대로 끌려간다. 또한 형법 24조에 따라 피해자가 승낙만 하면 때려도 처벌받지 않는다. 형법 제24조(피해자의 승낙)는 '처분할 수 있는 자의 승낙에 의하여 그 법익을 훼손한 행위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벌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물론 상해의 정도가 심하면 얘기가 달라진다.[167] 미국은 공식적인 국교가 없는 것치곤 기독교에 대한 비중이 굉장히 높은데 미국 달러에도 "In God, we trust"라고 적혀 있을 뿐더러 대통령이 재난이 있을 경우 대국민 연설을 끝내면서 "신께서 미국을 축복하시길(God bless America)"라고 하기도 한다. 역대 대통령 중에 공개적으로 개신교가 아니었던 사람은 4명뿐인데 그 중 2명(조 바이든, 존 F 케네디)는 천주교 신자이고 토마스 제퍼슨은 모태신앙이었다가 신앙을 버린 케이스, 링컨은 God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하고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공개적으로 종교를 선언하지 않아 논란이 있는 정도이다.[168] 비오 12세와 같이 진화론에 비판적이던 교황도 입장은 신중하게 취했으며, 요한 바오로 2세는 진화론이 신앙과 전혀 모순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169]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170] 대부분의 유럽 국가. 세계적으로는 이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171] 반면 개인주의의 끝판왕 문화권인 북유럽내향적인 성향이 강하다.[172] 사실 심하고 덜하고의 차이일 뿐 많은 서방 국가들의 분위기가 이렇기에 밝고 사교적이고 잘 노는 성격을 좋아하는 건 딱히 미국만의 정서는 아니다.[173] 이런 괜찮은 사립 학교에서는 오히려 학교의 엄격한 규율을 어기는 일탈을 더 조심해야 한다.[174] 유학생들 대부분이 지역 명문 사립학교 등에서 유학 생활을 시작하고 그대로 미국 대학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마약, 범죄가 흔하고 각종 비상식적인 기행이 종종 벌어지는 바깥 세상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도 많고 대부분 학위만 마치고 귀국하기 때문에 미국에서 납세자로 살게 되면 겪는 고충이나 불편 등에 대해선 공감하기 힘들어하는 경우도 많다.[175] 물론 기독교를 강하게 믿는 보수적인 분들도 성적인 영상매체나 욕설이 도배된 대중음악, 영화 등을 안좋게 여기지 의외로 그 이외의 덕질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을 안쓰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이들중에 스타워즈 영화나 디즈니 만화 팬들이 제법 많은 것만 봐도 알 수 있다.[176] 이런 사람들은 긱, 너드, 오타쿠 등의 성향을 가진 경우가 매우 많다. 물론 최소한의 건강을 위해서 약간의 운동은 해두는 편이다. 당연하지만 명문 대학교의 학업 자체가 매우 빡세서 저질 체력으로는 아무리 머리가 적당히 좋아도 졸업을 연기하며 공부하지 않는이상 버티기 어렵다. 운동도 그렇지만 덕질 역시나 나름대로 풍족하고 자유분방한 집안에서 어려서부터 덕질을 접해서 맛을 아는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서도 덕질을 이어나갈 확률이 더 높다. 한국에서도 애초에 집안이 궁핍한경우 부모님이 장난감이나 전자제품을 무한정 많이 사주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개인주의가 발달해 애당초 자녀들한테 돈을 별로 주지않고 엄격하게 자식을 기르는 서양 집안이면 안봐도 비디오다.[177] 제프리 다머, 존 웨인 게이시 등 악명 높은 범죄자들이 1970~90년대 까지 날뛰던 연쇄살인마들이다.[178] 배우 박준규가 어릴 때 살았던 동네다.[179] 마이클 잭슨은 인간이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다면 음식을 먹지 않겠다고 할 정도로 식사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180] 미터법 기준으로는 신장 183cm, 체중 125kg(± 3kg). 이건 변명의 여지가 없는 고도비만이다. 한국의 병역판정검사에서도 불시 재검 없이 공익 판정 날 정도이다.[181] 미터법 기준으로 204kg. 이 정도면 전시근로역이다.[182] 아무래도 공적인 공간에서는 양식을 먹어도 집에 돌아가 사적인 공간에서는 모국의 음식을 대부분 먹는다. 동아시아계 식습관의 특성상 주로 약간의 쌀에다가 채소, 생선 위주의 식단이다.[183] 2010년대 징병신체검사 기준, 대한민국 만 19세 남성의 평균 체중은 67~68kg.[184] 미국의 평균 신장도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 비해 큰 편으로, 영국 평균과 독일 평균의 가운데쯤 된다. 단, 미국은 이민자를 제외하고 초기 주류 미국인 후손인 백인과 흑인만 봐도 세계 근대화에 비해 평균 키가 잘 늘어나지 않은 편에 속하는 국가로, 150년 동안 4cm 정도밖에 안 늘었다고 한다. 독립 직후인 18세기 후반의 미국인 평균 신장은 168cm 정도로 당대 서유럽보다 훨씬 컸다. 구한말부터 100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평균 신장 10cm 정도가 늘어난 한국과는 다르다.[185] 미국 맥도날드 등지에서 판매되는 1달러짜리 햄버거를 의미한다. 주로 치즈버거치킨버거가 해당되며, 돈 없는 서민들은 거의 매일 먹는 경우도 있다.[186] 이런 싸구려 음식의 주 재료로 쓰이는 옥수수가 연방 정부 차원에서 경작 보조금(Agricultural subsidies)을 대량으로 받는 덕에 산업체에 판매되는 가격이 원가보다 싸기 때문이다. 게다가 20세기 이후 미국의 식품 산업은 옥수수가 없으면 아예 작동하지 않을 정도로 옥수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는 다른 경작물보다도 지력을 많이 소모해서 비료를 더 많이 요구하므로 환경 파괴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187] 미국인들이 비만을 신경쓰지 않는다는 얘기가 아니다. 비만은 미국에서조차도 비아냥의 대상이다. 다만, 나한테 피해가 오는 게 아니라면 남한테 간섭하지 않는 개인주의의 특성과, 세계 평균과 심하게 괴리된 미국식 비만 기준 때문에 어지간한 비만가지고는 미국에서 비만 취급도 못 받기 때문이다. 일례로, 키 170cm에 몸무게 80kg인 남성이 한국에선 비만이라며 살 빼라고 지적을 받겠지만, 미국에서는 그게 무슨 비만이냐며 정상 취급을 받는다.[188] 대한민국에서는 '뚱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355ml 캔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PC방이나 편의점 등에서 볼 수 있다.[189] 사실 이것도 뉴욕이나 워싱턴 D.C. 정도를 제외하면 한국, 일본, 대만이나 유럽 선진국 수준을 기대하면 곤란하다. 더구나 그 뉴욕과 워싱턴의 대중교통도 유럽과 비교해야 그나마 괜찮은 수준이고, 동아시아의 대중교통과 비교하자니 웃음이 나오는 정도이다. 쥐와 노숙자가 들끓고 청결은 밥 말아먹은 뉴욕 지하철, 사상사고가 잦고 시설 고장이 다반사인 워싱턴 메트로, 정시성, 노선, 친절은 기대도 하면 안 되는 뉴욕 버스WMATA 메트로버스 등...[190] 교외 지역에 사는 외벌이 부부의 경우 직장에 출근하는 쪽이 출근용/가족들도 이용할 수 있는 중형 세단을, 주부인 쪽이 미니밴이나 해치백처럼 실내 공간이 여유있는 차를 몰고 아이들을 학교나 교외 활동에 데려다주며, 청소년 자녀는 예전에 타던 차를 물려주거나 싸게 살 수 있는 중고차를 한대쯤 마련해주는게 일반적이다. 물론 모든 가정이 자식들한테 차를 사주는 건 아니며 맞벌이가 많아진 현재는 주변에 자녀 있는 집들끼리 카풀을 하거나 통근차량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교외 지역은 일반적으로 거주인구에 비해 면적이 굉장히 넓기 때문에 도로나 주차공간이 여유있는 장점과, 어딜 가더라도 차를 타야 갈 수 있다는 단점이 공존하고 대중교통이 심히 열악하기 때문에 장을 보러 가거나 과외 수업을 들으러 가더라도 부모가 차를 타고 데려다줘야 한다. 교외 지역의 차고는 차 두대가 나란히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넉넉하게 지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차고 안에 여러 장비나 생필품을 쌓아두기 때문에 굳이 두 대를 동시에 넣는 경우는 드물고, 차고에 한대, 차고 앞 driveway에 한대, 집 앞에 한 대 세워두는 식으로 주차하는 경우가 많다. 집 앞 두대 이상을 세워둬도 통행에 지장이 없을 만큼 도로가 널찍하기 때문에 시내로 가지 않으면 주차 문제로 골치아플 일은 별로 없다. 미국 차들이 다른 나라 차들에 비해 유독 큰 것도 이런 이유인데, 실내공간은 넓을 수록 좋고 차가 좀 커도 시내에 가지 않는 이상 불편함을 겪을 일이 적기 때문.[191] 미국 학제로 치면 8~9학년.[192] 미국에서는 9학년부터 고등학생인 경우가 많아 10학년은 고등학교 2학년(Sophomore)이다. 6-6학제의 경우 중등학교 4학년, 6-3-3학제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193] 드라이브 스루는 요즘 다른 나라들도 들어오는 중이지만 미국만큼 보편화되진 않았다.[194] 호놀룰루의 인구는 100만이 안 되지만 워낙 도시가 작고 인구 밀도가 높으며 교통 정체로 전국 2위를 자랑한다. The BUS라는 대중교통 버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는데, 문제는 버스 루트에 따라 막차 시간이 거의 오후 4-5시 정도인 곳도 있으며 한국처럼 칼 같은 정차 시간을 기대해선 안 된다.[195] 다른 하나는 예멘이다. 미국과 예멘을 제외한 모든 나라들은 사냥을 목적으로 하거나 총기 자격증을 소지했을 시에만 제한적으로 총기 소지를 허용한다.[196] 드넓은 영토에 퍼진 인구는 물론이고 자연적 변수에 대처할 경찰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경찰에 신고하면 경찰이 도착하는 데 한 시간 이상 걸린다고 보면 된다.[197] 총격에 의한 살인뿐만 아니라 사냥 중 사고나 총기를 이용한 자살까지 들어간 통계다.[198] [199] 물론 엄밀히 말하면 엔비디아는 대만 이민자가 세운 대만계 미국 기업이긴 하다.[200] 물론 폴아웃 세계관의 미국도 현실의 미국처럼 막강한 힘을 가진 초강대국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인 현실의 미국과 달리 무늬만 민주주의인 파시스트 막장 독재 국가이다...[201] 세계관의 악당들이 저지른 죄상을 보면 명백한 테러에다 흉악 범죄이기에 현실이라면 사형에 처하거나 사살해야 하는데도 전혀 그렇게 하지않고 수감에만 그치며 수감된 악당들을 제대로 관리 못 해 악당들이 탈옥하여 무고한 일반인들이 피해를 입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이렇게 치안이 막장임에도 정부는 대책을 마련하거나 개선할 생각을 하나도 하지않으니 작중의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갈수록 막장으로 가고 있어 파국만 겨우 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히려 히어로들을 국가에 위협이 된다고 하여 감시하며 죽여버리려 했다. 이 정도면 정상적인 정부가 아니다.[202] 있다 해도 보통 미국만 그런 게 아니고 전 세계적으로 똑같이 시궁창인 식으로 묻어가곤 한다.[203] 캘리포니아, 네바다, 애리조나, 뉴 멕시코, 오리건, 워싱턴, 유타, 아이다호, 콜로라도, 와이오밍 한정.[204] 이 시기 인류는 크게 몰락하여 테크노 바바리안 즉 레이저 총도 있는 매드 맥스 수준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205] 이쪽은 위치를 제외하면 영국에 가깝다.[206] 정확히는 영국과 나토를 비롯한 자본주의 진영이다.[207] 아메리카 연합국이 모델이다.[208] 정식명칭이 United State of Underground다.

분류